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쇄원 - 은일과 사유의 공간 (알집64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이자 문화재위원인 천득염 교수가 <한국의 명원 소쇄원>(1999)이라는 이름으로 책을 낸 이후 16년 만에 증보판 <은일과 사유의 공간 소쇄원>을 출간했다. 지난 16년간 저자는 소쇄원을 알리기 위해 소쇄원의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를 올리고, 소쇄원에 대해 알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으면 현장에서 직접 설명도 하였으며, 담양군에서 진행하는 문화재지킴이강좌에 나가 강의도 나가는 등 소쇄원을 지키고 알리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 사이에 나온 여러 논문과 몇 권의 책들을 살피고 새로운 정보들을 접한 후 첫 출판에서 부족했던 ‘소쇄원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인물, 소쇄원 담장 밖 공간, 소쇄원에 있던 수목, 소쇄원 30영’ 등에 대한 자료와 연구를 보완하였다. 초판과는 달리 모든 지면의 사진과 그림을 컬러로 보완하여 독자들이 소쇄원의 정취를 더욱 흥미롭게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증보판 머리말· 04
초판 머리말·06
제1장 소쇄원 서설(序說)
1. 우리는 왜 소쇄원을 칭송하는가?·14
2. 우선 소쇄원을 보고 느끼자!·19
3. 중국과 일본의 원림은 어떤 모습일까?·30
4. 별서원림(別墅園林), 소쇄원의 의미는 무언가?·33
5. 소쇄원은 언제 조영(造營)되었을까?·42
제2장 소쇄원 조영자 양산보의 일생과 가계(家系)
1. 양산보의 출생과 가계·49
2. 양산보의 일생과 행적·56
3. 양산보의 글과 그에 대하여 쓰여진 글·69
제3장 소쇄원의 조영배경
1. 양산보의 자연관·81
2. 양산보가 흠모했던 인물들·84
3. 소쇄원의 건립배경과 호남사림·89
4. 소쇄원 관련 인물과 시단(詩壇)·95
증보판 머리말· 04
초판 머리말·06
제1장 소쇄원 서설(序說)
1. 우리는 왜 소쇄원을 칭송하는가?·14
2. 우선 소쇄원을 보고 느끼자!·19
3. 중국과 일본의 원림은 어떤 모습일까?·30
4. 별서원림(別墅園林), 소쇄원의 의미는 무언가?·33
5. 소쇄원은 언제 조영(造營)되었을까?·42
제2장 소쇄원 조영자 양산보의 일생과 가계(家系)
1. 양산보의 출생과 가계·49
2. 양산보의 일생과 행적·56
3. 양산보의 글과 그에 대하여 쓰여진 글·69
제3장 소쇄원의 조영배경
1. 양산보의 자연관·81
2. 양산보가 흠모했던 인물들·84
3. 소쇄원의 건립배경과 호남사림·89
4. 소쇄원 관련 인물과 시단(詩壇)·95
5. 소쇄원 조성에 도움을 준 사람들·101
제4장 소쇄원 조성과 변모 양상
1. 소쇄원의 시작과 변화·122
2. 소쇄원의 중수·133
3. 정유재란 이후 소쇄원의 쇠락과 복구·134
제5장 소쇄원 관련 자료
1. 김인후의 「소쇄원 48영(瀟灑園 四十八詠)」 : 1548년·145
2. 고경명의 『유서석록(遊瑞石錄)』 : 1574년·145
3. 양경지의 『방암유고(方菴遺稿)』와
「소쇄원30영(瀟灑園三十詠)」 : 1696년·149
4. 양씨가문의 문집 『소쇄원사실(瀟灑園事實)』·150
5. 「소쇄원도(瀟灑園圖)」·151
제6장 김인후와 「소쇄원48영(瀟灑園四十八詠)」·164
제7장 양경지의 「소쇄원30영(瀟灑園 三十詠)」·212
1. 「소쇄원30영」의 구성·216
제8장 소쇄원의 공간 구성·234
1. 「소쇄원48영」의 시제(詩題)로 본 소쇄원의 공간 구성·237
2. 「소쇄원48영」과 「소쇄원도」로 본 소쇄원의 구성 요소·249
제9장 소쇄원의 조경식물·294
부록 소쇄원 관련 자료·305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