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재한화 - 한국미술사 외사 (알미17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한국 미술사학계의 선구자 수묵(樹默) 진홍섭의 한국 미술사 외사. 조선왕조실록 등의 정사(正史)를 비롯하여 외사(外史), 야사(野史)등, 옛 문헌자료를 근거로 문화재와 관련된 뒷이야기들을 엮었다. 흥왕사(興王寺), 노국공주 영전(魯國公主影殿), 분황사탑(芬皇寺塔)과 그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 등 각기 다른 사연을 지니고 있는 스물여섯 편의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오래동안 문화재에 관심을 가져온 저자는 미술사 자료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문화재에 대한 애절한 마음을 글에 담았다. 가령 조선시대 때 불교를 탄압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사찰 문화재가 훼손되는 과정이라든지 김생의 글이 새겨져 있는 비석과 왕희지의 글이 집자되어 있는 '인각사 보각국사 정조탑비'의 참담한 모습에 대한 이야기들은 옛것을 너무나 소홀히 여기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이 절절이 느껴진다.
이 밖에도 구청(求請)을 통해 일본에 우리의 문화유산들이 넘겨진 과정들을 상세히 다루었고, 문화재를 만든 주역인 장인들도 열전을 마련하여 놓치지 않았다. 철저히 사료를 중심으로 쓰여져서 딱딱하게 느껴지는 면도 없지 않지만 문화유산을 다루어 온 전문학자의 식견을 볼 수 있다는 점이 이 책의 매력이다.
목차
목차
제1화 영묘사구지(靈廟寺舊址)
제2화 선묘랑(善妙랑)
제3화 흥왕사(興王寺)
제4화 사륜정(四輪亭)
제5화 노국공주 영전(魯國公主影殿)
제6화 송도 화원 2층 8각전(松都花園二層八角殿)
제7화 흥천사 사리전(興天寺舍利殿)
제8화 원각사(圓覺寺) - 부(附), 석탑, 불살, 대종, 인경
제9화 정종 공정대왕(定宗恭靖大王) 및 정안왕후(定安王后) 진영사건(眞影事件)
제10화 지옥도(地獄圖)
더보기
제1화 영묘사구지(靈廟寺舊址)
제2화 선묘랑(善妙랑)
제3화 흥왕사(興王寺)
제4화 사륜정(四輪亭)
제5화 노국공주 영전(魯國公主影殿)
제6화 송도 화원 2층 8각전(松都花園二層八角殿)
제7화 흥천사 사리전(興天寺舍利殿)
제8화 원각사(圓覺寺) - 부(附), 석탑, 불살, 대종, 인경
제9화 정종 공정대왕(定宗恭靖大王) 및 정안왕후(定安王后) 진영사건(眞影事件)
제10화 지옥도(地獄圖)
제11화 오도자(吳道子)
제12화 불상(佛像)과 사경(寫경)의 훼손(훼損)
제13화 고려 사공신 철상(高麗四功臣鐵像)
제14화 옥불상(玉佛像). 자불상(磁佛像)
제15화 제주 법화사 동불상(濟州法華寺銅佛像)
제16화 진도 금골산 삼석굴(珍島金骨山三石窟)
제17화 김생(金生)
제18화 금석문 삼제(金石文三題)
제19화 분황사탑(芬皇寺塔)과 그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
제20화 도리사 금동사리함(桃李寺金銅舍利函)
제21화 회회청(回回靑). 회회인(回回人).회회승(回回僧)
제22화 나전유병원석경(나鈿有柄圓石鏡)
제23화 사지석(砂誌石)
제24화 왜인구청사실(倭人求請事實)
제25화 장인열전(匠人列傳)
제26화 쇄담팔화(쇄談八話)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