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본 대백제 - 백제는 참으로 위대했던 왕국 (알역51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서언
I. 광시(廣西) 「南寜市 百濟鄕」은 ‘백제’의 고토(故土)
1. 廣西 ‘백제허(百濟虛)’ 전경
2. 장족(壯族)은 「百濟虛」를 「Daejbakcae·대박체」로 발음
3. 백제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는가?
4. 「백제향(百濟鄕)」은 흑치상지(黑齒常之)의 고향
5. 흑치국(黑齒國)은 어디에 있나?
6. 백제향(百濟鄕)의 ‘장족’은 흑치족(黑齒族)의 후예
7. 나의 廣西 百濟鄕 방문기
II. 『수서(隋書)』의 「담모라국은 「百濟 附庸國」
1. 『수서』 권81 열전(列傳) 백제전의 명문(釋文)
2. 『삼국사기』 권 27 백제 위덕왕(威德王) 36년조
3. 『수서』의 ‘담모라국은 어디인가?
4. 『일본서기』 제명기(齊明紀) 7년(659)조
III. 「칠지도(七支刀)」는 百慈王이 侯王(倭王 旨)에게 준 증표
1. 칠지도(七支刀) 명문의 판독
2. 칠지도(七支刀) 명문은 하행문(下行文) 더보기
서언
I. 광시(廣西) 「南寜市 百濟鄕」은 ‘백제’의 고토(故土)
1. 廣西 ‘백제허(百濟虛)’ 전경
2. 장족(壯族)은 「百濟虛」를 「Daejbakcae·대박체」로 발음
3. 백제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는가?
4. 「백제향(百濟鄕)」은 흑치상지(黑齒常之)의 고향
5. 흑치국(黑齒國)은 어디에 있나?
6. 백제향(百濟鄕)의 ‘장족’은 흑치족(黑齒族)의 후예
7. 나의 廣西 百濟鄕 방문기
II. 『수서(隋書)』의 「담모라국은 「百濟 附庸國」
1. 『수서』 권81 열전(列傳) 백제전의 명문(釋文)
2. 『삼국사기』 권 27 백제 위덕왕(威德王) 36년조
3. 『수서』의 ‘담모라국은 어디인가?
4. 『일본서기』 제명기(齊明紀) 7년(659)조
III. 「칠지도(七支刀)」는 百慈王이 侯王(倭王 旨)에게 준 증표
1. 칠지도(七支刀) 명문의 판독
2. 칠지도(七支刀) 명문은 하행문(下行文)
3. 일본학계의 칠지도 명문의 해석
4. 칠지도(七支刀) 명문의 해석
5. 「왜왕 旨(지)」 그는 누구인가?
IV. 백제 무령왕(武寧王)의 탄생지는 北九州의 「가카라시마(加唐島)」
1. 가카라시마(加唐島) 전경 52
2. 『일본서기』 웅략기(雄略紀) 6년(461)조
3. 무령왕은 502년 환국 전 「倭王」 위에 있었다?
4. 나의 규슈(九州) 가카라시마(加唐島) 방문기
Ⅴ. 긴키(近畿) 「百濟郡 百濟鄕」의 소재지는 오늘의 大阪市 生野區
1. 『표준일본사지도(標準日本史地圖)』에서 보는 「大倭國」의 방위
2. 김달수(金達寿)의 「일본 속에 살아있는 韓國」
3. 「百濟·구다라」는 지금도 일본 땅에서 숨 쉬고 있다
4. 「藤ノ木(후지노끼)」 고분의 피장자는 백제 왕족(侯王)
5. 일본은 왜 ‘百濟’를 ‘구다라’라고 하는가?
VI. 남규슈 남향촌 출토 大王銘 말방울
1. 남향촌(南鄕村·난고손)의 「大王방울」
2. 감은사 터 출토 「大王방울」은 남향촌의 것과 흡사
3. 감은사 터 출토 「大王방울」은 백제왕의 하사물
VII. 『일본서기』의 「천황·붕(崩)」 「백제왕·훙(薨)」은 날조
1. 『일본서기』의 성립배경
2. 『일본서기』는 변개(變改)·조작된 것
3. 「붕(崩)」과 「훙(薨)」의 차이는 ‘대왕’과 ‘후왕’의 차이
4. 무령왕의 서거는 대왕의 죽음·「붕(崩)」
5. 맺는말 101
VIII. 일본의 고대국가 大倭(대왜)의 기원은 韓國(한국)
1. 韓과 大倭의 나라들
2. 大倭의 생활문화 – 韓과 흡사하다
3. 大倭의 통치구조 – 이중적(二重的) 구조
4. 大倭는 규슈(九州)지방을 평정하고, 혼슈(本州)에 「百濟郡」 설치
5. 맺는말
결어
참고문헌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