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잔티움 제국사 324-1453 - 까치글방 171 (알역97코너)

비잔티움 제국사 324-1453 - 까치글방 171 (알역97코너)
비잔티움 제국사 324-1453 - 까치글방 171 (알역97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 (지은이) | 김경연 | 한정숙 (옮긴이)
출판사 / 판형 까치 / 1999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528쪽
정가 / 판매가 23,000원 / 17,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이 책은 최초의 단계에서는 로마 제국의 한 새로운 시대에 불과했던 비잔티움이 고대 로마의 행정, 그리스의 문화, 기독교 신앙을 발판으로 삼아 어떻게 독자적인 비잔티움 국가체로 발전해 갔는지를 조명하고 있다.

비잔티움 역사 연구의 일인지로 꼽히는 오스트로 고르스키는 그간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하여, 천년 이상 지속된 이 대제국의 변화무쌍한 운명을 그것과 인과적 필연적 관련을 맺고 있는 대내외적 정치사건들 및 주변 세계의 도전, 국가제도 및 법제도, 경제사회적 토대 등과 당대인들의 생생한 삶의 온전한 집결체로서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다.
 

목차

1. 초기 비잔티움 국가발전의 기본 특징(324-610)
기독교화한 로마 제국
민족 대이동과 그리스도론 논쟁의 시대
유스티니아누스의 복고작업과 그 와해

2. 비잔티움 국가의 생존투쟁과 쇄신(610-711)
페르시아 전쟁 및 아바르 전쟁과 헤라클레이오스의 개혁작업
아랍인들의 침략의 시대
콘스탄티노플의 구출과 신질서의 완성
헤라클레이오스 왕조의 몰락

3. 성상 파괴 위기의 시대(711-843)
제위의 혼란
성상 파괴와 아랍 전쟁:레온 3세
성상 파괴와 불가리아 전쟁:콘스탄티노스 5세
성상 파괴 운동의 후퇴와 성상 숭배의 재건
비잔티움과 샤를마뉴
니케포로스 1세의 개혁과 대외정치적 위험:비잔티움과 크룸
성상 파괴의 반동
더보기

1. 초기 비잔티움 국가발전의 기본 특징(324-610)
기독교화한 로마 제국
민족 대이동과 그리스도론 논쟁의 시대
유스티니아누스의 복고작업과 그 와해

2. 비잔티움 국가의 생존투쟁과 쇄신(610-711)
페르시아 전쟁 및 아바르 전쟁과 헤라클레이오스의 개혁작업
아랍인들의 침략의 시대
콘스탄티노플의 구출과 신질서의 완성
헤라클레이오스 왕조의 몰락

3. 성상 파괴 위기의 시대(711-843)
제위의 혼란
성상 파괴와 아랍 전쟁:레온 3세
성상 파괴와 불가리아 전쟁:콘스탄티노스 5세
성상 파괴 운동의 후퇴와 성상 숭배의 재건
비잔티움과 샤를마뉴
니케포로스 1세의 개혁과 대외정치적 위험:비잔티움과 크룸
성상 파괴의 반동

4. 비잔티움 제국의 전성기(843-1025)
새로운 시대의 시작
법전 편찬의 시대:바실레이오스 1세와 레온 6세
비잔티움과 불가리아의 시메온
봉건세력에 대한 중앙권력의 투쟁과 비잔티움 황실의 문화적 전성기:로마노스 라카페노스와 콘스탄 티노스 포르피로게네토스
정복의 시대:니케포로스 포카스와 요안네스 치미스케스
비잔티움 세력의 절정:바실레이오스 2세

5. 수도 관료귀족의 지배(1025-1081)
중기 비잔티움 국가체제의 해체
대내정치 및 대외정치의 쇠퇴

6. 군인 귀족의 지배(1081-1204)
비잔티움 제국의 재건: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
새로운 권력의 전개와 최초의 반격들:요안네스 2세와 마누엘 1세
안드로니코스 콤네노스의 부흥 시도
붕괴

7. 라틴인들의 지배와 비잔티움 복구(1204-1282)
새로운 국가체제의 형성
에피로스의 흥망:니카이아의 승리
복구의 서곡
강국 비잔티움의 재건:미카일 8세

8. 비잔티움 제국의 쇠망(1282-1453)
소국으로서의 비잔티움
내전의 시대:발칸에서 세르비아의 우세
오스만인들의 발칸 반도 정복:투르크의 가신국가로서의 비잔티움
비잔티움의 멸망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