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르바의 촛불 - 아우또노미아총서 19 (알사5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2008년 촛불 현장에 참가하면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의 기록이자 그것에 대한 성찰의 결과물을 담은 책으로, 2008년 5월 2일부터 지난 1년 동안 수 백만의 사람들이 참여한 역사전 사건으로서의 촛불의 의미가 무엇이었는지를 규명한다.
이 책은 촛불봉기의 새로움이 무엇이었던가를 맑스의 노동이론, 푸코의 삶권력론, 들뢰즈의 잠재력론, 네그리의 다중론을 통해 조명한다. 또한 전 세계적 금융위기를 촛불의 관점에서 조명하면서 촛불을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낼 주체성으로 정의한다.
목차
책머리에
1부 촛불의 논리, 윤리, 그리고 생리
촛불: 유령인가 중간계급인가 다중인가?
보수에서의 촛불유령론 19
진보에서의 촛불유령론 20
촛불 중간계급실체론 28
촛불 과잉아나키즘론 31
다중으로부터의 도피 35
제헌권력: 대중들, 민중, 천민, 그리고 다중 39
투쟁의 새로운 순환 속에서 운동과 정치 54
승리라는 문제 혹은 감각의 혁신을 위하여 65
파시즘에 대항하는 촛불
근대적 전체주의와 수용소 파시즘 71
탈근대적 전체주의와 삶권력의 파시즘 76
삶권력의 정치적 계급적 토대와 그 전략 78
탈근대 파시즘 속에서 삶정치의 가능성 80
한국에서의 파시즘의 운명: 이명박 대 촛불 81
더보기
책머리에
1부 촛불의 논리, 윤리, 그리고 생리
촛불: 유령인가 중간계급인가 다중인가?
보수에서의 촛불유령론 19
진보에서의 촛불유령론 20
촛불 중간계급실체론 28
촛불 과잉아나키즘론 31
다중으로부터의 도피 35
제헌권력: 대중들, 민중, 천민, 그리고 다중 39
투쟁의 새로운 순환 속에서 운동과 정치 54
승리라는 문제 혹은 감각의 혁신을 위하여 65
파시즘에 대항하는 촛불
근대적 전체주의와 수용소 파시즘 71
탈근대적 전체주의와 삶권력의 파시즘 76
삶권력의 정치적 계급적 토대와 그 전략 78
탈근대 파시즘 속에서 삶정치의 가능성 80
한국에서의 파시즘의 운명: 이명박 대 촛불 81
촛불봉기: 다중이 그려내는 새로운 유형의 혁명
머리글 87
촛불봉기의 발생조건 89
촛불봉기의 전개과정 93
권력의 대응 변화 106
촛불봉기의 특징과 새로움 107
집단지성과 봉기의 새로운 기술 123
촛불권력의 현재적 장애와 한계 128
촛불봉기의 쟁점과 새로운 과학 131
촛불봉기는 무엇을 바꾸고 있는가? 138
맺음말: 미래 운동의 새로운 로두스 141
금융위기와 촛불의 시간
미국발 금융위기와 국유화 145
자본주의 위기의 역사 속에서 서브프라임 위기 147
서브프라이머의 입장에서 본 금융위기 151
신자유주의의 위기와 촛불 155
2부 촛불 현장에서: 기록과 성찰
뉴라이트 한국과 촛불
현대의 자본순환과 뉴라이트 161
뉴라이트 우파 정부의 성격: 순수자본독재 167
이명박 정부의 반혁명 170
뉴라이트 한국 20년 결산 173
무력 174
법 176
공안탄압 179
언론과 문화 182
화폐정치 185
테러 188
지배의 피라미드와 촛불 192
사회운동의 새로운 순환과 촛불
촛불의 발생계기: 삶정치적 복합문제로서의 광우병 197
노동의 재구성과 촛불 200
촛불과 욕구노동 204
촛불과 코뮤니즘 208
민민연과 애국촛불 212
촛불봉기의 주체성
다중의 형상들 221
문명, 시민, 시장과 촛불 244
촛불봉기의 특이성
중앙지성, 집단지성, 다중지성 247
다중지성의 미네르바 257
질서화와 (자기)조직화 262
삶정치와 그 무기들 279
계획으로서의 촛불과 욕망으로서의 촛불 292
촛불의 헤게모니와 민주주의의 전망
국가권력 293
촛불운동 297
민주주의 311
촛불의 쟁점들
촛불은 오합지졸인가? 329
폭력인가 비폭력인가? 331
다시 무기의 문제 345
민족주의라는 쟁점 347
금융자유화도 금융국유화도 아닌 다중의 공통되기와 자치 352
촛불은 일시적인 것인가 영원한 것인가? 356
3부 촛불테제
촛불테제 1: 금융위기와 촛불테제
촛불테제 2: 이명박과 강인한 테제
촛불봉기 일지
참고문헌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