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루야마 마사오 - 주체적 작위 파시즘 시민사회 (알철42코너)

마루야마 마사오 - 주체적 작위 파시즘 시민사회 (알철42코너)
마루야마 마사오 - 주체적 작위 파시즘 시민사회 (알철42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고바야시 마사야 지음 | 김석근 옮김
출판사 / 판형 아산정책연구원 / 2013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 (보통책 크기) / 420쪽
정가 / 판매가 20,000원 / 40,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교수가 편집해서 출간한 《丸山眞男論 - 主的作、ファシズム、市民社》(東京大學出版會, 2003)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대표적인 지식인이자 동시에 사상가이기도 한 마루야마 마사오의 사상과 행동을 정면에서 그리고 본격적으로 다룬 저작이라 할 수 있다.

모두 8명의 학자들이 참여해 다양한 측면에서 마루야마 마사오를 논하고 있는 이 책은 「공공철학총서(公共哲學叢書)」의 한 권이기도 하다. 이미 생존했을 때부터 그러기는 했지만, 1996년 8월 15일 타계한 이후 마루야마에 대한 논의는 한층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마루야마 마사오 전집(丸山眞男集)》 전 16권 별권 1, 《마루야마 마사오 좌담(丸山眞男座談)》 1~9, 《마루야마 마사오 강의록(丸山眞男講義錄)》 전 7책 에 이어 《마루야마 마사오 서한집(丸山眞男書簡集)》(전 5권), 《마루야마 마사오 회고담(丸山眞男回顧談)》(상ㆍ하), 《마루야마 마사오 설문집(丸山眞男文集)》(전 4권)이 간행되었다.

계속 간행되고 있는 《마루야마 마사오 수첩(丸山眞男手帖)》, 도쿄(東京)여자대학 도서관에 설립된 「마루야마 마사오 문고(丸山眞男文庫)〉 등을 생각해 보면, 그는 이미 일본 지식인 사회의 공통된 지적인 유산이 되어 있는 듯하다. 아울러 동의하건 하지 않건 간에, 수많은 논의와 비판 그 자체가 그의 위상을 단적으로 말해 준다고 하겠다.

목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장│ 마루야마 마사오와 공공철학
- 논쟁적 구도 -
고바야시 마사야(小林正彌)
1. 공공철학의 개념
2. 전후 사상과 혁신적 공공철학
3. 공공철학의 요건
4. 마루야마 비판의 제 유형과 비방론
5. ‘국민주의자 마루야마’라는 외재적 비판
6. ‘전시(戰時)동원론자 마루야마’라는 비방
7. ‘경고자(警告者)로서 마루야마’와 에콜로지적 재정식화
8. 비방론과 호교론(護敎論)의 이항대립(二項對立)을 넘어서

│1부│ 주체적 작위

제1장 마루야마 마사오의 세 가지 주체상(主體像)
마루야마의 후쿠자와ㆍ토크빌 이해를 실마리로 삼아
우노 시게키(宇野重規)
1. 머리말 더보기

한국어판 서문

│서장│ 마루야마 마사오와 공공철학
- 논쟁적 구도 -
고바야시 마사야(小林正彌)
1. 공공철학의 개념
2. 전후 사상과 혁신적 공공철학
3. 공공철학의 요건
4. 마루야마 비판의 제 유형과 비방론
5. ‘국민주의자 마루야마’라는 외재적 비판
6. ‘전시(戰時)동원론자 마루야마’라는 비방
7. ‘경고자(警告者)로서 마루야마’와 에콜로지적 재정식화
8. 비방론과 호교론(護敎論)의 이항대립(二項對立)을 넘어서

│1부│ 주체적 작위

제1장 마루야마 마사오의 세 가지 주체상(主體像)
마루야마의 후쿠자와ㆍ토크빌 이해를 실마리로 삼아
우노 시게키(宇野重規)
1. 머리말
2. 초기 마루야마의 주체의 아포리아(Aporia)
3. 주체와 내셔널리즘 - 국민주체 -
4. 후쿠자와 유키치의 전회(轉回)
- 자기상대화 주체(自己相對化 主體) -
5. 마루야마의 토크빌적 계기
- 결사형성적 주체(結社形成的主體) -
6. 맺음말

제2장 마루야마 마사오의 ‘작위’론의 전개
- 재해석과 재정식화(再定式化)를 향해서 -
세키야 노보루(關谷昇)
1. 머리말
2. ‘작위’의 원형(原形)
3. 마루야마의 ‘작위’론의 성립조건
4. ‘작위’론을 둘러싼 외재적 비판의 함정
5. ‘작위’론의 구체적 발전
6. ‘소여에서 작위로’의 논리
7. 맺음말
- ‘자연’과 ‘작위’의 변증법을 향해서 -

│2부│ 파시즘과 시민사회

제3장 마루야마 마사오와 역사를 보는 눈
야마구치 야스시(山口定)
1. 머리말
2. 파시즘 연구와 마루아먀 마사오
3. 마루야마 이론에서 역사의 변동을 보는 눈과 일본 문화
4. 마루야마 이론에서 ‘시민’과 ‘시민사회’
5. 맺음말

제4장 마루야마 마사오와 렌초 데 펠리체
- 두 개의 파시즘론 -
이시다 겐(石田憲)
1. ‘계몽적’ 파시즘론의 계보
2. 마루야마와 데 펠리체의 공통성
- 마르크스주의와 자유주의를 넘어서 -
3. 두 가지 파시즘론의 상호보완 가능성
- 파시즘 해석의 풍요로움 -
4. 이질성의 배경과 양극 분해
- 전전(戰前)과 전후(戰後)의 사이 -
5. ‘계몽’에서 ‘역사’로

제5장 마루야마 마사오의 ‘시민사회’론
히라이시 나오아키(平石直昭)
1. 관심의 소재
2. 마루야마의 ‘시민사회’ 용례와 그 의미연관(意味連關) 검토
3. 마무리

│종장│ 마루야마 마사오의 사상적 발전
- 그 전체상(全體像)의 비판적 재구성 -
고바야시 마사야(小林正彌)
1. 머리말: 시기구분론의 의의
2. 초기=근대주의 시기 - 일본 파시즘 대(對) 주체적 작위 -
3. 중기=역설적 공공주의 시기
- 전후 파시즘 대(對) 시민세계 -
4. 후기=다원적 보편주의 시기
- 고층(古層) 대(對) 정신혁명 -
5. 자연적 작위의 공공철학을 향해서
- 문화와 정치의 포괄적 작위 -

특론(特論) 1
진단자(診斷者)로서 막스 베버와 마루야마 마사오
오가와 아리요시(小川有美)

특론(特論) 2
마루야마 마사오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
- 21세기 공공철학을 위하여 -
야마와키 나오시(山脇直司)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