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문학에 취하다 - 문학작품으로 본 옛 그림 감상법 (알마62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그림이 된 문학, 문학이 된 그림
시문이 그림과 맺는 관계보다는 그림이 나타낸 주제에 따라 7장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마치 추리소설처럼 그림 속의 시문을 샅샅이 탐색하되, 시문의 탄생 배경은 물론 인용구의 원천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다시 화가의 마음을 진단하며 한 장의 그림이 가진 깊고 넓은 세계를 투명하게 보여준다.
책머리에 | 그림이 된 문학에서 시절의 속내를 읽다
一. 떠오르는 시정
첫 번째 그림+시 | “빈산에 사람 없고, 물 흐르고 꽃이 피네”
_최북의 「공산무인도」와 소식의 「십팔대아라한송」
두 번째 그림+시 | “구름 짙어 어딘지 알 수 없네”
_장득만의 「송하문동자도」와 가도의 「심은자불우」
세 번째 그림+시 | “돌은 말을 못하니 가장 맘에 드네”
_강세황의 「수석유화」와 육유의 「한거자술」
네 번째 그림+시 | “신선집 개가 구름 사이에서 짖네”
_허필의 「두보시의도」와 두보의 「등왕정자」
다섯 번째 그림+시 | “우연히 산노인을 만나면……”
_이인문의 「송하한담도」와 왕유의 「종남별업」
二. 삶을 위로하는 문인, 배움을 권장하는 학자
여섯 번째 그림+시 | 기개와 풍류의 문장가, 소식
_안견의 전칭작 「적벽도」와 소식의 「적벽부」
일곱 번째 그림+시 | 떠나가는 지식인, 도연명
_전기의 「귀거래도」와 도연명의 「귀거래사」
여덟 번째 그림+시 | 은일자의 술과 자유, 도연명
_정선의 「동리채국」.「유연견남산」과 도연명의 「음주」
아홉 번째 그림+시 | 높으신 주자선생
_이성길의 「무이구곡도」와 주희의 「무이도가」
열 번째 그림+시 | 그리운 율곡선생
_김이혁.김홍도.김득신.이인문.윤제홍 등의 『고산구곡시화병』과 이이의 「고산구곡가」
三. 꿈속의 공간
열한 번째 그림+시 | 왕자의 도원
_안견의 「몽유도원도」와 안평대군의 「몽유도원도발」.도연명의 「도화원기」
열두 번째 그림+시 | 왕과 선비의 농촌
_이방운의 『빈풍도첩』과 중국의 옛 노래 「칠월」
열세 번째 그림+시 | 정원의 꿈
_강세황의 「지상편도」와 백거이의 「지상편」
열네 번째 그림+시 | ‘책 베개’의 소망
_이재관의 「오수도」와 홍길주의 『숙수념』
四. 소리의 형상
열다섯 번째 그림+시 | 가을소리
_김홍도의 「추성부도」와 구양수의 「추성부」
열여섯 번째 그림+시 | 소년 신선의 생황 연주
_김홍도의 「송하취생도」와 나업의 「제생」
열일곱 번째 그림+시 | 가야산 물소리
_최북의 「계류도」와 최치원의 「제가야산독서당」
열여덟 번째 그림+시 | 새 울음 속 인간만사
_심사정의 「호취박토도」와 두보.성현.이기지 등의 제화시
五. 문인의 심회
열아홉 번째 그림+시 | 실학자의 세상 인식
_박제가의 「어락도」와 장주의 『장자』, 「추수」 중 ‘호상 대화’
스무 번째 그림+시 | 인간사의 슬픔
_김정희의 「세한도」와 김정희의 편지 「이우선에게」
스물한 번째 그림+시 | 추사노인의 여유
_김정희의 「불이선란」과 김정희의 「제난」
六. 명산에서 얻은 감동
스물두 번째 그림+시 | 금강산 만폭동의 절경
_정선의 「만폭동도」와 정철의 「관동별곡」.이병연의 「만폭동」.고개지의 ‘천암경수, 만학쟁류’
스물세 번째 그림+시 | 한라산 백록담, 전설과 추억
_윤제홍의 「한라산도」와 윤제홍의 「유한라산기」
七. 욕망과 인정의 굴곡
스물네 번째 그림+시 | 효자와 호랑이
_『삼강행실도』 중 「누백포호」의 판화도와 기문.찬시
스물다섯 번째 그림+시 | 선녀와의 연애 드라마
_민화 『구운몽도』 중 「석교기연」과 김만중 소설 『구운몽』 중 「소사미석교봉선녀」
스물여섯 번째 그림+시 | 모란꽃과 모란그림의 차이
_허련의 「모란도」와 이정봉의 모란시 두 구절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5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