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으로서의 편집자 (반양장) - 현대 독일 프로테스탄티즘과 출판의 역사 (알인7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주로 빌헬름 제정기 말 이후 바이마르 시기에 걸친 독일 사상사이다. 한마디로 사상의 격변기에서 당대 새롭게 위상을 얻은 편집자들을, 사상의 텍스트를 사회화하는 존재로서 다루고 있다. 제목에서 짐작해볼 수 있듯이, 한 시대의 편집자는 텍스트라는 구체적 대상과 역동적으로 대화하면서 하나의 ‘사상 그 자체가 되어’ 생산적인 지적 운동을 촉진한다. 이러한 시각에 비추어 오늘날 한국 출판계가 맞닥뜨린 여러 가지 도전과 난제들을 풀어가는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헤아릴 수 없는 방대한 양의 책이 쏟아져 나오지만, 과연 이 책이 다루는 시기의 편집자들과 출판사에 비교해볼 때, 오늘날 편집자들은 어떠한 지성의 프로모터로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편집자로서 그 위상은 오늘날 한국 지성계에서 온당히 평가되고 있는가? 출판의 대중화가 불러올 수 있는 새로운 지식?정보 세계의 흐름 속에서 편집자는 스스로 그 대답을 가지고 있는가?
출판과 편집에 관심을 갖고 있는 독자, 편집자 그리고 저자들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토론의 자료로서 이 책이 때맞춰 출간된 것에 대하여 긍정적 신호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판 서문
프롤로그 편집자란 누구인가? 누가 편집자인가?
1948년에 일어난 사건: 틸리히+애덤스+위크=「프로테스탄트 시대」|‘편집자’는 어디에 있는가: 사상사 연구에서 편집자가 선 위치|‘브라이언 S. 엡스타인’이라는 샘플|근대 프로테스탄티즘에서의 사상가와 출판사|편집자란 누구인가?|누가 편집자인가?
|제1부| 편집자란 누구인가?
|제1장| 디더리히스 출판사와 독일 프로테스탄티즘
1 오이겐 디더리히스는 누구인가?
표현주의 시대의 주인공은 바로 디더리히스였다!|출판을 통해 낳은 자식들|디더리히스가 꿈꿨던 출판이란?|디더리히스 출판사는 기존의 신학 전문 출판사와 무엇이 달랐는가?
2 고가르텐의 두 스승신학적 아방가르드, 고가르텐과 디더리히스
3 막스 베버 뒤의 ‘숨은 그림자’, 디더리히스편집자의 시점에서 본 「직업으로서의 학문」
4 ‘교회 밖의 기독교’와 디더리히스
5 시골 목사 바르트, 세상으로 나오다!편집자의 관점에서 본 초기의 바르트와 1920년대 신학
바르트의 「로마서 강해」와 디더리히스|1920년 2월의 만남|알베르트 렘프의 역할
6 저자의 사상과 편집자의 사상 사이에서
사상사의 ‘숨은 모퉁잇돌’, 그것을 찾는 데 필요한 ‘편집자의 사상’|사상적 텍스트와 사회사적 콘텍스트|‘저자의 사상’과 ‘편집자의 사상’은 구별 가능한가?
|제2장| 정치와 편집자
1 정치적 편집자, 빌리 뮌첸베르크
한국어판 서문
프롤로그 편집자란 누구인가? 누가 편집자인가?
1948년에 일어난 사건: 틸리히+애덤스+위크=「프로테스탄트 시대」|‘편집자’는 어디에 있는가: 사상사 연구에서 편집자가 선 위치|‘브라이언 S. 엡스타인’이라는 샘플|근대 프로테스탄티즘에서의 사상가와 출판사|편집자란 누구인가?|누가 편집자인가?
|제1부| 편집자란 누구인가?
|제1장| 디더리히스 출판사와 독일 프로테스탄티즘
1 오이겐 디더리히스는 누구인가?
표현주의 시대의 주인공은 바로 디더리히스였다!|출판을 통해 낳은 자식들|디더리히스가 꿈꿨던 출판이란?|디더리히스 출판사는 기존의 신학 전문 출판사와 무엇이 달랐는가?
2 고가르텐의 두 스승신학적 아방가르드, 고가르텐과 디더리히스
3 막스 베버 뒤의 ‘숨은 그림자’, 디더리히스편집자의 시점에서 본 「직업으로서의 학문」
4 ‘교회 밖의 기독교’와 디더리히스
5 시골 목사 바르트, 세상으로 나오다!편집자의 관점에서 본 초기의 바르트와 1920년대 신학
바르트의 「로마서 강해」와 디더리히스|1920년 2월의 만남|알베르트 렘프의 역할
6 저자의 사상과 편집자의 사상 사이에서
사상사의 ‘숨은 모퉁잇돌’, 그것을 찾는 데 필요한 ‘편집자의 사상’|사상적 텍스트와 사회사적 콘텍스트|‘저자의 사상’과 ‘편집자의 사상’은 구별 가능한가?
|제2장| 정치와 편집자
1 정치적 편집자, 빌리 뮌첸베르크
좌와 우의 괴벨스?|빌리 뮌첸베르크는 누구인가?|신문의 편집과 정치 활동|뮌첸베르크의 미디어 수법
2 정치적 디자이너로서의 편집자, 괴벨스
일독 합작영화 <사무라이의 딸>|파울 요제프 괴벨스는 누구인가?|‘편집자’의 정의|국민 라디오
3 출판사의 정치적 미학(美學), 로볼트 부자
‘무정치성’이라는 정치적 입장|로볼트와 그 시대|‘무정치성’인가? 혹은 ‘대중 영합’인가?: ‘무정치성’이라는 이름의 ‘정치성’|책 속에 함께 녹아 있는 ‘편집자의 사상’과 ‘출판사의 정치성’
|제3장| 근대 출판사의 정치적 기능
1 ‘신학사전’의 정치학
리츨 학파와 ‘신학사전’|‘신학사전’ 편찬의 사회사|출판사 정치|새로운 ‘신앙고백’으로 탄생한 ‘신학사전’
2 ‘번역’의 정치학
숨겨진 정치|디더리히스 출판사와 번역|그라베르트 출판사|‘번역의 정치학’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관점
3 크리스티안 카이저 출판사의 시작과 끝박물관이 되어버린 카이저 출판사의 옛 영광
‘창업’부터 「로마서 강해」의 성공에 이르기까지|파괴나 비판으로부터 창조적 건설을 향하여|나치스 시대와 크리스티안 카이저 출판사|전후의 발전과 갑작스러운 종언|크리스티안 카이저 출판사 매각이 남긴 질문들
|제2부| 누가 편집자인가?
|제4장| 편집자와 시장
1 사상의 가치는 시장에서 결정되는가?
디더리히스의 시장조사|문화와 시장
2 파울 틸리히와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의 ‘대중론’
3 시장을 지배하는 내셔널리즘과 출판나치스 시대의 종교출판사
1933년을 뜨겁게 달군 책들|제3제국에서의 기독교계 저널리즘|프로테스탄트 출판사와 제3제국|최대의 매스미디어로서 존재한 교회의 설교 강단|프로테스탄티즘과 내셔널리즘
4 ‘대중’이라는 이름의 편집자
신문사의 새로운 향기?: ≪르몽드≫ 매수와 그 정치적 여파|≪프랑크푸르터 차이퉁≫의 아이러니|‘대중’이라는 이름의 편집자
에필로그 ‘사상으로서의 편집자’를 꿈꾸다
‘이제 출판사는 필요 없는 것’인가?|‘편집자(출판사) 없는 사상’과 마주한 편집자|편집자의 ‘대사(大使)로서의 역할’과 그 균형
주(註)
참고문헌
집필 후기
서평비판적 사상으로서의 편집이라는 영위(??)_니시타니 요시히데
서평한국 독자들에게 이 책을 소개하며_낙운해
역자 후기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5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