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대사상과 제자백가 (알집54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중국 고대 사회의 문화와 정신세계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제자백가의 사상을 담았다. 중국 고대 사상 가운데 대표적인 유학, 도교와 도교철학, 법가·묵가·명가 등을 구분하여 해당 사상가들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을 소개하고, 각 학파가 가진 철학적 사유와 개념들을 깊이 있게 다루었다.
고대 중국인들이 가졌던 사유의 형태와 각 학파와 학자들 개개인이 가진 철학적 문제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이론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그리고 사상의 기본적인 내용만을 소개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그것이 출현하게 된 사회·문화적 배경은 물론, 그 시대 살았던 사상가들의 삶을 더불어 조명했다. 그들이 당시 사회에 있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도 빼놓지 않았다.
또한, 각 제자백가 사상가들의 논지를 비교하고, 같은 사건이나 대상을 바라보는 사상가들의 다양한 관점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더욱이 다른 책에서는 잘 다루지 않고 넘어가는 하·은·주 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밝히고, 그것이 어떻게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 사상을 탄생시키게 되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내용의 깊이와 차별성을 두었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중국의 왕조표(王朝表)와 시대별 사상의 특징
Part 1 중국 고대사상과 문화
Ⅰ. 하(夏)·상(商)·주(周)의 문화와 제제도
1. 전설의 성인
2. 고대국가 하·은·주의 문화
Ⅱ. 춘추·전국시대의 문화와 사상
1. 춘추시대: 도전과 응전, 새로운 질서의 탄생
2. 전국시대(戰國時代)
Ⅲ. 고대사상의 형성
1. 자연숭배사상과 천(天)개념의 형성
2. 음양론(陰陽論)
3. 오행론
4. 『주역』의 이해
Ⅳ. 고대의 교육과 제자백가(諸子百家) 개요
1. 고대의 교육더보기
책머리에
중국의 왕조표(王朝表)와 시대별 사상의 특징
Part 1 중국 고대사상과 문화
Ⅰ. 하(夏)·상(商)·주(周)의 문화와 제제도
1. 전설의 성인
2. 고대국가 하·은·주의 문화
Ⅱ. 춘추·전국시대의 문화와 사상
1. 춘추시대: 도전과 응전, 새로운 질서의 탄생
2. 전국시대(戰國時代)
Ⅲ. 고대사상의 형성
1. 자연숭배사상과 천(天)개념의 형성
2. 음양론(陰陽論)
3. 오행론
4. 『주역』의 이해
Ⅳ. 고대의 교육과 제자백가(諸子百家) 개요
1. 고대의 교육
2. 제자백가의 개요
Part 2 유학사상(儒學思想)과 역사적 변천
Ⅰ. 유학의 개념과 역사적 굴절
1. 유학의 명칭과 성격
2. 유학은 종교인가?
3. 사상사적 관점에서 본 유학
4. 오늘날의 유학과 중구
Ⅱ. 공자(孔子)의 사상
1. 공자의 가계와 인물
2. 공자철학의 문제와 목표
3. 인(仁)의 내용과 의미
4. 인의 실천
5. 중용: 지적·도덕적 리더십
6. 정명사상과 정치사상
Ⅲ. 맹자(孟子)의 철학
1. 맹자철학의 목표
2. 맹자의 인간론
3. 맹자의 인식론
4. 맹자의 사회교육관
5. 맹자의 정치사상 : 역성혁명
6. 맹자철학의 의미
Ⅳ. 순자(荀子)의 철학
1. 생애와 저서
2. 순자철학의 문제
3. 순자의 천인관
4. 순자의 성악설(性惡說)
5. 순자의 예론(禮論)과 예치(禮治)
6. 예의 실천을 위한 인식론 : ‘변(辨)’
7. 화성기위(化性起僞)
8. 정명사상
Part 3 도교와 도가철학
Ⅰ. 도교(道敎)
1. 도교의 형성
2. 도교의 수련법
Ⅱ. 노자와 도가철학
1. 노자의 생애와 문제
2. 도(道) 개념의 유형
3. 도의 인식 : 위학(爲學)과 위도(爲道)
4. 무위자연과 도의 실천
5. 노자철학의 의의
Ⅲ. 장자의 철학
1. 장자철학의 문제
2. 장자의 道
3. 장자의 자연론, 인간론
4. 지식론
5. 장자철학의 의미
Part 4 법가(法家)·묵가(墨家)·명가(名家)의 철학
Ⅰ. 전국시대와 법가사상
1. 전국시대의 정세와 개혁사상
2. 한비(韓非)의 법가사상
3. 진시황(秦始皇)과 법가사상
Ⅱ. 묵가(墨家)
1. 묵가(墨家)와 시대상황
2. 묵가의 중심사상
3. 삼표논리(三表論理)와 논리학
4. 묵가의 사상사적 의미
Ⅲ. 명가(名家)의 논리학
1. 명가(名家)는 누구인가?
2. 혜시(惠施)의 사상과 논리
3. 공손룡의 논리사상
4. 후기 묵가의 논리
참고문헌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5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