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면극과 그 주변 문화 (나16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인데 년도 적힌 판권지가 없음
도서 설명
책머리에 3
제1장 한국 가면극과 그 주변 공연문화의 역사적 고찰
Ⅰ. 고대의 한류로서 우리 공연예술이 동아시아에 미친 영향
1. 머리말 15
2. 고대 한류로서의 고구려 공연예술 17
1) 중국에 전해진 고구려의 공연예술 22
2) 일본에 전해진 고구려의 공연예술 30
3. 고대 한류로서의 백제 공연예술 32
4. 고대 한류로서의 신라 공연예술 36
5. 마무리 40
Ⅱ. 양주별산대놀이의 지속과 변화
1. 머리말 43
2. 연희 내용의 지속과 변화 46
3. 대사의 지속과 변화 56
4. 춤사위의 지속과 변화 64
5. 음악의 지속과 변화 68
6. 가면의 지속과 변화 70
7. 연희자의 지속과 변화 80
8. 양주 지역에서 별산대놀이가 차지하는 위치 85
9. 마무리 91
Ⅲ. 북청 토성리 관원놀이의 유래와 전승양상
1. 머리말 95
2. 토성리의 지리적 배경과 관원놀이의 유래 97
3. 관원놀이의 준비과정 101
4. 관원놀이의 거행 절차와 내용 104
1) 닐리리춤 104
2) 치죄(治罪) 105
3) 관원 행차(行次) 108
4) 치제(致祭) 111
5) 횃불싸움(성야주놀이 또는 중군 지지기놀이) 112
6) 사자놀이 113
5. 관원놀이의 특징과 의의 113
Ⅳ. 한국 민속극 연구의 현황과 전망
1. 머리말 116
2. 연구사 개관 119
3. 기존연구의 문제별 검토 124
1) 민속학적 현장 연구 124
2) 민속극의 기원과 역사적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 127
3) 연극적 형식에 대한 연구 144
4) 대사와 삽입가요에 대한 연구 151
5) 주제와 사회의식에 대한 연구 153
6) 연희자에 대한 연구 156
7) 외국 연극과의 비교 연구 162
8) 예술적 측면에 대한 연구 164
4. 연구의 전망과 방향 168
제2장 한국의 가면과 세계의 가면
Ⅰ. 한중(韓中) 가면극에 등장하는 가면의 조형성
1. 머리말 173
2. 한국 가면극에 등장하는 가면의 형태와 미학 174
3. 중국 가면극에 등장하는 가면의 형태와 미학 189
4. 한중 가면극에 등장하는 가면의 비교 197
1) 한중 가면극에 등장하는 가면의 공통점 197
2) 한중 가면극에 등장하는 가면의 차이점 202
5. 마무리 204
Ⅱ. 세계 가면의 유형
1. 머리말 208
2. 풍농을 기원하는 제의에서 사용하는 가면 209
3. 악귀를 쫓는 의식에서 사용하는 가면 211
4. 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식에서 사용하는 가면 213
5. 장례식 때 사용하는 가면 214
6. 토템을 표현하는 가면 217
7. 신을 나타내는 가면 218
8. 기우제에서 사용하는 가면 220
9. 입사식에서 사용하는 가면 221
10. 짐승을 사냥할 때 사용하는 가면 223
11. 전쟁에 나갈 때 착용하는 가면 223
12. 축제 때 쓰는 가면 224
13. 가면극이나 무용에서 사용하는 가면 226
14. 마무리 229
Ⅲ. 세계 여러 나라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과정
1. 머리말 230
2. 한국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 과정 234
1)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 과정 235
2) 마을굿놀이 계통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 과정 242
3. 중국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 과정 245
1) 나례의 기원과 고나(古儺)시대 246
2) 가면극으로서의 나희의 형성과 금나(今儺)시대 248
4. 일본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 과정 252
1) 노오(能)의 기원 253
2) 노오(能)의 형성과 발전 과정 255
5. 티벳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 과정 257
1) 장희의 기원 258
2) 장희의 형성과 발전 과정 261
6. 태국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 과정 263
1) 콘의 기원 263
2) 콘의 형성과 발전 과정 266
7. 인도네시아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 과정 268
1) 토펭(Topeng)의 기원 268
2) 토펭의 형성과 발전 과정 270
8. 멕시코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 과정 271
1) ‘호랑이의 춤’의 기원과 발전 과정 271
2) ‘무어인들과 기독교인들의 춤’의 기원과 발전 과정 274
9. 나이지리아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 과정 275
1) 에군군의 기원과 발전 과정 276
2) 몬우의 기원과 발전 과정 281
10. 말라위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 과정 285
1) 굴레 왐쿠루의 기원 287
2) 굴레 왐쿠루의 형성과 발전 과정 288
11. 세계 여러 나라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 과정의 양상 292
1) 기원의 양상 293
2) 발전 과정의 양상 296
제3장 한국 가면극과 전통연희의 연희자
Ⅰ. 재인청의 전통연희와 전승실태
1. 머리말 303
2. 재인청이 참가했던 각종 행사 304
1) 재인청과 중국 사신 영접 행사 306
2) 재인청과 나례 309
3) 재인청과 환궁 행사 310
4) 재인청과 문희연 312
5) 재인청과 기타 행사 318
3. 재인청 전통연희의 전승실태 323
4. 마무리 328
Ⅱ. 반인의 다양한 활동과 본산대놀이의 전승
1. 머리말 330
2. 반인의 유래와 변천 332
3. 백정의 종류와 그 활동양상 335
1) 백정의 유래 335
2) 신백정 340
3) 재백정과 고리백정, 고리재인 341
4) 화척, 화백정 342
5) 수척 343
4. 전통연희의 담당층으로서의 반인 346
1) 나례와 중국 사신 영접행사의 연희자 반인 347
2) 본산대놀이의 연희자 반인 354
5. 마무리 358
Ⅲ. 해서탈춤의 악사와 재인촌
1. 머리말 360
2. 한국 가면극 악사의 전반적 성격 363
1) 서울 경기도의 산대놀이와 별산대놀이의 악사 363
2) 경남의 야류와 오광대의 악사 369
3) 기타 가면극의 악사 370
3. 해서탈춤 악사의 유래와 특징 370
4. 악사가 해서탈춤의 연희에 끼친 영향 386
5. 마무리 388
Ⅳ. 재승(才僧) 계통의 연희자
1. 머리말 391
2. 삼국?통일신라시대의 재승 계통 연희담당층 393
3. 고려시대의 재승 계통 연희담당층 395
4. 조선시대의 재승 계통 연희담당층 399
5. 중국과 일본의 재승 계통 연희자 414
6. 마무리 422
부록 425
한국 민속극 관련 논저 목록 427
참고문헌 482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