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광수 시대를 성찰하다 (알인4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한 시대의 사회적인 파문을 일으킨 작가 마광수에 관한 책이다. 그의 2주기를 즈음하여 장석주와 송희복 등의 비평가들이 마광수의 문학적인 성과 및 시대사적인 의미와 의의를 분석하고 평가하려고 하였다. 그의 문학적인 자취를 다양하고도 다면적인 각도에서 이해하고, 인식하고, 체계화하려고 했다. 이 책이 무엇보다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그의 문학이 한 시대의 쟁점으로서 오늘날에 어떻게 투사되고, 또 투영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데 있다.
목차
목차
독자를 위하여 ● 4
제1부 인간론 및 유고집
야(野)한 인간, 마광수_장석주 ● 10
1. 또 다시 부르는 그 이름 | 2. 마광수와의 가상 인터뷰 | 3. 거칠 것 없는 자유의 삶
가버린 작가, 남은 유고집_송희복 ● 34
마광수 1주기에 부쳐
1. 프롤로그 : 오래된 일을 회상하다 | 2. 좋았던 시절에서, 선택한 죽음까지
3. 유고집 『추억마저 지우랴』를 읽다 | 4. 나르시시즘 인간상의 창조와 유산
5. 에필로그 : 자유를 진리로 인도하라
제2부 쾌락과 수난의 이중주
쾌락주의자 마광수 시의 몇 가지 흐름_이승하 ● 60
1. 프롤로그 : 시의 쾌락적 미학 | 2.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 자의 불만
3. 그의 시에 나타난 쾌락주의의 양상 | 4. 몸 사랑을 하지 못한 자의 죽음
5. 에필로그 : 육체성에의 한계 더보기
독자를 위하여 ● 4
제1부 인간론 및 유고집
야(野)한 인간, 마광수_장석주 ● 10
1. 또 다시 부르는 그 이름 | 2. 마광수와의 가상 인터뷰 | 3. 거칠 것 없는 자유의 삶
가버린 작가, 남은 유고집_송희복 ● 34
마광수 1주기에 부쳐
1. 프롤로그 : 오래된 일을 회상하다 | 2. 좋았던 시절에서, 선택한 죽음까지
3. 유고집 『추억마저 지우랴』를 읽다 | 4. 나르시시즘 인간상의 창조와 유산
5. 에필로그 : 자유를 진리로 인도하라
제2부 쾌락과 수난의 이중주
쾌락주의자 마광수 시의 몇 가지 흐름_이승하 ● 60
1. 프롤로그 : 시의 쾌락적 미학 | 2.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 자의 불만
3. 그의 시에 나타난 쾌락주의의 양상 | 4. 몸 사랑을 하지 못한 자의 죽음
5. 에필로그 : 육체성에의 한계
순교자에서 작가로, 외설에서 작품으로_최수웅 ● 93
마광수론
1. 그를 둘러싼 논쟁들 | 2. 사라를 이해하기 위하여 | 3. 리에와 사라 사이의 거리
4. 시대와의 불화, 혹은 낙오 | 5. 휘뚜루마뚜루 블랙리스트
2017 마광수 소설 다시 읽기_주지영 ● 107
1. 마광수라는 이름의 기표 | 2. 쓰기와 읽기의 공리 : 창작 욕망과 독자 공감의 함수관계 3. 배설로서의 창작과 관점으로서의 비평 사이의 길항
4. 마광수에게 빚진 것, 2017 이후의 성 담론
우리는 제2의 마광수의 죽음을 용인할 것인가_주지홍 ● 118
법학자의 관점에서 본 마광수를 위한 변호
1. 학창 시절, 마광수 교수님과의 만남 | 2. 「즐거운 사라」에 대한 처벌 옹호론 및 근거 | 3. 「즐거운 사라」에 대한 처벌 불가론 및 근거 | 4. 비판, 또는 표현의 자유에 대한 견해
제3부 시학・수필・비평
마광수의 시학에 대하여_고봉준 ● 130
‘상징’ 개념을 중심으로
1. ‘상징적 시각’의 문제 | 2. ‘상징시학’의 이론적 배경 | 3. ‘표현’으로서의 문학
4. ‘상징’으로 읽는 윤동주 | 5. 나가며 : 시어와 상징
이유 있는 급진성과 불온성_김효숙 ● 152
‘야(野)한 여자’ 심미론
1. 뚜껑 덮인 이중 사회를 열다 | 2. 견고한 부권제를 건드리다
3. 역사 전환기의 한국적 증상 | 4. 유일한 ‘몸’과 유일한 상상력
비평가 혹은 육체주의 사상가_송희복 ● 179
1. 인연과 관계성에 대해 | 2. 비평가 마광수의 발견 | 3. 몸이 머리를 지배하다
4. 되찾기의 과정에 지다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