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어푸드 - 깨어 있는 소비자에서 참여하는 음식시민으로 (알집28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지금의 고장 난 먹거리체계를 그래도 둘 수는 없다. 그렇다면, 이를 대체할 새로운 먹거리체계는 어떤 것이어야 할까? 헤스터먼은 새로운 먹거리체계 창조의 네 가지 원칙으로 공평성, 다양성, 생태학적 온전성 그리고 경제적 활력을 제시한다. 저자는 먹거리체계에서 공평성equity을 사회 정의의 문제로 본다.
소비 부문에서는 지역에서 생산된, 적정 가격의,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된 먹거리를 ‘모든’ 이들이 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생산 부문에서는 농식품 생산자들의 정당한 임금 보장이나 열악하고 비인간적인 노동 여건에서 일해야 하는 현실의 개선을 의미한다. 또한 토지와 물에 대한 보다 공평한 접근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당위 역시 이 공평성의 원칙에서 이야기된다.
목차
옮긴이의 글 6
개정판 서문 12
들어가는 글 18
1부 고장 난 먹거리체계
1장 먹거리체계와 그 기능 장애 31
2장 문제는 바로 이것 55
환경 관련 57 / 음식과 건강 66 / 사회적 불평등 76
2부 페어푸드 체계의 원칙
3장 페어푸드 체계 91
건강에 좋은 먹거리에 대한 평등한 접근 93 / 좋은 노동 조건과 직업에 대한 공정한 접근 109
물과 토지에 대한 평등한 접근 117
4장 다양성이 주는 활력 130
다양성체계에서의 경작과 축산 통합 132 / 작물 다양화와 소비자 다양화 135
사업 구조의 다양화 140 / 다문화주의의 역할 147
더보기
옮긴이의 글 6
개정판 서문 12
들어가는 글 18
1부 고장 난 먹거리체계
1장 먹거리체계와 그 기능 장애 31
2장 문제는 바로 이것 55
환경 관련 57 / 음식과 건강 66 / 사회적 불평등 76
2부 페어푸드 체계의 원칙
3장 페어푸드 체계 91
건강에 좋은 먹거리에 대한 평등한 접근 93 / 좋은 노동 조건과 직업에 대한 공정한 접근 109
물과 토지에 대한 평등한 접근 117
4장 다양성이 주는 활력 130
다양성체계에서의 경작과 축산 통합 132 / 작물 다양화와 소비자 다양화 135
사업 구조의 다양화 140 / 다문화주의의 역할 147
5장 우리를 먹여 살리는 땅 살리는 법 154
화학제품 사용량 감축 156 / 소를 다시 목초지로 데려가기 161
6장 녹색경제 살리기 178
사각 지대에 관심 쏟기 184 / 지역 주민 소유 소매점의 활약 189
로컬푸드 경제의 힘 191 / 먹거리 공급사슬 다시 그리기와 개조하기 194
3부 의식 있는 소비자에서 참여시민으로
7장 페어푸드 운동가 되기 207
부엌에서, 지역에서 210 / 부엌 너머에서 221
8장 기관 먹거리의 혁신 241
좋은 먹거리로 학교 음식 만들기 245 / 대학생과 대학 캠퍼스인 경우 252
9장 공공정책 혁신 269
먹거리정책위원회 270 / 농지 보전 281 / 혁신적인 경제정책 284
공공기금을 통한 먹거리 공급 290 / 농업법 294
부록 319
참고문헌 및 주석 342
찾아보기 354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5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