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상상력 2 - 땅이름을 통해 본 우리 문화의 원류와 신앙체계 (알소4코너)

우리말의 상상력 2 - 땅이름을 통해 본 우리 문화의 원류와 신앙체계 (알소4코너)
우리말의 상상력 2 - 땅이름을 통해 본 우리 문화의 원류와 신앙체계 (알소4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정호완
출판사 / 판형 정신세계사 / 1996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373쪽
정가 / 판매가 7,500원 / 6,000원

도서 상품 상태

상급 - 낙서, 밑줄 없이 상태 좋음 / 속지는 자연스런 변색감 있으나 시대에 비해 상태 좋음

도서 설명

목차

001. 강은 우리의 어머니
002. 태양 숭배와 곰신앙
003. 생명의 말미암음
004. 밀음 깊은 곳에

 

출판사 서평

우리나라 지명(地名)들의 기원을 통해 우리 문화의 원류와 한민족 심층의 신앙체계를 해부한 저서가 출간되었다.저자는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의 정호완 교수로, 이번에 나온 책은 지난 91년 국어학자의 저서로는 드물게 베스트셀러 목록에까지 올랐던 '우리말의 상상력 1'의 후속편이다.

두 권의 책이 모두 우리말 속에 투영되어 있는 겨레의 역사와 문화, 신앙, 정서, 세계관, 생활양식 등을 살피고 있는 점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지만, [해], [달], [비], [살다], [죽다] 등 주로 일상어휘의 기원적 의미에 초점을 맞춘 첫번째 책에 비해, 두번째 책에서는 금강, 한강, 압록강, 김해, 밀양, 횡천, 마니산, 팔공산, 치악산 등 한반도 각지의 가람과 뫼, 마을 들의 이름이 생겨나고 변화하여 온 자취를 더듬고 있는 점이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저자에 의하면 공주(公州)의 [공]은 [곰]에서 비롯했다고 한다. 본디 [곰]은 말끝에 기역(ㄱ)이 붙는 말이었는데 자음접변을 따라 [공]이 되었다가, 짐승으로서의 곰보다는 귀 공(公)을 쓰는 것이 훨씬 모양새가 좋아서 공주로 고쳤다는 것이다. 이렇게 곰이 땅이름에 끼여든 까닭은, 지금은 아득한 옛일로 우리의 정서에서 멀어졌으나 본디 곰은 사람의 조상으로 떠받들어진 경배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