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에서는 민중문화와 대중문화, 민중문화 운동에 관한 개념 정리와 함께 역사적 고찰, 다른 지역(제3세계) 의 민중문화 운동에 대해,
2부에서는 오늘날 민중문화를 건설해 나가기 위한 토대로서 우리 민족이 전통문화 가운데 값지고 가치있는 부분들을 다시 조명하고 있다.
3부에서는 오늘날의 민중문화라는 제목 하에 각 장르별 민중문화운동의 역사와 현황을 살피고 있다. 대중문화의 부정적 요소들을 지적하는 차원에서 더 나아가 민중문화의 창조적 가능성을 찾고자 했다.
제1부 총론
민중문화와 대중문화
민중문화와 민중문화운동
대중문화와 민중문화운동
제3세계와 문화운동
제2부 전통문화와 민중문화
조선후기 변혁운동과 민중설화
전승민요의 토속성과 변모
무속은 어떠한 종교인가
탈춤
살아있는 판소리
조선조의 여성정챡과 애정시가의 운명
제3부 오늘날의 민중문화
민중문화론
민중음악과 노래운동의 현단계
일제하 '유행가' 노랫말에 나타난 현실의식
한국사회의 저항운동과 마당극
마당극의 현단계
민족미술 10년, 어디까지 왔는다
민중영화의 내용과 민족적 양식의 모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