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름마치 (합본) - 진옥섭의 예인명인 (알수38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도서 설명
'노름마치'란 '놀다'의 놀음(노름)과 '마치다'의 마침(마치)이 결합된 말로, 최고의 명인을 뜻하는 남사당패의 은어다. 곧 그가 나와 한판 놀면 뒤에 누가 나서는 것이 무의미해 결국 판을 맺어야 했다. 이렇게 놀음을 마치게 하는 고수 중의 고수를 노름마치라 한다.
전통예술 연출가 진옥섭이 세월과 함께 잊혀져간 노름마치들을 찾아나섰다. 우리 시대의 예인으로 자신을 우뚝 세웠으나, 세월과 함께 잊혀져가던 이들을 찾아 무대에 세우고, 그 찰나를 사진 한 컷 처럼 복기해 책으로 엮었다.
내용은 총 6장으로 나눴다. 예기(藝妓), 남무(男舞), 득음(得音), 유랑(流浪), 강신(降神), 풍류(風流)로 구성된 각 장은 개론적 이야기인 서설과 노름마치 세 사람의 삶과 예술로 구성했다. 전통예술계에서 내로라하는 이름보다 낯선 이름이 더 많지만 한 사람 한 사람 멋이 꽉찬 노름마치들이다.
책에 소개된 예인들의 평균 나이는 여든에 이른다. 현장에서조차 사라진 공연을 다시 불러들일 때 누구 하나 기다렸다는 듯이 무대에 나설 수 없는 이들이었지만, 이들은 올라서면 다시없는 장면을 선보였다. 책에는 '다시 올 수 없는 시간을 마중가는' 마음으로 써내려간 그 '켜켜이 묵힌 것'의 깊이와 감동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책머리에 : 4무(武.舞.巫.無)에 사무치다
프롤로그 - 이 책은 보도자료입니다
보고픔도 극심한 허기의 일종이다
1. 예기(藝妓), 이화우 흩뿌릴 제
서설 - 지평선에 약속이 있다
하나 - 춤추는 슬픈 어미, 장금도
둘 - 춤을 부르는 여인, 유금선
셋 - 중고제의 마지막 소리, 심화영
2. 남무(男舞), 춤추는 처용아비들
서설 - 천 리 아랫녘으로 영남춤을 마중 가다
하나 - 춤으로 생을 지샌 마지막 동래한량, 문장원
둘 - 밀양변가 춤의 종손, 하용부
셋 - 우조(羽調) 타는 '무학도인(舞鶴道人)', 김덕명
3. 득음(得音), 세상에서 가장 긴 오르막
서설 - 소리 소문을 보러 거다
하나 - 백 년의 가객, 정광수
책머리에 : 4무(武.舞.巫.無)에 사무치다
프롤로그 - 이 책은 보도자료입니다
보고픔도 극심한 허기의 일종이다
1. 예기(藝妓), 이화우 흩뿌릴 제
서설 - 지평선에 약속이 있다
하나 - 춤추는 슬픈 어미, 장금도
둘 - 춤을 부르는 여인, 유금선
셋 - 중고제의 마지막 소리, 심화영
2. 남무(男舞), 춤추는 처용아비들
서설 - 천 리 아랫녘으로 영남춤을 마중 가다
하나 - 춤으로 생을 지샌 마지막 동래한량, 문장원
둘 - 밀양변가 춤의 종손, 하용부
셋 - 우조(羽調) 타는 '무학도인(舞鶴道人)', 김덕명
3. 득음(得音), 세상에서 가장 긴 오르막
서설 - 소리 소문을 보러 거다
하나 - 백 년의 가객, 정광수
둘 - "적벽강에 불 지르러 가요", 한승호
셋 - 초야에 묻힌 초당의 소리, 한애순
4. 유랑(流浪), 산딸기 이슬 털던 길
서설 - 보릿고개 언덕 위의 하얀 부포꽃
하나 - 포장극장의 소년 신동, 김운태
둘 - 흰옷 입은 심청 엄미, 공옥진
셋 - 마지막 유랑광대, 강준섭
5. 강신(降神), 영험은 신령이 주지만 재주는 네가 배워라
서설 - 한양 만신을 찾아서
하나 - 아직도 '왕십리 개미'라오, 김유감
둘 - 본향 꽃밭의 길라잡이, 이상순
셋 - 작두 타는 비단 꽃 그 여자, 김금화
6. 풍류(風流), '춤의 삼각지대' 사람들
서설 - 춤의 고을 사람들
하나 - 춤을 일구는 농사꾼, 이윤석
둘 - 한려수도의 마지막 대사산이, 정영만
셋 - 진주라 천 리에 제일무, 김수악
에필로그 - 스크롤바를 올리며
여기 적힌 먹빛이 희미해지더라도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