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동란과 트로이목마 (알역74코너)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현재 우리 국민들은 6·25동란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현대사상연구회에서는 북한, 종북좌익세력의 위험성을 일반 국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이 책을 저술하였다. 이 책은 6·25동란에서의 좌익의 역할을 포커스로 하여 집중 조명한 첫 사례가 될 것이다. “좌익은 대한민국 국민이 아니냐” “좌·우 한편으로 치우치지 말고 중립적 입장에 서는 것이 타당하다”는 등 좌익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자 한다.
목차
목차
머리말.4
제1장 | 들어가면서
제1절 6·25동란과 트로이목마.17
제2절 6·25동란의 개관.24
1. 준비과정·24
2. 전쟁의 발발·28
3. 전쟁의 전개·35
제2장 | 6·25동란과 남한 좌익
제1절 개 관.51
제2절 6·25동란의 발발과 남한 좌익.58
1. 6ㆍ25동란을 불러온 남한 좌익·58
2. 6ㆍ25 이전 남한 좌익의 실태와 제거과정·65
(1) 전쟁 전 남한 좌익의 실태·65
(2) 전쟁 전 좌익세력 제거작업·77
1) 정치ㆍ사회내 남로당세력 제거작업·77
2) 군내 좌익세력 제거작업(숙군작업)·85
(3) 6ㆍ25 발발 직전 이해하기 힘든 군내 상황·92
제3절 북한의 3개월간 남한점령지역 통치 실상.105더보기
머리말.4
제1장 | 들어가면서
제1절 6·25동란과 트로이목마.17
제2절 6·25동란의 개관.24
1. 준비과정·24
2. 전쟁의 발발·28
3. 전쟁의 전개·35
제2장 | 6·25동란과 남한 좌익
제1절 개 관.51
제2절 6·25동란의 발발과 남한 좌익.58
1. 6ㆍ25동란을 불러온 남한 좌익·58
2. 6ㆍ25 이전 남한 좌익의 실태와 제거과정·65
(1) 전쟁 전 남한 좌익의 실태·65
(2) 전쟁 전 좌익세력 제거작업·77
1) 정치ㆍ사회내 남로당세력 제거작업·77
2) 군내 좌익세력 제거작업(숙군작업)·85
(3) 6ㆍ25 발발 직전 이해하기 힘든 군내 상황·92
제3절 북한의 3개월간 남한점령지역 통치 실상.105
1. 남한점령지역에서의 공산세력의 활동·105
(1) 서울점령 후 김일성의 지시·105
(2) 점령 직후 남한 좌익의 태도·108
(3) 점령지역내 공산통치조직의 결성·113
(4) 좌익세력의 특성과 활동 양상·118
1) 좌익활동을 한 사람들 분석·118
2) 공산치하 좌익의 역할·129
2. 3개월간의 공산치하 생활의 고통·132
(1) 피난 가는 사람들·132
(2) 공산세력에 의한 민간인 피해 유형·140
1) 강제징집병 동원·140
2) 6ㆍ25동란 납북자·144
3) 좌익의 민간인 학살·149
(가) 민간인 피살자의 규모·149
(나) 학살의 주체와 대상, 그리고 그 이유·150
(다) 학살방법 : 인민재판, 잔인한 무단처형 등·159
(라) 시기별 학살방법의 변화 : 인천상륙작전으로 학살 집단화·163
(마) 전체 피살자의 80% 이상이 호남인·166
(바) 학살의 후유증과 사회적 영향·170
제4절 서울수복 이후의 양태.174
1. 북한에서의 실상·174
(1) 북한에서의 민간인 학살·174
(2) 유엔군 북진 때 북한내 반공투쟁활동·177
2. 남한에서의 실상·179
(1) 좌익들의 도피·179
(2) 빨치산 토벌과정에서의 민간인 피해·187
제3장 | 6·25동란과 현재
제1절 6·25동란의 성격.195
1. 왜곡된 전쟁·195
2. 끝나지 않은 전쟁·209
3. 남한 좌익이 참여한 사상전쟁·212
4. 6ㆍ25전쟁이냐 6ㆍ25동란이냐·216
제2절 6·25동란에 대한 인식.219
1. 청소년들의 6ㆍ25 인식·219
2. 6ㆍ25동란 인식 오류의 원인·222
3. 남한 좌익의 6ㆍ25동란에 대한 주장들·225
제3절 현재 남한 좌익에 대한 이해.229
1. 현재 남한 좌익의 존재·229
2. 북한의 적화전략과 남한 좌익의 연계성·234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5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