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경 - 자유문고 동양학총서 41 (알83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 속지 첫장에 날짜와 싸인 하나 작게 있음
도서 설명
당(唐)나라 육우(陸羽)의 ‘다경(茶經)’과 일본의 영서(榮西)선사의 ‘끽다양생기’를 합쳐 현대문으로 재해석하고 차에 대한 도록(圖錄)도 겸비했다. 또 차와 건강에 대해 설명하고 전통차의 효용성과 커피의 실용성을 곁들여 다룬, 차의 모든 것을 담은 차의 백과서이다.
목차
목차
<다경(茶經)>이란 어떤 책인가?/3
다경 상권(茶經上卷)/15
1. 첫째, 차의 근원[一之源]/17
가. 아름다운 차나무/17
나. 자갈밭에서 나는 차가 제일이다/21
다. 차는 아무렇게나 따는 것이 아니다/23
2. 둘째, 차의 도구[二之具]/25
가. 차를 채취해 담는 기구/25
나. 부엌과 가마와 시루/26
다. 절구공이, 받침대, 가리개 등등/27
라. 창, 두드리개, 배로, 꿰뚫으개, 선반/29
마. 꿰미, 숙성통/31
3. 셋째, 차의 제조[三之造]/34
가. 차를 채취하는 달/34
나. 차의 종류는 그 수가 많다/35
다. 차 제조는 일곱 단계를 거친다/37
다경 중권(茶經中卷)/39
4. 넷째, 차(茶)의 그릇[四之器]/41 더보기
<다경(茶經)>이란 어떤 책인가?/3
다경 상권(茶經上卷)/15
1. 첫째, 차의 근원[一之源]/17
가. 아름다운 차나무/17
나. 자갈밭에서 나는 차가 제일이다/21
다. 차는 아무렇게나 따는 것이 아니다/23
2. 둘째, 차의 도구[二之具]/25
가. 차를 채취해 담는 기구/25
나. 부엌과 가마와 시루/26
다. 절구공이, 받침대, 가리개 등등/27
라. 창, 두드리개, 배로, 꿰뚫으개, 선반/29
마. 꿰미, 숙성통/31
3. 셋째, 차의 제조[三之造]/34
가. 차를 채취하는 달/34
나. 차의 종류는 그 수가 많다/35
다. 차 제조는 일곱 단계를 거친다/37
다경 중권(茶經中卷)/39
4. 넷째, 차(茶)의 그릇[四之器]/41
가. 풍로(재받이)의 모양과 형태/41
나. 숯광주리, 숯가르개, 부젓가락, 솥/45
다. 교상, 집게, 종이주머니, 연, 체, 구기/50
라. 물통, 물거르는 자루, 표주박, 대젓가락/55
마. 소금단지, 주걱, 익은물바리, 주발, 삼태기/59
바. 패(솔), 씻는물통, 찌꺼기통, 수건, 진열장, 모듬바구니/63
다경 하권(茶經下卷)/3
5. 다섯째, 차 다리기[五之煮]/71
가. 차는 조심하여 구워야 한다/71
나. 차를 달일 때는 숯을 쓴다/74
다. 쇠북치는 소리가 나면 끓는다고 한다/76
라. 달일 때는 물을 끓여서 버린다/79
6. 여섯째, 차 마시기[六之飮]/83
가. 혼미한 것을 흩어지게 하려면 차를 마신다/83
나. 마시는 차에는 각차, 산차, 밀차, 병차가 있다/86
다. 아홉 가지 어려운 점이 있는 차/88
7. 일곱째, 차의 내력[七之事]/91
가. 염제신농(炎帝神農)임금 때부터 차를 마셨다/91
나. 차를 오래 마신다면/97
다. 유곤이 우러러본 참다운 차〔眞茶〕/102
라. 뜨거운 차인가 차가운 차인가/107
마. 차그릇과 함께 날아간 노파/110
바. 차와 우유는 어느 것이 좋습니까/116
사. 차가 자라는 골짜기/120
8. 여덟째, 차가 나는 곳[八之出]/123
가. 산남(山南)에서는 협주(峽州)차가 제일이다/1233
나. 회남(淮南)에서는 광주의 차가 제일이다/124
다. 절서에서는 호주(湖州)의 차가 상등품/125
라. 검남(劍南)에서는 팽주의 차가 상등품/128
마. 절동(浙東)에서는 월주차가 상등품이다/129
바. 그 밖의 지역에도 맛좋은 차가 있다/130
9. 아홉째, 차의 대략[九之略]/132
가. 7가지는 모두 쓰지 않는다/132
나. 소나무 사이의 돌 위에 앉힐 수만 있다면/133
다. 차를 달이는 24가지 도구/134
10. 열째, 차의 그림[十之圖]/135
부록/151
끽다양생기(喫茶養生記) 상권(上卷)/153
제1장 서문(序文)/156
제2장 오장(오장(五藏)의 화합(和合)/161
가. 오장에 오행(五行)에도 맞춘다/161
나. 심신이 상쾌할 때는 병이 있어도 아프지 않다/163
다. 오장의 병을 다스리는 비결/165
라. 심적(心的)인 치료법이란/168
마. 눈병에 걸렸을 때는/169
제3장 차의 효능과 제조의 시기/171
가. 차의 명칭/171
나. 차나무의 형태/174
다. 차의 효능/175
라. 차를 따는 시절/185
마. 차를 채취하는 방법/187
바. 차를 제조하는 방법/187
끽다양생기(喫茶養生記) 하권(下卷)/191
제4장 질병과 양생(養生)의 법/191
가. 악귀를 쫓는 방법/191
나. 다섯 종류의 질병/194
다. 여러 가지의 치료법(治療法)/200
제5장 발문(跋文)/215
가. 선약(仙藥)은 뽕나무가 들어간다/216
차와 건강- 녹차, 커피/219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