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랑말랑한 힘 - 함민복 시집 (나14코너)

말랑말랑한 힘 - 함민복 시집 (나14코너)
말랑말랑한 힘 - 함민복 시집 (나14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함민복 (지은이)
출판사 / 판형 문학세계사 / 2015년 2판5쇄
규격 / 쪽수 135*200(시집 정도의 크기) / 132쪽
정가 / 판매가 8,000원 / 6,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가난과 불우가 그의 생애를 마구 짓밟고 지나가도 몸을 다 내주면서 뒤통수를 긁는 사람"(김훈), 함민복 시인이 네 번째 시집을 출간하였다. 세 번째 시집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이후 햇수로 10년 만이다.

그가 강화도에 정착한지 10년째, 산문집 한 권을 제외하면 이번 시집이 그의 강화도 생활의 온전한 보고서인 셈이다. 충북 충주가 고향인 그가 강화도까지 와서 새 삶의 둥지를 튼 것은 "우연히 놀러 왔던 마니산이 너무 좋아서"라는 낭만적인 이유도 있고, "일산에 살다가 신도시가 들어서자 문산으로 갔고, 그곳 땅값이 올라" 어쩔 수 없이 강화도로 밀려온 현실적인 이유도 있다. 그 이유가 어떻든간에 보증금 없이 월세 10만원짜리 폐가에서 지내고 있는 함민복 시인은 이제 강화도 동막리 사람들과 한통속이다.

강화도 사람이 되어 지내는 동안 함민복 시인은 개펄의 부드러운 속삭임과 그 힘을 조용히 체득한다. "말랑말랑한 힘이지요. 뻘이 사람의 다리를 잡는 부드러운 힘이요. 문명화란 땅 속의 시멘트를 꺼내서 수직을 만드는 딱딱한 쪽으로 편향돼 있습니다. 뻘은 아무것도 안 만들고, 반죽만 개고 있고요. 집이 필요하면 뻘에 사는 것들은 구멍을 파고 들어갈 뿐 표면은 부드러운 수평을 유지합니다."

어느 인터뷰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강화도에 정착한 뒤 눈만 뜨면 보이는 개펄에서 시인은 문명에 대한 성찰과 그에 대한 반성으로서의 부드럽고 아름다운 시적 서정을 발견한 것이다. 개펄의 상상력과 그 언어는 온전한 삶을 걸어가게 하는 길을 제시해준다. 함민복 시인은 개펄의 '물골'이야말로 길의 원형이라 말한다. 육지에 난 물길은 물이 스스로 길을 내어 휘어지고 돌아가면서 강이라는 길을 만들어내지만, 뻘에서는 사람들이 걸어가며 만들어낸 길과 물이 스스로의 본성으로 찾아간 길이 결합돼 이루어진다는 것. 그것이 뻘의 물골이다. 하지만 시인은 물길만 보지 않는다. 살아 우는 글자를 찍으며 날아가는 기러기들의 하늘길도 놓치지 않는다.

욕망으로 가득한 도시에서 이리저리 부딪치며 살아가는 우리에게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강화도 개펄의 힘을 전해주는 시집이다.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