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근세 지성의 이념과 운동 (알역84코너)

도서 상품 상태
상급(하드커버) - 새책처럼 좋으나 옆면과 상단부에 도서 직인 지운 검정 매직줄 있음, 자켓은 없음
도서 설명
이 책은 양명학에서부터 명말청초에 이르기까지의 학술 사상을 중심으로 한 중국지성사이다. 지은이는 이를 통해 송대 사대부계층의 명분이념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 3
제 1 부 중세적 名分論에서 근세적 職分論으로
제 1 장 중세적 名分論의 주창 11
1. 머리말 / 11 2. 명분론 형성의 배경(1)-春秋學의 전개 / 13
3. 명분론 형성의 배경(2)-名 法家의 영향 / 15
4. 명분론의 특색-尊筍反孟 / 20 5. 명분론의 理學的 토대 / 26
6. 맺음말 / 30
제 2 장 중세적 名分論의 전개 33
1. 머리말 / 33 2. 呂氏家學과 浙東史學의 개창 / 34
3. 東萊의 명분론과 그 특징 / 46 4. 맺음말 / 57
제 3 장 陽明思想에서 "分"의 문제 61
1. 머리말 / 61 2. 陽明의 일체사상과 "分" 이론의 모순 / 63
3. 朱子學의 "定分論"과 陽明의 "分"의식 / 73 4. 맺음말 / 84
제 4 장《明夷待訪錄》에 보이는 職分論 87
1. 머리말 / 87 2.《명이대방록》의 對名分論 비판 / 88
3. 宋代 이래 反名分論의 계보 / 99 4.《명이대방록》의 職分觀 / 109
5. 맺음말 / 117
부록:동아시아 近世社會의 名分主義의 전개와 굴절 121
1. 東林學에서 陽明學 연구로 / 121
2. 陽明學은 名敎인가? 反名敎인가? / 122
3. 東林 復社의 分權論 / 124
4. 名分主義 연구관심의 동아시아世界로의 확대 / 127
제 2 부 근세적 지성운동
제 1 장 明末 淸初의 東林 復社運動世的 지성운동 135
1. 머리말 / 135 2. 東林黨運動 / 136 3. 復社運動 / 158 4. 맺음말 / 179
제 2 장 16∼17세기 중국의 講學運動과 師友論 183
1. 머리말 / 183 2. 陽明의 강학운동과 호걸동지의식 / 185
3. 王心齊의 帝王師論 시비 / 195
4. 何心隱의 "家", "會" 중시의 師友論 / 202
5. 東林書院 講會와 朋友意識 / 211
6.《明夷待訪錄》의 學校論과 師友論 / 217 7. 맺음말 / 219
제 3 장 帝權과 相權의 대립과 그 논리 227
1. 머리말 / 227 2. 楊廷和내각의 대신공정론 / 228
3. 張 내각의 황제독단론 / 233
4. 隆慶朝의 전제정치와 分權公治論 / 237 5. 맺음말 / 239
제 4 장 黃宗羲의 政論, 封建論에서 方鎭論으로의 변용과 특색 241
1. 머리말 / 241 2. 明代 봉건, 淸初 봉건론의 배경 / 243
3. 淸初의 봉건론과 그 의미 / 249
4. 浙東의 反淸 저항운동과〈留書〉의 봉건론 / 253
5.《明夷待訪錄》의 분권론 / 258 6. 맺음말 / 264
부록:신발견 黃宗羲 저작 2종과 그 민족사상 문제 267
1. 종래 黃宗羲의 민족사상 시비 / 267
2.《留書》의 발견과 그 민족사상 / 270
3.〈與徐乾學書〉의 발견과 시비 재론 / 275
제 3 부 근세의 사상과 종교
제 1 장 陽明學의 성립과 전개 283
1. 머리말 / 283 2. 양명학의 성립 / 285 3. 양명학의 전개 / 300
3. 맺음말 / 318
제 2 장 陽明學의 無善無惡說과 명말의 頓 漸논의 321
1. 머리말 / 321 2. 양명학의 四句敎와 左 右分派 / 322
3. 명말 학술계의 頓 漸論議 / 331 4. 맺음말 / 342
제 3 장 陽明學과 明末의 佛敎 345
1. 머리말 / 345 2. 양명학의 名敎的 三敎合一論 / 347
3. 泰州派의 反名敎的 三敎合一論 / 358
4. 명말 불교계의 三敎同源論 / 368 5. 맺음말 / 378
제 4 장 東林派의 운동과 사상 383
1. 머리말 / 383 2. 생애 / 385 3. 사상 / 400 4. 맺음말 / 414
제 1 부 중세적 名分論에서 근세적 職分論으로
제 1 장 중세적 名分論의 주창 11
1. 머리말 / 11 2. 명분론 형성의 배경(1)-春秋學의 전개 / 13
3. 명분론 형성의 배경(2)-名 法家의 영향 / 15
4. 명분론의 특색-尊筍反孟 / 20 5. 명분론의 理學的 토대 / 26
6. 맺음말 / 30
제 2 장 중세적 名分論의 전개 33
1. 머리말 / 33 2. 呂氏家學과 浙東史學의 개창 / 34
3. 東萊의 명분론과 그 특징 / 46 4. 맺음말 / 57
제 3 장 陽明思想에서 "分"의 문제 61
1. 머리말 / 61 2. 陽明의 일체사상과 "分" 이론의 모순 / 63
3. 朱子學의 "定分論"과 陽明의 "分"의식 / 73 4. 맺음말 / 84
제 4 장《明夷待訪錄》에 보이는 職分論 87
1. 머리말 / 87 2.《명이대방록》의 對名分論 비판 / 88
3. 宋代 이래 反名分論의 계보 / 99 4.《명이대방록》의 職分觀 / 109
5. 맺음말 / 117
부록:동아시아 近世社會의 名分主義의 전개와 굴절 121
1. 東林學에서 陽明學 연구로 / 121
2. 陽明學은 名敎인가? 反名敎인가? / 122
3. 東林 復社의 分權論 / 124
4. 名分主義 연구관심의 동아시아世界로의 확대 / 127
제 2 부 근세적 지성운동
제 1 장 明末 淸初의 東林 復社運動世的 지성운동 135
1. 머리말 / 135 2. 東林黨運動 / 136 3. 復社運動 / 158 4. 맺음말 / 179
제 2 장 16∼17세기 중국의 講學運動과 師友論 183
1. 머리말 / 183 2. 陽明의 강학운동과 호걸동지의식 / 185
3. 王心齊의 帝王師論 시비 / 195
4. 何心隱의 "家", "會" 중시의 師友論 / 202
5. 東林書院 講會와 朋友意識 / 211
6.《明夷待訪錄》의 學校論과 師友論 / 217 7. 맺음말 / 219
제 3 장 帝權과 相權의 대립과 그 논리 227
1. 머리말 / 227 2. 楊廷和내각의 대신공정론 / 228
3. 張 내각의 황제독단론 / 233
4. 隆慶朝의 전제정치와 分權公治論 / 237 5. 맺음말 / 239
제 4 장 黃宗羲의 政論, 封建論에서 方鎭論으로의 변용과 특색 241
1. 머리말 / 241 2. 明代 봉건, 淸初 봉건론의 배경 / 243
3. 淸初의 봉건론과 그 의미 / 249
4. 浙東의 反淸 저항운동과〈留書〉의 봉건론 / 253
5.《明夷待訪錄》의 분권론 / 258 6. 맺음말 / 264
부록:신발견 黃宗羲 저작 2종과 그 민족사상 문제 267
1. 종래 黃宗羲의 민족사상 시비 / 267
2.《留書》의 발견과 그 민족사상 / 270
3.〈與徐乾學書〉의 발견과 시비 재론 / 275
제 3 부 근세의 사상과 종교
제 1 장 陽明學의 성립과 전개 283
1. 머리말 / 283 2. 양명학의 성립 / 285 3. 양명학의 전개 / 300
3. 맺음말 / 318
제 2 장 陽明學의 無善無惡說과 명말의 頓 漸논의 321
1. 머리말 / 321 2. 양명학의 四句敎와 左 右分派 / 322
3. 명말 학술계의 頓 漸論議 / 331 4. 맺음말 / 342
제 3 장 陽明學과 明末의 佛敎 345
1. 머리말 / 345 2. 양명학의 名敎的 三敎合一論 / 347
3. 泰州派의 反名敎的 三敎合一論 / 358
4. 명말 불교계의 三敎同源論 / 368 5. 맺음말 / 378
제 4 장 東林派의 운동과 사상 383
1. 머리말 / 383 2. 생애 / 385 3. 사상 / 400 4. 맺음말 / 414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