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제록 강의 - 하 - 불연 이기영 전집 30 (알불14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상권
천강수(千江水) 천강월(千江月)
강의에 들어가며
상당(上堂)
1. 왕상시(王常侍) 설법을 청하다
2. 어느 눈이 정안(正眼)인가
3. 무위(無位)의 진인(眞人)
4. 빈주(賓主)는 역연(歷然)
5. 불자(拂子)와 할(喝)
6. 검인상사(劍刃上事)
7. 고봉정상(孤峯頂上)과 십자가두(十字街頭)
8. 도중(途中)과 가사(家舍)
9. 삼구(三句)·삼현(三玄)·삼요(三要)
시중(示衆) 1
10. 사료간(四料揀)
11. 진정견해(眞正見解)
사조용(四照用)
12. 무사시귀인(無事是貴人)
13. 수처(隨處)에 작주(作主)하라
14. 활발발지(活??地)
15. 삼안국토(三眼國土)
16. 육도만행(六度萬行)도 다 업 짓는 일
17. 심심불이처(心心不異處)
18. 참된 부처와 참된 법은 형상이 없다
19. 사빈주(四賓主) (1)
하권
시중(示衆) 2
20.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여라
21. 밖에 법이 없고 안에서도 얻을 수 없다
22. 사대색신(四大色身)은 무상(無常)한 것
23. 사활(死活)이 순연(循然)하다
24. 사빈주 (2)
25. 사됨과 올바름을 알다
26. 진실로 보리심을 발하는 것은 어렵다
27. 동(動)과 부동(不動)은 경계일 따름이다
28. 세 가지 근기(根機)
29. 성명문구(聲名文句)는 의변(衣變)일 뿐이야
30. 금시(今時)의 학인(學人)이 깨닫지 못하는 것은
31. 진불(眞佛)· 진법(眞法) · 진도(眞道)·
32. 여하시서래의(如何是西來意)
33. 무사(無事)하고 순일무잡(純一無雜)함만 같지 못하다
34. 대통지승불(大通智勝佛)
35. 마음이 생하면 갖가지 법이 생하고 마음이 멸하면 갖가지 법이 멸한다
36. 오무간업(五無間業)
37. 공권지상(空拳指上)에 실해(實解)를 일으키고
38. 부처는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39. 부처를 구하면 부처를 잃는다
40. 지리지도(至理至道)
41. 그것은 도대체 맞지 않는 것입니다(設似一物則不中)
감변(勘辨)
42. 쌀을 고르고 있습니다
43. 불자(拂子)를 세우다
보화(普化)와 극부(克符)
44. 보화와 재(齋)에 가다
45. 어린 임제에게만 일척안(一隻眼)이 있구나
46. 보화 날채소를 먹다
47. 명두(明頭)로 오면 명두로, 암두(暗頭)로 오면 암두로
48. 무사(無事)가 좋다 하지 마시오
49. 노주(露柱)는 범(凡)인가, 성(聖)인가
50. 면전획일획(面前?一?)
51. 깨달으면 다 같고, 깨닫지 못하면 다 다르다
52. 덕산(德山)의 30방망이
53. 황금부스러기도 눈에 떨어지면 눈이 먼다
54. 노지백우(露地白牛)
55. 방망이와 할
56. 혼륜(渾崙)같이 단단해서 열 수가 없네
57. 예배도 없고 방망이도 없었다
58. 발을 씻는 조주(趙州)
59. 정상좌(定上座)의 대오(大悟)
60. 십이면관음은 어디로 가 버렸나
61. 네 가지 할
62. 잘 왔나, 잘못 왔나
63. 조사의 뜻이 없습니다
64. 경산이 고개를 들자 임제가 할을 하다
65. 보화의 전신탈거(全身脫去)
행록(行錄)
66. 임제의 대오(大悟)
67. 소나무를 심다
68. 덕산과의 문답
69. 산 채로 묻어 버릴 거야
70. 황벽이 입을 때리다
71. 양채일새(兩彩一賽)
72. 괭이는 어떻게 했노
73. 위산, 앙산과의 만남
74. 하안거(夏安居)를 깨다
75. 선판과 궤안을 가져 오라
76. 부처님께 먼저 예를 올리겠소, 달마대사께 올리겠소
77. 칼을 빼지 않고 이기는 방법이 있을까
78. 금봉자(金鳳子)가 푸른 유리를 깨고 나온다
79. 원지체(圓智體)는 삼산(三山)에 겹겹이 막혀 있다
80. 노스님께 차 좀 드리시오
81. 화살 하나가 인도로 가 버렸다
82. 범(凡)도 아니고 성(聖)도 아닌 경지가 무엇이오
83. 짚신이 닳도록 다니는 거지
84. 봉림스님은 안 계실걸
85. 웃음소리가 한바탕 울리니 천지가 놀라는구나
86. 승부가 있었을까, 없었을까
87. 임제의 천화(遷化)
88. 탑기(塔記)
부록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