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조선후기의 서예비평 (알미17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목차
김상숙의 <배와묵희(培窩墨戱)>
· 필설筆說 16조
· 필법에 대하여 논한 설을 어떤 사람에게 주다(與人論筆法說)
황사용(黃士用) 운조(運祚)에게 주는 편지
예자필결(隸字筆訣) 뒤에 쓰다. - 황사용(黃士用)을 위해 짓다.-
해서와 초서로 쓴 작은 서첨의 끝에 쓰다.
나중흥(羅仲興)이 쓴 중용첩(中龍帖)뒤에 쓰다.
필법에 대한 설을 논하여 어떤 사람에게 주다
· 토호필兎毫筆
토호필가兎毫筆歌
· 송매묵松媒墨
송매묵에 대한 명
방원이 자연스러운 먹에 대한 명
오래 간직한 먹에 대해 발문을 적다
송매묵가松媒墨歌
· 저지楮紙
남원의 저지에 대한 명
평강의 저지에 대한 명
저지에 대한 발문을 적다
종이에 대한 해설 더보기
김상숙의 <배와묵희(培窩墨戱)>
· 필설筆說 16조
· 필법에 대하여 논한 설을 어떤 사람에게 주다(與人論筆法說)
황사용(黃士用) 운조(運祚)에게 주는 편지
예자필결(隸字筆訣) 뒤에 쓰다. - 황사용(黃士用)을 위해 짓다.-
해서와 초서로 쓴 작은 서첨의 끝에 쓰다.
나중흥(羅仲興)이 쓴 중용첩(中龍帖)뒤에 쓰다.
필법에 대한 설을 논하여 어떤 사람에게 주다
· 토호필兎毫筆
토호필가兎毫筆歌
· 송매묵松媒墨
송매묵에 대한 명
방원이 자연스러운 먹에 대한 명
오래 간직한 먹에 대해 발문을 적다
송매묵가松媒墨歌
· 저지楮紙
남원의 저지에 대한 명
평강의 저지에 대한 명
저지에 대한 발문을 적다
종이에 대한 해설
· 남포연藍浦硯
남포 미죽연에 대한 명 藍浦薇竹硯銘
남포석 벼루에 발문을 적다
벼루 돌에 대한 기이한 일을 기록하다
선식재(善息齎) 정지순(鄭持淳)의 <필설(筆說)>
· 필설筆說
나걸(羅杰)의 <필경(筆經)>
· 필경筆經
팔하(八下) 서석지(徐錫止)의 《필감(筆鑑)》
· 필감서筆鑑序
· 범례
· 획도畵圖
· 영자팔법永字八法
· 필감筆鑑
· 서법원인 부록書琺原因 附錄
· 제가품평 부록諸家品評 附錄
· 초천자문에 대한 서문草千字序
· 序
· 跋
작가미상《서결(書訣)》
서결書訣
글씨 쓰는 법書法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5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