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과 나눈 이야기 (알작24코너)

도서 상품 상태
상급(하드커버+자켓) - 속지 맨뒷장(내지)에 필기 1쪽 가득 있음
도서 설명
책소개
세상만물의 참모습을 보여지는 그대로 인정할 줄 아는 지은이는 존재하는 모든 것에서 깨달음을 얻어낸다. 그런 지은이에게 책상, 의자, 나비, 호박덩굴손 등 주변 모든 사물들은 함께 이야기를 나눌 따뜻한 이웃이다.
즉, 쓸모가 있으나 없으나 그에게는 하나의 모태에서 나온 사랑의 결실로 보일 뿐이다. 돌과 대화를 나누면서 '이웃'이 없는 존재가 세상에 존재할 수 있는가라고 묻는다는지 세상에는 '외로운 사람과 외로운 사물'은 없다고 말하는 것에서 그러한 생각을 읽을 수 있다.
이렇게 사랑의 결실을 맺는 것이 세상의 아름다운 조화이고 우주의 질서라고 강조한 지은이는 직접 이러한 태도를 바탕으로 사물과의 대화를 시도한다.
기실 사물과의 대화라고는 하지만 실상은 마음의 눈으로 본 나와의 대화에 다름 아니다. 그가 사물과 나눈 대화는 그때그때의 명상록이라고 할 만큼 가지가지의 깨달음을 안겨준다. 사물과의 대화에서 늘상 대답이 궁색해지는 것은 언제나 지은이다.
그는 사물을 '쓸모'나 '이름', '소유', '외형'의 관점에서 보려 하지만 사물들은 저마다 자기 안의 '자신'을 들여다보기를 권한다. 자신의 생각으로 다른 사물을 재단하려 하지 말 것이며, 어떤 목적에서 무엇을 하려고 하지 말라는 것.
우주의 흐름을 터득하면 어떤 편견에도 구속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물과 나눈 이야기>는 우리에게 진정한 나를 뚫어지게 바라볼 것을 강조한다. 사물을 바라보는 제 생각을 통해서도 진아(眞我)를 찾을 수 있다는 말이다. 사물과의 대화가 의미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목차
목차
1. 마음으로 보이는 것들
너 때문에…… - 돌
깨끗하지 않은 것이 없다 - 쓰레기통
태초에 한 마음이 있었다 - 향통
좀더 겸손해져야 한다 - 한쪽 줄이 끊어진 그네
나무는 부러지지 않는다 - 나무젓가락
끝은 본디 없는 것이다 - 아기 도토리
내 위에 앉아 있는 나 - 잠자리
아무에게도 관용을 베풀지 않는다 - 안경
임자를 잘 만나시게나 - 연필
줄은 버틸 만큼 버틴다 - 빨랫줄
참사람은 마음을 거울처럼 쓴다 - 손거울
고운 노래는 언덕을 넘지 않는 법 - 마이크
함께 흐르면 어지럽지 않다 - 해바라기 열매
누가 탓하랴 - 타다 남은 모기향
마침내 사랑이다 - 휴대용 빗
나그네로 가득 찬 주인 - 빈 의자
날카로운 끝 - 송곳더보기
1. 마음으로 보이는 것들
너 때문에…… - 돌
깨끗하지 않은 것이 없다 - 쓰레기통
태초에 한 마음이 있었다 - 향통
좀더 겸손해져야 한다 - 한쪽 줄이 끊어진 그네
나무는 부러지지 않는다 - 나무젓가락
끝은 본디 없는 것이다 - 아기 도토리
내 위에 앉아 있는 나 - 잠자리
아무에게도 관용을 베풀지 않는다 - 안경
임자를 잘 만나시게나 - 연필
줄은 버틸 만큼 버틴다 - 빨랫줄
참사람은 마음을 거울처럼 쓴다 - 손거울
고운 노래는 언덕을 넘지 않는 법 - 마이크
함께 흐르면 어지럽지 않다 - 해바라기 열매
누가 탓하랴 - 타다 남은 모기향
마침내 사랑이다 - 휴대용 빗
나그네로 가득 찬 주인 - 빈 의자
날카로운 끝 - 송곳
2. 사랑을 표현하는 것들
모든 것이 사랑의 표현이다 - 부채
자네 속에도 불이 타고 있다네 - 향
나는 버림받지 않았다 - 병뚜껑
순결한 몸 - 호미
그것 참 안됐군 - 찻주전자
본향 가는 길 - 도토리 껍질
천국에는 교회가 없다 - 열쇠
겁나는 물건 - 두루마리 휴지
다 옳은 말 - 죽필
냄새는 사라지지 않는다 - 떨어진 꽃
진짜과 가짜 - 도기
허공의 무게 - 너트
모든 사건이 거울이다 - 밟혀 죽은 개구리
최후의 단추를 누르는 손 - 원격 조종기
두려운 것이 없는 이유 - 부서진 빨래집게
비어서 쓸모 있다 - 집게
3. 살고 사는 것들
돌아가는 몸짓 - 감꽃
잘라 버리게 - 가위
사라지는 것이 있어 사는구나 - 종
그날은 반드시 온다 - 시계
잘해야 한다는 귀신 - 단소 (외 다수)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