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조 평전 사화의 시대, 성리학적 이상을 꿈꾼 개혁가의 비상과 추락 (알수78코너)

조광조 평전 사화의 시대, 성리학적 이상을 꿈꾼 개혁가의 비상과 추락 (알수78코너)
조광조 평전 사화의 시대, 성리학적 이상을 꿈꾼 개혁가의 비상과 추락 (알수78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신병주 저
출판사 / 판형 한겨레출판 / 2021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264쪽
정가 / 판매가 18,000원 / 14,3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새책 / 저자서명본

도서 설명

시대에는 졌지만 역사를 앞서나가다

조광조가 살았던 시대는 사화의 시대였다. 조선 왕조는 성리학의 기치를 들고 건국됐지만, 세조의 왕위찬탈 쿠데타인 계유정난이 보여주듯 실제로는 성리학의 이상이 작동하지 않았다. 이에 반발하며 성리학적 질서의 실현을 주장했던 사림파가 도리어 화를 당했던 것이 바로 사화였다. 특히 연산군은 무자비한 독재 정치를 일삼으며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대거 숙청했다.

폭군 연산군이 중종반정으로 물러나고, 성리학적 질서의 회복이 시대적 요구로 떠오른 상황에서 조광조가 역사 속에 등장했다. 그는 성리학을 조선 사회에 정착시키기 위해 자기 생애의 거의 모든 것을 걸었다. 도교의 제천 행사를 주관하던 소격서를 혁파하고, 『소학』과 향약을 보급해 성리학적 질서를 확립했으며, 현량과를 실시해 자신과 뜻을 함께하는 선비들을 정계로 불러들였다. 기득권 세력인 훈구파를 겨냥한 정국공신 개정과 위훈삭제는 조광조가 추진한 개혁의 정점이었다.

조광조의 개혁을 두려워했던 훈구파와 중종은 기묘사화를 일으켜 조광조를 제거했지만, 역사는 조광조를 시대를 앞서나간 개혁가로 기억한다. 사화의 시대에 성리학적 이상을 꿈꿨던 미완의 개혁가, 조광조의 삶을 살펴보자.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