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처럼 먹고 왕처럼 살아라 (알오12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한의사가 말하는 조선의 왕들의 건강 비결을 무엇일까?
이 책은 한의학과 민간요법, 상식을 통해 건강한 삶을 살았던 조선시대 왕과 왕비, 왕자들의 건강비법을 통해 우리네 전통 건강비법을 알려준다. 왕실의 일상적인 건강생활습관에서부터 건강과 장수를 위한 양생법과 금기법을 알아보고, 이를 현대인들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응용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부분도 있어 유익하다.
조선 전기 왕들이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즐겼던 격구라는 운동, 몸상태와 재료에 따라 최상의 보약이 될 수 있었던 죽, 100일간 산후조리에 신경썼던 조선의 왕비들 등, 지금 읽어도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이 담겨있다.
또한 6장에서는 조선의 첫번째 왕 태조부터 27대 순종까지의 죽음을 다루며, 건강한 왕과 그렇지 못했던 왕의 생전의 생활과 식습관 등을 분석해 그 원인을 나름대로 추측해내고 있다.
머리말_ 몸이 최고의 재산인 시대다
1장 건강을 경영하라
여러분도 조선의 왕처럼 살 수 있다
왕은 최고의 건강관리 시스템을 누렸다
왕은 최고의 음식문화를 누렸다
2장 왕들은 어떤 음식을 먹었을까
나도 조선의 왕처럼 먹어볼까
- 건강한 식사법은 규칙적인 식사습관에서 시작된다
- 밥이 보약이다
- 죽도 잘 먹으면 보약이다
- 차는 후식이 아니라 건강음료다
특별한 날 왕들을 위한 궁중의 음식
- 연회 때에는 음식도 특별하게 준비한다
- 궁중의 특수음식은 무엇이 있었을까
궁중음식으로 현대인의 건강을 경영한다
- 제철에 먹으면 더욱 이롭다
- 보양음식으로 몸을 더욱 보한다
왕들은 어떤 술을 마셨을까
- 궁중의 술은 특별하다
- 술도 제대로 알고 마시면 약이다
- 이런 질병은 음주가 불가하다
- 술 마실 때 이런 것은 주의하라
- 술 마신 후가 더욱 중요하다
- 숙취 해소는 잘하면 100점이다
3장 왕들은 어떤 운동을 하였을까
나도 조선의 왕처럼 스트레스 풀어 볼까
- 업무로 오는 스트레스 푸는 운동법
- 취미와 여가 생활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법
왕들의 온천 목욕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
- 혈액 순환에 좋은 전신욕
- 체내 순환에 좋은 반신욕
- 수험생에게 좋은 족욕
- 질병 예방에 좋은 냉온욕
왕들은 어떤 양생법과 금기법을 사용했을까
- 일반 양생법 - 계절별 양생법
- 방노시 양생법 - 도인안교법
4장 왕비의 건강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조선의 왕비는 어떻게 간택되었을까
왕비 회임하시다
- 회임에도 법도가 있다
- 입덧은 엄마에게도 아기에게도 고통이다
- 궁중의 태교법은 어떠했을까
궁중에서의 출산을 보아하니
- 왕비의 산후조리는 어떠했을까
- 유산 후 조리는 필수이다
궁중에서 겪는 왕비의 화병
5장 왕자의 건강 관리법은 어떠했을까
태어나서 돌까지는 기본이다
아파도 어지간하면 그냥 지켜보아라
- 경기를 일으킬 때는 이렇게 하라
- 도한이 날 때는 이렇게 하라
- 야뇨가 있을 때는 이렇게 하라
- 알레르기성 비염과 아토피성 피부염
우리 아이 더 똑똑하게 더 크게
- 수험생과 총명탕
- 성장의 비밀은 있을까
- 녹용은 1년 내내 먹어도 좋다
6장 왕들은 어떻게 죽었을까
왕들의 죽음에는 이유가 있었다
- 1대 태조 - 2대 정종 - 3대 태종 - 4대 세종 - 5대 문종 - 6대 단종
-7대 세조 - 8대 예종 - 9대 성종 - 10대 연산군 - 11대 중종 - 12대 인종
- 13대 명종 - 14대 선조 - 15대 광해군 - 16대 인조 - 17대 효종
- 18대 현종 - 19대 숙종 - 20대 경종 - 21대 영조 - 22대 정조
- 23대 순조 - 24대 헌종 - 25대 철종 - 26대 고종 - 27대 순종
7장 장수한 왕들은 이유가 있다
장수한 왕들의 특별한 이유
- 강인한 체력의 소유자였던 태조
- 격구를 가장 좋아한 정종
- 균형감 있게 건강을 관리한 광해군
- 저항 능력이 뛰어났던 숙종
- 소식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했던 영조
- 맵고 짠 음식을 싫어한 고종
맺음말_ 장수를 누리는 사람의 평범한 건강관리법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