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여산고 2 - 근대한국미술 에세이와 비평 (마6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목차
머리말
미술계와 한평생 - 이구열
제1부
원시회화의 발생 017
첨단예술: 음악, 조각, 회화, 건축, 서예, 사진 020
유배지 제주도의 추사 일화 045
민예의 마을 ① 담양의 죽세공예 050
민예의 마을 ② 강화·교동의 왕골공예 058
민예의 마을 ③ 통영의 나전칠기 065
민예의 마을 ④ 전주의 한지와 부채 070
민예의 마을 ⑤ 수원의 기류공예 075
노인의 화첩 079
제주도 추사 유배지를 찾아 084
제2부
격변한 시각 환경 093
오사카 엑스포 70 참관기 096
타이베이 고궁박물원 취재 104
도입기의 양화 109더보기
머리말
미술계와 한평생 - 이구열
제1부
원시회화의 발생 017
첨단예술: 음악, 조각, 회화, 건축, 서예, 사진 020
유배지 제주도의 추사 일화 045
민예의 마을 ① 담양의 죽세공예 050
민예의 마을 ② 강화·교동의 왕골공예 058
민예의 마을 ③ 통영의 나전칠기 065
민예의 마을 ④ 전주의 한지와 부채 070
민예의 마을 ⑤ 수원의 기류공예 075
노인의 화첩 079
제주도 추사 유배지를 찾아 084
제2부
격변한 시각 환경 093
오사카 엑스포 70 참관기 096
타이베이 고궁박물원 취재 104
도입기의 양화 109
골동품 수집 붐의 주변 135
미술에 반영된 6·25 173
‘뜨거운 추상’의 도입과 전개 1957~1965 181
제3부
국전 30년 개관 195
세계 속의 한국 미술 226
그림 수집의 경제학: 추융한 『그림의 상장』 축약 편역 253
획일주의와 창조적 자유주의: 남과 북, 현대미술 비교 310
도쿄예술대학 자료관, 조각의 숲 방문기 320
잊을 수 없는 내 고향의 옛집 현판 ‘일청원’ 332
추모, 최순우 선생과의 25년 감회 337
문화적 국력 341
한국미의 산책: 조형된 한국인의 마음과 정감 345
미술과 사회 355
《한국화 100년전》 — 조감된 근대·현대의 흐름과 내면 360
근대한국화의 양상 366
상호미술전의 길은 먼가? 377
근대한국화의 시대적 변화 387
작품전시 보도, 타당성 인정 못할 사례 많아 398
미술계 개혁의 전환기적 변동 404
제4부
중국의 조선족 미술가 활동실태 433
《근대유화 3인의 개성전》에 즈음하여 439
소련 여행의 소득과 아쉬움 447
한-소 예술의 상호이해와 교류: 현대한국미술의 양상 452
서울에서 처음 열린 북한미술전: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주체미술’ 457
한국판화예술의 흐름 460
한국은행 컬렉션: 한국 근대?현대회화의 한 보고 466
한국누드미술의 정착과 양상 470
일제 침략과 고려자기의 수난 477
제5부
미술로 증언된 6·25 전쟁 499
이왕가미술관 일본작품의 운명 509
프라하의 카프카 애인 이름의 카페 ‘밀레나’ 524
현존 유일본 잡지 『미술』 제1호 입수기 529
근대한국의 여성미술가, 시대배경과 일본 유학 532
경축, 예술원 50주년 기념미술전 542
나의 6·25참전, 중부전선에서 포병관측장교로 545
위작세상 552
제5부
축하의 말
한국미술의 산증인 - 정양모 556
60년 한결같은 현역 - 이종석 563
준비된 기자, 행복한 기자 - 손기상 567
간행후기 - 김복기 571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5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