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주자학 비교 연구 (나34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주자 철학의 본질 = 15
제1장 주자 형이상학과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 = 17
Ⅰ. 서언 = 17
Ⅱ. 주자가 말한 理와 氣의 개념 = 21
1. 물질적 근원으로서의 기 = 21
2. 기와 생명력 = 24
3. 개별 사물의 존재와 리 = 26
Ⅲ. 우주 형이상학으로서의 '理氣論' = 30
1. 형이상과 형이하 = 30
2. 理氣先後 - 附 理動與否 = 33
3. 理 - 分殊 = 37
4. 太極과 理 = 41
5. 型氣同異 -附 氣强理弱 = 44
Ⅳ. 주자 리기론과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 = 47
1. 기와 '현실적 존재'(actual entity) = 48
2. 리와 '영원적 객체'(eternal object) = 51
3. 태극과 신(God) = 54
Ⅴ. 결어 = 58 더보기
책머리에 = 3
제1부 주자 철학의 본질 = 15
제1장 주자 형이상학과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 = 17
Ⅰ. 서언 = 17
Ⅱ. 주자가 말한 理와 氣의 개념 = 21
1. 물질적 근원으로서의 기 = 21
2. 기와 생명력 = 24
3. 개별 사물의 존재와 리 = 26
Ⅲ. 우주 형이상학으로서의 '理氣論' = 30
1. 형이상과 형이하 = 30
2. 理氣先後 - 附 理動與否 = 33
3. 理 - 分殊 = 37
4. 太極과 理 = 41
5. 型氣同異 -附 氣强理弱 = 44
Ⅳ. 주자 리기론과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 = 47
1. 기와 '현실적 존재'(actual entity) = 48
2. 리와 '영원적 객체'(eternal object) = 51
3. 태극과 신(God) = 54
Ⅴ. 결어 = 58
제2장 주자 우주론에 대한 과정철학적 분석 = 62
Ⅰ. 서언 = 62
Ⅱ. 理의 이중성 = 65
Ⅲ. 태극과 리의 관계 = 66
Ⅳ. 유신론, 범신론, 범재신론 = 75
Ⅴ. 무생물에도 性이 있다 = 82
Ⅵ. 理氣는 서로 떨어지지도 서로 혼잡되지도 않는다 = 86
제2부 주자 사상의 전개와 영향 = 96
제3장 元代 및 明初 朱子學의 전개 양상: 도덕적 실천주의 = 99
Ⅰ. 서언 = 99
Ⅱ. 元代의 주자학 실천주의 = 101
1. 원대 시대 상황과 문인 黃幹의 주자학 전파 = 101
2. 許衡의 주자학 실천주의 = 104
3. 원대 주자학과 陸學 = 110
Ⅲ. 明初의 주자학 실천주의 = 113
1. 실천주의화와 심학화 = 113
2. 심학화의 시대적 배경 = 118
3. 명초 4인의 주자학자 = 120
Ⅳ. 결어 = 123
제4장 조선전기 주자학 = 126
Ⅰ. 서언 = 126
Ⅱ. 조선 전기 주자학의 형성과 그 성격 = 128
1. 조선 초기 주자학의 心學化 = 128
2. 權近과 柳崇祖의 心性論 = 130
3. 金宏弼의 『小學』風의 실천주의 = 132
4. 趙光祖의 至治主義의 道學과 心學 = 135
Ⅲ. 退溪의 주자학적 심학 = 141
Ⅳ. 결어 = 148
제5장 朱子 理氣論의 형이상학적 함의와 그 전개 양상: 理氣不相離雜에서 主理論까지 = 152
Ⅰ. 서언 = 152
Ⅱ. 주자 리기론의 형이상학적 본질 = 154
Ⅲ. 명대 曹端(月川)의 '人跨馬'의 해석 = 162
Ⅳ. 벽瑄(敬軒)의 '새와 햇빛'의 비유 = 163
Ⅴ. 羅欽順(整庵)의 '理氣渾一'의 理氣論 = 166
Ⅵ. 李珥(栗谷)의 '理氣之妙論' = 170
Ⅶ. 李滉(退溪)의 '主理論' = 174
Ⅷ. 결어 = 177
제3부 중국과 한국의 주자학 비교 연구 = 181
제6장 王陽明과 李退溪 = 183
Ⅰ. 서언 = 183
Ⅱ. 朱子學에서 陽明學에로 = 187
Ⅲ. 陽明의 주자학 비판극복 = 192
1. 格物에서 致良知로 = 192
2. 心性二分의 二元論에서 致良知의 一元論으로 = 196
Ⅳ. 退溪의 주자학 계승심화 = 200
1. 理氣論에 있어서의 理動說 = 200
2. 四七論에 있어서의 理發說 = 203
3. 格物說에 있어서의 理到說 = 207
4. 퇴계의 敬과 朱子學的 小學 = 211
Ⅴ. 결어 = 214
제7장 羅欽順과 季栗谷 = 218
Ⅰ. 서언 = 218
Ⅱ. 나순흠의 '理氣渾一'의 철학 = 222
1. 나순흠의 理氣論 = 222
2. 나흠순의 心性論 = 241
Ⅲ. 율곡의 '理氣之妙'의 철학 = 256
1. 율곡 理氣論의 특징 = 256
2. 율곡 心性論의 특징 = 276
Ⅳ. 결어 = 291
제8장 睡隱 姜沆의 애국정신과 일본에의 주자학 전파 = 297
Ⅰ. 서언 = 297
Ⅱ. 수은 강항은 누구인가? = 299
Ⅲ. 수은 강항의 애국정신 = 303
Ⅳ. 수은 강항의 일본에의 주자학 전파 - 후지와라(藤原惺窩)와의 관계 = 307
1. 후지와라와의 만남 = 307
2. 강항의 遺文과 遺墨 = 312
3. 조선 釋奠의 모방 = 316
4. 후지와라의 송학에의 열정 = 316
5. 조선 深衣 제도의 수용 = 319
Ⅴ. 결어 = 321
부록
제9장 성리학과 환경철학 = 323
Ⅰ. 서언 = 323
Ⅱ. 인간중심주의와 자연중심주의 자연관 = 325
1. 현대 환경윤리학의 상반된 자연관 = 327
2. 유가사상의 자연관 = 328
Ⅲ. 성리학의 인문주의적 생태주의 = 331
1. 성리학의 유기체적 자연관(우주관) = 331
2. 유가사상의 인문주의 = 333
3. 왕양명의 탈인간중심주의적 경향 - 주자와의 비교 = 336
4. 성리학의 인문주의적 생태주의 = 339
Ⅳ. 결어 = 341
찾아보기 = 348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5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