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미학산책 (알오91코너)

한시미학산책 (알오91코너)
한시미학산책 (알오91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정민 지음
출판사 / 판형 솔 / 2003년 1판15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517쪽
정가 / 판매가 16,000원 / 9,000원

도서 상품 상태

상급(하드커버+자켓)-본문에 연필 밑줄 5-6페이지 정도 있으나 상태는 좋음

도서 설명

어렵게만 느껴지던 한시의 세계를 24개의 주제로 압축하여 쉽게 풀이해놓은 책. 한시에서 찾아볼 수 있는 언어미학,그림과 시의 상관관계, 당시와 송시,한시의 모호성과 시마에 얽힌 이야기들을 정민 교수 특유의 깔끔한 글솜씨로 빚어냈다.

목차

목차

지은이의 말
찾아보기

첫 번째 이야기 허공속으로 난 길 : 한시의 언어 미학
두 번째 이야기 그림과 시
세 번째 이야기 언어의 감옥 : 입상진의론(立象盡意論)
네 번째 이야기 보여주는 시, 말하는 시 : 당시와 송시
다섯 번째 이야기 버들을 꺾는 뜻은 : 한시의 정운미(情韻味)
여섯 번째 이야기 즐거운 오독 : 모호성에 대하여
일곱 번째 이야기 정경론(情景論)
여덟 번째 이야기 시안론(詩眼論) : 일자사(一字師) 이야기

아홉 번째 이야기 작시, 즐거운 괴로움
열 번째 이야기 시마(詩魔) 이야기
열한 번째 이야기 시인과 궁핍 : 시궁이후공론(詩窮而後工論)
열두 번째 이야기 시인과 시 : 기상론(氣象論)
열세 번째 이야기 씨가되는 말 : 시참론(詩讖論)
열네 번째 이야기 놀이하는 인간 : 잡체시의 세계
열다섯 번째 이야기 잡체시의 실험정신
열여섯 번째 이야기 시와 문자유희 : 한시의 쌍관의더보기

지은이의 말
찾아보기

첫 번째 이야기 허공속으로 난 길 : 한시의 언어 미학
두 번째 이야기 그림과 시
세 번째 이야기 언어의 감옥 : 입상진의론(立象盡意論)
네 번째 이야기 보여주는 시, 말하는 시 : 당시와 송시
다섯 번째 이야기 버들을 꺾는 뜻은 : 한시의 정운미(情韻味)
여섯 번째 이야기 즐거운 오독 : 모호성에 대하여
일곱 번째 이야기 정경론(情景論)
여덟 번째 이야기 시안론(詩眼論) : 일자사(一字師) 이야기

아홉 번째 이야기 작시, 즐거운 괴로움
열 번째 이야기 시마(詩魔) 이야기
열한 번째 이야기 시인과 궁핍 : 시궁이후공론(詩窮而後工論)
열두 번째 이야기 시인과 시 : 기상론(氣象論)
열세 번째 이야기 씨가되는 말 : 시참론(詩讖論)
열네 번째 이야기 놀이하는 인간 : 잡체시의 세계
열다섯 번째 이야기 잡체시의 실험정신
열여섯 번째 이야기 시와 문자유희 : 한시의 쌍관의

열일곱 번째 이야기 해체의 시학 : 파격시의 세계
열여덟 번째 이야기 바라봄의 시학 : 관물론(觀物論)
열아홉 번째 이야기 깨달음의 바다 : 선시
스무 번째 이야기 산수의 미학 : 산수시(山水詩)
스물한 번째 이야기 실락원의 비가(悲歌) : 유선시(遊仙詩)
스물두 번째 이야기 시와 역사 : 시사(詩史)와 사시(史詩)
스물세 번째 이야기 사랑의 슬픔 : 정시(情詩)의 세계
스물네 번째 이야기 그때의 지금인 옛날, 통변론(通變論) : 한시 전통의 미학 의의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