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학십도.동국십팔선정 - 한국 대유학자 18인 - 자유문고 동양학총서 34 (알오81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퇴계 이황이 죽기 2년 전인 68세 때 선조에게 바친글 로 성리학을 10장의 그림과 함께 풀어쓴 <성학십도>와 한국의 대유학자 18인을 소개한 <동국십팔선선정>을 함께 묶었다.
목차
목차
『성학십도(聖學十圖)』란 어떤 책인가?
제1권 성학십도(聖學十圖)
제1장 태극도(太極圖)/13
1. 태극도설(太極圖說)
가. 주자의 해설
나. 퇴계의 해설
제2장 서명도(西銘圖)
1. 서명도설(西銘圖說)
가. 주자의 해설
나. 구산 양씨(龜山楊氏)의 해설
다. 쌍봉 요씨(雙峰饒氏)의 해설
라. 퇴계의 해설
제3장 소학도(小學圖)
1. 소학도설(小學圖說)
가. 주자의 해설
나. 퇴계의 해설 더보기
『성학십도(聖學十圖)』란 어떤 책인가?
제1권 성학십도(聖學十圖)
제1장 태극도(太極圖)/13
1. 태극도설(太極圖說)
가. 주자의 해설
나. 퇴계의 해설
제2장 서명도(西銘圖)
1. 서명도설(西銘圖說)
가. 주자의 해설
나. 구산 양씨(龜山楊氏)의 해설
다. 쌍봉 요씨(雙峰饒氏)의 해설
라. 퇴계의 해설
제3장 소학도(小學圖)
1. 소학도설(小學圖說)
가. 주자의 해설
나. 퇴계의 해설
제4장 대학도(大學圖)
1. 대학도설(大學圖說)
가. 주자의 해설
나. 퇴계의 해설
제5장 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
1. 백록동동규후서(白鹿洞洞規後敍)
가. 퇴계의 해설
제6장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1. 심통성정도설(心統性情圖說)
가. 퇴계의 해설
제7장 인설도(仁說圖)
1. 인설도설(仁說圖說)
가. 퇴계의 해설
제8장 심학도(心學圖)
1. 심학도설(心學圖說)
가. 퇴계의 해설
제9장 경재잠도(敬齋箴圖)
1. 경재잠도설(敬齋箴圖說)
가. 주자의 해설 …/83
나. 임천 오씨(臨川吳氏)의 해설
다. 서산 진씨(西山眞氏)의 해설
라. 퇴계의 해설
제10장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
1. 숙흥야매잠도설(夙興夜寐箴圖說)
가. 퇴계의 해설
제11장 진성학십도차(進聖學十圖箚)
제2권 동국십팔선정(東國十八先正)
『동국십팔선정(東國十八先正)』이란 무엇인가?
1. 홍유후(弘儒侯) 설총(薛聰)
2.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
3.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裕)
4. 문충공(文忠公) 정몽주(鄭夢周)
5. 문헌공(文獻公) 정여창(鄭汝昌)
6. 문경공(文敬公) 김굉필(金宏弼)
7. 문정공(文正公) 조광조(趙光祖)
8. 문원공(文元公) 이언적(李彦迪)
9. 문정공(文正公) 김인후(金麟厚)
10. 문순공(文純公) 이황(李滉)
11. 문성공(文成公) 이이(李珥)
12. 문간공(文簡公) 성혼(成渾)
13. 문열공(文烈公) 조헌(趙憲)
14. 문원공(文元公) 김장생(金長生)
15. 문경공(文敬公) 김집(金集)
16. 문정공(文正公) 송준길(宋浚吉)
17. 문정공(文正公) 송시열(宋時烈)
18. 문순공(文純公) 박세채(朴世采)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