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유학의 개념들 - 한국철학총서 20 (알집30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새책
도서 설명
개념의 프리즘을 통해 본 한국 전통철학의 구조
조선 유학은 자연, 안간, 학문, 그리고 사회를 어떻게 사유했는지?
목차
서문
<자연>
太極 : 우주 만물의 근원 - 김근호
1. 우주론의 시작
2. 중국 철학의 태극 개념
3. 조선 유학의 태극 개념
4. 태극론의 의미와 현대적 의의
理氣 : 존재와 규범의 기본 개념 - 김형찬
1. 리와 기의 의미
2. 중국 유학의 리기 개념 변천
3. 조선 유학의 리기 개념
4. 리기 개념의 사상사적 의의
陰陽五行 : 둘과 다섯으로 해석한 동양의 세계 - 홍원식
1. 전통 사회와 음양.오행
2. 중국의 음양.오행설더보기
서문
<자연>
太極 : 우주 만물의 근원 - 김근호
1. 우주론의 시작
2. 중국 철학의 태극 개념
3. 조선 유학의 태극 개념
4. 태극론의 의미와 현대적 의의
理氣 : 존재와 규범의 기본 개념 - 김형찬
1. 리와 기의 의미
2. 중국 유학의 리기 개념 변천
3. 조선 유학의 리기 개념
4. 리기 개념의 사상사적 의의
陰陽五行 : 둘과 다섯으로 해석한 동양의 세계 - 홍원식
1. 전통 사회와 음양.오행
2. 중국의 음양.오행설
3. 조선 유학의 음양.오행설
4. 음양.오행, 어떻게 할 것인가
鬼神 : 자연 철학에서 추구한 종교성 - 김현
1. 귀신의 의미
2. 중국 유학의 귀신 개념
3. 조선 유학의 귀신 개념
4. 유교적 귀신 개념의 의의
天地 : 신비와 합리의 두 얼굴을 가진 자연 - 김문용
1. 천지란 무엇인가
2. 동양적 우주.자연관의 전개
3. 조선 시대 천지관의 양상
4. 자연과 감응력
天人之際 : 인간 삶의 지표와 이상 - 박학래
1. 천에 대한 복합적 이해
2. 중국 유학의 천인관계론
3. 조선 유학의 천인관계론
4. 조선 유학의 천인관계론의 특징과 의의
<인간>
本然之性.氣質之性 : 인간성의 두 측면 - 안영상
1. 본성론의 현대적 함의와 동양 철학의 전통
2. 중국 성리학의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3. 조선 유학의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4. 본성론의 현대적 의미
心統性情 : 마음이 본성을 드러내는 구조 - 김경호
1. 심통성정의 논의 구조
2. 심통성정의 연원과 그 의미
3. 조선 유학에서 심통성정론의 전개
4. 심통성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
5. 심통성정론의 현대적 모색
人物之性 : 인간과 사물의 본질 - 이애희
1. 인성과 물성의 문제
2. 중국 철학의 인물성론
3. 한국 성리학의 인물성론
4. 인물성론의 의의
四端七情 : 도덕적 감정과 일반적 감정 - 유영희
1. 선善의 두 면모 - 선이란 무엇인가
2. 사단.칠정의 연원과 배경 - 성선론과 성정론
3. 조선 유학의 사단칠정론
4. 사단.칠정 논의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人心道心 : 욕망과 도덕심 - 김기현
1. 심학의 근간
2. 인심도심설의 연원
3. 인심과 도심의 의미
4. 정精.일一의 뜻
5. 현대인의 인심과 도심
未發已發 : 마음이 드러나기 전과 후 - 김용휘
1. '미발'과 '이발'이란?
2. 중국 철학사에서 '미발'과 '이발' 논의
3. 조선 학자들의 '미발'과 '이발' 논의
4. 현대적 의미와 한계
知覺 : 세계를 인식하는 맑고 밝은 마음 - 김태년
1. 지각의 근본 문제
2. 중국 성리학의 지각론
3. 조선 유학의 지각론
4. 이상적 도덕 가치와 현실적 자기 존재의 통일
<학문>
涵養省察 : 마음을 다스리는 공부 - 손병욱
1. 함양성찰의 의미
2. 함양성찰에 대한 이론적 검토
3. 조선 유학의 함양성찰
4. 함양성찰의 현대적 의미
格物致知 : 사물의 이치를 따져 보는 공부 - 김용헌
1. 격물치지의 개념과 의미
2. 중국 유학의 격물치지설
3. 조선 유학의 격물치지설
4. 격물치지설의 현재적 의미
知行 : 인식과 실천의 변증법 - 강춘화
1. 지행론의 의미
2. 중국 유학에서 지행론의 형성과 전개
3. 조선 시대 지행론의 전개
4. 지행론의 현대적 의미
經史 : 역사를 읽는다; 경험과 성찰 - 오항녕
1. 경經과 사史, 그리고 경사
2. 중국의 역사 이해
3. 조선의 역사 이해
4. 조선시대 역사학의 유산
道文 : 문학의 본질, 효용, 그리고 글쓰기 - 안병학
1. '도.문'의 개념과 '문학'의 관계
2. 중국에서의 도문론의 정식화; 관도貫道와 재도載道
3. 조선의 도문론과 시학의 전개
4. 도문론을 넘어; 천기를 둘러싼 논의
5. 조선 시대 문학론의 의의와 한계
異端 : 우리 도를 어지럽히는 자들 - 송갑준
1. 이단이란 무엇인가?
2. 중국 유학의 이단 비판 전통
3. 조선 유학의 이단 비판
4. 이단 비판의 의미와 한계
道統 : 유학의 참 정신을 잇는 계보 - 이승환
1. '도통'이란 무엇인가?
2. 중국에서 도통 개념의 형성과 전개
3. 조선 유학에서 도통 관념의 전개
4. '도통'의 진정한 의미; 양심적 지식인에 대한 역사적 평가
<사회>
義理 : 공존과 공익을 위한 모색 - 김낙진
1. 의리에 대한 상반된 생각들
2. 중국의 의리론
3. 조선 유학자들이 이해한 의리관
4. 조선 시대 의리론의 쟁점
5. 근대 사회로의 진입과 의리
禮 : 유교 문화의 형식과 내용 - 유권종
1. '예'란 무엇인가?
2. 유가에 의한 예의 형식과 내용의 재정립
3. 조선의 국가적 예제
4. 조선 유학자들의 예 관념
5. 예의 올바른 이해
更張 : 유교적 이상과 개혁 - 장숙필
1. '경장'의 어의
2. 유가의 이상정치론과 경장론의 전개
3. 조선 유학의 경장론
4. 경장, 그 반복과 경신의 변주
朋黨 : 성리학 시대의 정치 주체 - 남지만
1. 조선 시대 정치의 주연과 조연
2. 붕당론의 연원
3. 조선의 붕당론
4. 붕당론의 한계와 의의
井田 : 유교의 이상을 담은 토지 제도 - 권순철
1. 정전이란 무엇인가
2. 유교 경전에 나타난 '정전'
3. 조선 왕조의 이념과 제도
4. 정전제에 대한 재인식; 정약용의 '경세유표'
5. 정전제 논의의 의의
中華 : 보편 문화의 수용과 해체 - 김태호
1. '중화'는 완결된 역사인가?
2. 중국에서의 ' 중화'
3. 조선 사회의 변화와 중화 의식의 전개
4. '중화'의 새로운 변주를 향하여
인물 목록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5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