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자예술의 역사 - 고대와 중세의 패러디 이미지 (알철62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책소개
서양 고대와 중세의 예술작품에 나타난 풍자예술의 상징성과 의미를 구체적인 실례를 통해 설명한 책. 1856년 출간된 이래 미술사와 고고학 분야의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는 이 책은 회화, 조각, 건축 뿐 아니라 연극, 문학, 음악 등을 함께 연계시켜 설명하고 있어, 풍자예술의 다양한 면면들을 폭넓게 담아내고 있다. 원래는 전체 5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저작이나, 이번 한국어판에서는 그 중 고대와 중세 편만을 완역했다.
저자는 풍자예술을 저급한 예술로 평가절하하지 않는다. 오히려 한 시대를 주도했던 예술이 보여주지 못한 당시의 시대상과 풍습, 그리고 민중의 사고방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기회로 인식한다.
로마황제 카라칼라(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를 풍자한 당시의 조각상을 한번 보자. 그는 왕위에 오르기 위해 동생을 죽였으며 백성들을 지나치게 억압했던 무자비하고 잔인한 황제였다. 결국 암살당했지만, 그의 죄과를 철저하게 응징했던 것은 한 조각가가 남긴 황제의 조상이었다. '옹색한 키에 짧고 휜 다리로 뒤뚱거리는 모습을 한(거기다 3등신으로 표현되었다)' 황제의 조각상은 두고두고 조롱거리로 남았다.
이처럼 지은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미나 중세의 장중한 기독교 예술과는 상당히 거리가 먼, 풍자적이고 그로테스크한 패러디를 보여줌으로써 당대 사회를 희화화하고 있는 다양한 양식들을 설명하고 있다.
전체 2부로 구성된 이 책의 1부 '고대'편에서는 고대의 희극화가와 희극배우들의 그림이나 예술 무대를 통해서 드러나는 패러디, 신화 인물이나 과거의 난폭했던 황제에 대한 풍자, 피그미 전설 등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고, 제2부 '중세'편에서는 종교 건축물에 새겨진 조각이나 수사본 세밀화 등을 통해 그 당시의 사회상이나 종교인들의 실상을 풍자적으로 파헤치고 있다.
목차
목차
제1부 고대
- 머리말
제1장 앗시리아인은 이집트인의 희극성을 알고 있었을까?
제2장 풍자작가의 적, 아리스토텔레스
제3장 화가 파우손
제4장 가정, 동물, 풍경을 그린 화가들
제5장 희극화가들
제6장 엄밀한 뜻의 풍자-화실
제7장 아이네이아스와 안키세스 패러디
제8장 그릴레스
제9장 환상과 키마이라
제10장「그리스 선집」,질문 속의 빛
제11장 우화와 교훈담
제12장 카라칼라 풍자
제13장 인간과 동물의 긴밀한 봉합
제14장 프리아포스
제15장 괴기스럽게 표현된 도공에 대한 고찰
제16장 피그미 전설 더보기
제1부 고대
- 머리말
제1장 앗시리아인은 이집트인의 희극성을 알고 있었을까?
제2장 풍자작가의 적, 아리스토텔레스
제3장 화가 파우손
제4장 가정, 동물, 풍경을 그린 화가들
제5장 희극화가들
제6장 엄밀한 뜻의 풍자-화실
제7장 아이네이아스와 안키세스 패러디
제8장 그릴레스
제9장 환상과 키마이라
제10장「그리스 선집」,질문 속의 빛
제11장 우화와 교훈담
제12장 카라칼라 풍자
제13장 인간과 동물의 긴밀한 봉합
제14장 프리아포스
제15장 괴기스럽게 표현된 도공에 대한 고찰
제16장 피그미 전설
제17장 고대 항아리-극적 패러디
제18장 그리스인과 로마인의 희극 무대
제19장 희극배우들
제20장 소크라테스의 전설
제21장 앞 장에 이어서
제22장 고대 풍자문학의 탁월성
제23장 낙서
제24장 그리스도와 초기 기독교인에 대한 풍자화
제25장 골족의 풍자예술
제26장 해학과 고고학
제2부 중세
- 머리말
제1장 공허한 상징주의
제2장 동물 악사
제3장 당나귀 축제
제4장 성당과 수도원의 춤
제5장 악마
제6장 망자들의 춤
제7장 여우
제8장 루이 15세 치하에서의 「여우 이야기」의 영향
제9장 「포벨 이야기」
제10장 귀족, 수사, 농노
제11장 수사본 세밀화
제12장 종교건축-메스 지역 성당기사단의 집
제13장 군사건축- 메스의 데슈 망루
제14장 민긴유적의 풍자상
제15장 성당 성직자석
제16장 중세의 대성당
제17장 상징주의의 파국
- 부록:웃음에 관하여
- 저자 후기
- 역자 후기
- 인명 색인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5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