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도삼략 - 자유문고 동양학총서 24 (알오83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자유문고 동양학총서 24권. 태공망의 저서이며 병법학의 최고봉인 무경칠서 가운데 두 가지의 책. 곧 '육도'와 '삼략' 두 권을 하나로 합친 것이다. 육.해.공 삼군을 지휘하고 국가를 방위하는데 필요한 저서이며 사회생활에도 응용할 수 있다.
목차
목차
<육도삼략(六韜三略)>이란 어떤 책인가 / 3
제1권 육도(六韜) /15
제1편 문도(文韜) /15
제1장 문왕의 스승(文師第一) / 16
제2장 가득하고 빈 것(盈虛第二) / 24
제3장 나라의 정무(國務第三) / 28
제4장 큰 예절(大禮第四) / 31
제5장 밝은 덕을 전하다(明傳第五) / 34
제6장 여섯 가지 지키는 것(六守第六) / 36
제7장 국토를 지키다(守土第七) / 40
제8장 나라를 지킴(守國第八) / 43
제9장 어진 이를 높이다(上賢第九) / 46
제10장 어진이의 등용(擧賢第十) / 53
제11장 포상과 단죄(賞罰第十一) / 55
제12장 용병의 도(兵道第十二) / 57
제2편 무도(武韜) /61더보기
<육도삼략(六韜三略)>이란 어떤 책인가 / 3
제1권 육도(六韜) /15
제1편 문도(文韜) /15
제1장 문왕의 스승(文師第一) / 16
제2장 가득하고 빈 것(盈虛第二) / 24
제3장 나라의 정무(國務第三) / 28
제4장 큰 예절(大禮第四) / 31
제5장 밝은 덕을 전하다(明傳第五) / 34
제6장 여섯 가지 지키는 것(六守第六) / 36
제7장 국토를 지키다(守土第七) / 40
제8장 나라를 지킴(守國第八) / 43
제9장 어진 이를 높이다(上賢第九) / 46
제10장 어진이의 등용(擧賢第十) / 53
제11장 포상과 단죄(賞罰第十一) / 55
제12장 용병의 도(兵道第十二) / 57
제2편 무도(武韜) /61
제13장 슬기와 지혜를 열다(發啓第十三) / 62
제14장 문덕을 열다(文啓第十四) / 68
제15장 문덕으로 정벌함(文伐第十五) / 72
제16장 순응하여 계발함(順啓第十六) / 79
제17장 세 가지 의문점(三疑第十七) / 81
제3편 용도(龍韜) /85
제18장 왕의 날개(王翼第十八) / 86
제19장 장수를 논함(論將第十九) / 92
제20장 장수를 선발함(選將第二十) / 96
제21장 장수를 세움(立將第二十一) / 100
제22장 장수의 위엄(將威第二十二) / 105
제23장 병사를 격려함(勵軍第二十三) / 107
제24장 군의 암호(陰符第二十四) / 110
제25장 암호문서(陰書第二十五) / 112
제26장 군대의 위세(軍勢第二十六) / 114
제27장 기특한 용병(奇兵第二十七) / 119
제28장 다섯 가지 소리(五音第二十八) / 125
제29장 승패의 징험(兵徵第二十九) / 130
제30장 농사의 기물(農器第三十) / 134
제4편 호도(虎韜) /139
제31장 군수용품(軍用第三十一) / 140
제32장 세 종류의 진법(三陣第三十二) / 151
제33장 신속한 전투(疾戰第三十三) / 152
제34장 탈출하는 법(必出第三十四) / 154
제35장 군의 전략(軍略第三十五) / 159
제36장 국경에 다다름(臨境第三十六) / 159
제37장 동정을 살핌(動靜第三十七) / 165
제38장 쇠북을 침(金鼓第三十八) / 168
제39장 보급로를 끊다(絶道第三十九) / 171
제40장 땅은 빼앗는 것(略地第四十) / 174
제41장 화력전(火戰第四十一) / 178
제42장 위장된 진지(壘虛第四十二) / 181
제5편 표도(豹韜) /183
제43장 숲속의 전투(林戰第四十三) / 184
제44장 돌격하는 전투(突戰第四十四) / 186
제45장 강한 적(敵强第四十五) / 189
제46장 강한 적을 물리침(敵武第四十六) / 192
제47장 오운진법과 산 위의 군대(烏雲山兵第四十七) / 195
제48장 오운진법과 하천의 군대(烏雲澤兵第四十八) / 198
제49장 적은 무리(少衆第四十九) / 202
제50장 험난한 곳의 전투(分險第五十) / 204
제6편 견도(犬韜) / 207
제51장 나눈 것을 합함(分合第五十一) / 208
제52장 군의 선봉(武鋒第五十二) / 209
제53장 단련된 병사(練士第五十三) / 212
제54장 전술을 가르침(敎戰第五十四) / 215
제55장 병사를 균일케 함(均兵第五十五) / 217
제56장 전차병사(武車士第五十六) / 221
제57장 전투기병(武騎士第五十七) / 223
제58장 전차(戰車第五十八) / 224
제59장 기병 전투(戰騎第五十九) / 228
제60장 보병의 전투(戰步第六十) / 234
제2권 삼략(三略) /237
제1부 상략(上略) /238
총대장의 마음가짐이란 / 마음을 지킬 줄 아는 자는 적다 / 군인의 정치가 계속되는 나라는 / 민중을 편안히 하는 것은 군주의 의무 / 용병의 제일 요체는 / 백전백승의 원리는 / 어진 장수는 솔선수범하는 것 / 현인이 나아가는 곳엔 적대할 자가 없다 / 장수된 자는 모든 말을 경청해야 / 훌륭한 상에는 용사가 모인다 / 적군의 실상을 먼저 아는 것이다 / 서로 멸망을 자초하는 길 / 군주를 위험에 빠뜨리는 자는 간적이다 / 동지들만을 찬양하는 무리들은 / 266
제2부 중략(中略) /268
삼황(三皇)은 무위(無爲)의 치자(治者)였다 / 장군을 간섭하면 안 된다 / 의사(義士)를 부리는 데에는 예(禮)로써 한다 / 난세를 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삼략(三略)
제3부 하략(下略) /277
천하의 행복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은 / 외면적으로 복종시키는 정치는 / 즐거운 정치에는 충신이 모인다 / 도(道)의 교화란 무엇인가 / 군주의 권위가 손상을 입는 것은 / 의혹이 없어지면 국가는 편안하다 / 청렴결백한 사람은 작록이 필요 없다 / 정의가 이긴다는 것은 정한 이치다 / 민중이 넉넉할 때 국가도 부강하다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5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