방언 이야기 - 국립국어원 국어자료총서 1 (알인20코너)

방언 이야기 - 국립국어원 국어자료총서 1 (알인20코너)
방언 이야기 - 국립국어원 국어자료총서 1 (알인20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국립국어원 (엮은이)
출판사 / 판형 태학사 / 2007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411쪽
정가 / 판매가 16,000원 / 9,500원

도서 상품 상태

상급 - 새책처럼 상태 좋은데, 앞표지 상단부에 물얼룩 조금 묻음

도서 설명

목차

첫째 마당: 방언 사귀기 - 방언 입문

방언 최명옥
1. 서론
2. ‘방언’의 개념
3. ‘방언’의 형성과 그 종류
4. ‘방언’의 연구
5. 결론

방언 조사와 연구의 의의 최명옥
1. 서론
2. 방언 조사의 의의
3. 방언 연구의 의의
4. 결론

방언 자료의 수집과 정리 최명옥
1. 방언 자료의 수집과 정리가 왜 필요한가
2. 자료 수집을 어떻게 할 것인가
3. 수집된 자료를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
4. 결론더보기

첫째 마당: 방언 사귀기 - 방언 입문

방언 최명옥
1. 서론
2. ‘방언’의 개념
3. ‘방언’의 형성과 그 종류
4. ‘방언’의 연구
5. 결론

방언 조사와 연구의 의의 최명옥
1. 서론
2. 방언 조사의 의의
3. 방언 연구의 의의
4. 결론

방언 자료의 수집과 정리 최명옥
1. 방언 자료의 수집과 정리가 왜 필요한가
2. 자료 수집을 어떻게 할 것인가
3. 수집된 자료를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
4. 결론

둘째 마당: 방언 낯익히기 - 방언별 특성

국어의 방언구획 최명옥
1. 서론
2. 방언구획의 방법
3. 국어의 방언구획
4. 결론

동남 방언 이상규
1. 고대 국어의 기층 방언
2. 동남 방언의 음운
3. 동남 방언의 문법
4. 동남 방언의 어휘 성격

서남 방언 이기갑
1. 글 머리에
2. 소리의 특징
3. 문법의 특징
4. 어휘적 특징

중부 방언 박경래
1. 머리말
2. 중부 방언의 성격
3. 중부 방언의 특징
4. 맺는말

제주 방언 정승철
1. 제주 방언이란?
2. 제주 방언의 단어
3. 제주 방언의 문장
4. 방언 구획

동북 방언 곽충구
1. 머리말
2. 동북 방언의 특징
3. 맺음말

서북 방언 김영배
1. 머리말
2. 말소리의 다름
3. 문법 형태의 다름
4. 낱말의 다름
5. 맺음말

셋째 마당: 방언 맛보기 - 지역별 사례

경북 이상규
1. “할밴교?”(=할아버지 안녕하십니까?)
2. ‘콩나물히찝’, 민초들의 잔치 음식
3. ‘짝거리’, 서울 말씨가 아니니까 버려야 하는 것일까?

경남 김정대
1. 아직도 알 수 없는 ‘엉3꾸3배’의 의미
2. 멋과 맛이 함께하는 경남 방언
3. 같은 의미(meaning), 다른 형식(form)
4. 도기 용기류 명칭에 얽힌 사연
5. ‘공통어’ 선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전북 이태영
1. 우리가 사는 고향의 말
2. 전북의 음식과 생활
3. 판소리와 전라도 방언
4. 문학작품 속의 전북 방언
5. 문화유산인 전북 방언

전남 이기갑
1. 우리가 사는 고향의 말과 삶
2. 소와 더불어 사는 삶
3. 머슴과 함께 하는 삶
4. 논에 의지하는 삶
5. 아낙네의 고단한 삶
6. 이승의 삶을 버리고

전남 오홍일

충남 한영목
1. “냘버텀 씰다리읍는 일언 말짱 증리햐.”
2. “어메라가서 해 준 가락지할래 죄 팔아뻔졌슈.”
3. “그 처녀 보니께 이뿌잖은감?”

강원 김봉국
1. 억양으로 고향을 구별하는 강원도 사람들
2. 원주/춘천은 경기도 말?, 강릉/삼척은 경상도 말?, 양양/고성은 북한 말?
3. 영동 방언에서만 들을 수 있는 특이한 모음 ‘?[j?]’
4. ‘어디 갔드래요?’는 강원도 말?
5. ‘어서 오세유’는 충청도 말?
6. 특이한 문법 형태

제주 강영봉
1. 제주 해협을 건넌 중세 어휘
2. 선비 따라온 한자어
3. 국경을 넘은 몽골 어
4. ‘비바리’는 전복 따는 사람

넷째 마당: 방언 누리기 - 방언과 문학 그리고 삶

지역 문화와 방언 이기갑
1. 당골, 당골네
2. 외악사내키
3. 깐치동저구리
4. ‘국’과 ‘탕’
5. 자네
6. 택호(宅號)
7. 산다이
8. 다리, 밤다리, 숭에놀이
9. 초분, 독다물
10. ‘마리’와 ‘물리’

방언과 한국 문학 김용직
1. 머리말
2. 어떤 선행(先行) 발언 ? “문장강화”
3. 방언과 한국 문학 - 근대화의 도정
4. 현대문학과 방언
5. 끝자리 요약과 添言

문학작품에 나타난 방언 이상규
1. 문학 방언(Literary Dialect) 연구 현황과 흐름
2. 일상어로서 방언과 문학 기법으로서의 방언
3. 일상의 언어로서 문학 방언
4. 방언 시어를 의도적으로 활용한 예

시와 방언 (1) 유종호
앉은뱅이꽃
바구지꽃
개똥벌레

시와 방언 (2) 유종호
노고지리
이깔나무
봉선화

시와 방언 혹은 구석진 말 유종호
접시꽃
자작나무 혹은 봋나무
눈포래
멈둘레

소설과 표준어·방언 김철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