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 - 문화수용전략에 관한 융합적 연구 - 화혼양재와 동도서기 그리고 위정척사 (알수55코너)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 - 문화수용전략에 관한 융합적 연구 - 화혼양재와 동도서기 그리고 위정척사 (알수55코너)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 - 문화수용전략에 관한 융합적 연구 - 화혼양재와 동도서기 그리고 위정척사 (알수55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한경구, 김태유, 임경택, 이경우
출판사 / 판형 일조각 / 2021년 1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240쪽
정가 / 판매가 20,000원 / 18,5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19세기 ‘개항의 시대’를 맞이한 동북아 3국의 선택. 대한제국이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다가 1910년에 강제병합 당한 것은 ‘문화’가 ‘문명’과의 대결에서 참패한 사건이었다. 마찬가지로 중국이 17세기 예수회 선교사들로부터 천문학 지식을 수용한 이래 아편전쟁에서의 패배를 교훈 삼아 해군 건설에 나선 것도, 일본이 1854년 ‘흑선黑船’을 몰고 다시 나타난 페리 제독에게 개항을 허락하고 존왕양이를 부르짖던 막말의 ‘지사志士’들이 문명개화로 방향을 바꾼 것도 모두 문명의 막강한 힘을 당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19세기 중반의 동북아시아는 분노에 떨면서, 그리고 그 격차에 경탄하면서 서양 문명을 받아들여야 했다. 이 과정에서 본연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서양의 진보한 기술과 제도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자는 문화수용전략이 나타나는데, 바로 일본의 ‘화혼양재和魂洋才’와 조선의 ‘동도서기東道西器’, 그리고 중국의 ‘중체서용中體西用’이었다.

이 중에서도 화혼양재는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부국강병에 성공하게 만든 요인으로 높게 평가되어왔다. 그러나 과연 화혼양재는 중체서용이나 동도서기와 크게 다른 것이었을까. 그리고 어떤 차이점이 있어서 일본은 ‘성공’했고 중국과 조선은 ‘실패’했던 것일까? 그리고 이들은 ‘위정척사衛正斥邪’와 무엇이 그렇게 달랐을까?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