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면 재미있는 우리 민속의 유래 (알민5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새책
도서 설명
제Ⅰ장 세시 풍속(歲時風俗)
01 우리 설과 까치설의 어원(語源) / 14
02 신위(神位)와 차례상?제사상은 왜 북쪽으로 모시는가? / 20
03 세배로 간주(看做)되는 문안비(問安婢)와 세함(歲銜) / 26
04 야광귀신이 정말 체의 구멍 수를 셌을까? / 31
05 풍년 기원(豊年祈願)의 쥐불놀이와 달맞이 불놀이 / 35
06 정월 열나흗날 잠자면 눈썹 센다 / 41
07 정월 열나흗날 오곡밥과 나물, 그리고 나무 아홉 짐 / 46
08 부럼 깨물기와 귀밝이술, 그리고 더위팔기 / 52
09 과일나무도 시집을 보낸다 / 57
10 액(厄)막이연과 전술(戰術)에 이용된 연(鳶) / 62
11 놋다리밟기의 놋다리는 비단다리[羅橋(나교)]다 / 69
12 줄다리기는 여자 편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 / 75
13 중화척(中和尺)은 중용(中庸)의 정사(政事)를 의미한다 / 79
14 머슴날에 노비 송편 먹고 1년 농사를 시작한다 / 84
15 삼짇날에 화전놀이 간다 / 89
16 한식날은 묘제(墓祭)를 지내고 찬밥 먹는다 / 93
17 초파일의 탑돌이와 연등 달기 / 98
18 단오절의 의미와 초(楚)나라 굴원(屈原) 이야기 / 103
19 그네뛰기를 왜 추천(?韆)이라고 하였을까? / 108
20 수릿날 떡이 정말 수레바퀴를 닮았을까? / 113
21 태종 임금이 내리게 하는 태종우(太宗雨)와 기우제(祈雨祭) / 118
22 동류(東流)에 머리 감는 유두일(流頭日) / 123
23 삼복(三伏) 더위와 시절 음식(時節飮食) / 128
24 삼복(三伏)의 천렵(川獵)과 어죽(魚粥) / 132
25 칠월 칠석의 견우와 직녀 / 137
26 백중(百中)은 머슴 잔칫날 / 143
27 우란분회(盂蘭盆會)와 49재(齋)의 의미 / 147
28 추석과 송편 / 152
29 거북아 거북아 놀아라 / 157
30 강강술래, 강강수월래 / 163
31 동동팔월의 반보기 / 167
32 중양절의 국화전(菊花煎)과 국화주(菊花酒) / 172
33 가갸날은 한글날 / 177
34 단군 신화(檀君神話)와 개천절(開天節) / 183
35 동지(冬至)와 팥죽 / 188
36 12월의 납일(臘日)과 납약(臘藥) / 194
37 손 없는 윤달[閏月(윤월)] / 200
제Ⅱ장 일반 풍속(一般風俗)
01 왼새끼로 만든 금줄 / 206
02 백일상(百日床)의 백설기는 누구를 위한 떡일까? / 209
03 너 ○○ 하면 엄마 죽는다 / 213
(1) 너 생쌀[生米(생미)] 먹으면 엄마 죽는다 / 214
(2) 너 밤에 손톱 깎으면 엄마 죽는다 / 214
(3) 너 비 오는 날 머리 감으면 엄마 죽는다 / 215
(4) 너 대나무 지팡이 짚으면 엄마 죽는다 / 217
04 망자(亡者)를 잉태하는 둥근 무덤 / 218
05 짐승을 제어(制御)하는 워낭 소리 / 221
06 어디든지 딱 들어맞는 안성맞춤(安城 -) / 225
07 우리가 가장 좋아하는 숫자 3(三) / 229
제Ⅲ장 절기(節氣)와 간지(干支)
01 24절기(節氣)와 72절후(節候) / 238
02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 / 260
(1) 십간(十干)의 의미 / 260
(2) 십이지(十二支)의 의미 / 265
03 십이지(十二支)의 열두 동물 / 271
(1) 열두 동물의 유래 / 271
(2) 열두 동물의 상징적 의미 / 277
참고 문헌 / 286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