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원 실크로드를 가다 (알역36코너)

저자 | 정수일 |
---|---|
출판사 / 판형 | 창비 / 2010년 초판1쇄 |
규격 / 쪽수 | 150*225(보통 책 크기) / 555쪽 |
정가 / 판매가 |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문명교류학의 세계적 권위자 정수일의 2년에 걸친 대장정
문명교류학의 세계적 권위자 정수일이 실크로드 3대 간선 중 하나인 ‘초원 실크로드’를 세계 최초로 문명사적 관점에서 답사하고 기록한 저작이다. 2007년부터 중국과 몽골, 시베리아 초원을 거쳐 모스끄바에 이르는 2년여의 초원 실크로드 답사를 마쳤고 이 책은 그 대장정 끝에 완성한 것이다. 실크로드에 얽힌 흥미진진한 이야기와 인류의 역사에 대한 깊이있는 통찰이 300여장의 사진자료와 함께 펼쳐진다.
문명을 소통시키는 길, 실크로드에는 동서를 잇는 ‘오아시스 실크로드’와 ‘초원 실크로드’ 그리고 ‘해상 실크로드’, 이렇게 세 갈래의 큰 길이 있다. 그러나 초원 실크로드는 이 실크로드 3대 간선 중 가장 일찍 개통된 길이다. 이 책은 중국 동북지역의 대흥안령 초원로, 몽골 초원로, 시베리아 초원로를 따라 3부로 나뉘어 있으며 초원 실크로드의 주요 거점들을 51개의 장으로 수록하여 각 지역의 문화유산, 역사, 현재의 상황을 빠짐없이 기록하고 정리했다.
초원 실크로드를 따라 우리의 뿌리를 찾는 것은 현재 우리가 처한 현실적 조건들을 다시 한 확인하고 미래를 착실하게 예비하는 필수적인 작업이다. 초원 실크로드는 역사와 세계를 보는 시야를 넓게 트이게 하고 나아가 우리를 둘러싼 국가적·외교적 갈등을 풀어갈 시공을 초월한 지혜를 제공할 것이다.
책머리에
서론 우리에게 초원 실크로드는 무엇인가
1부. 미지의 땅을 향한 웅혼한 꿈: 대흥안령 초원로
01 교통의 요로, 션양
02 고대 동북아 최대 국제무역도시 차오양
03 세계를 향해 기염을 토하는 훙산문화
04 훙산의 비너스상
05 중국 최초의 정복왕조 요나라
06 우란하오터의 조선족 중학교
07 고구려의 옛 성터를 찾아서
08 칭기즈칸은 어디에 누워 있는가
09 험준한 대흥안령을 넘다
10 고구려의 서경(西境) 띠떠우위
11 드넓은 네이멍구 초원을 누비며
12 기미문화의 남북통로 마역로(馬易路)
2부. 드넓은 초원을 가로지르다: 몽골 초원로
13 초원로가 한반도까지
14 전통과 현대를 아우른 울란바토르더보기
책머리에
서론 우리에게 초원 실크로드는 무엇인가
1부. 미지의 땅을 향한 웅혼한 꿈: 대흥안령 초원로
01 교통의 요로, 션양
02 고대 동북아 최대 국제무역도시 차오양
03 세계를 향해 기염을 토하는 훙산문화
04 훙산의 비너스상
05 중국 최초의 정복왕조 요나라
06 우란하오터의 조선족 중학교
07 고구려의 옛 성터를 찾아서
08 칭기즈칸은 어디에 누워 있는가
09 험준한 대흥안령을 넘다
10 고구려의 서경(西境) 띠떠우위
11 드넓은 네이멍구 초원을 누비며
12 기미문화의 남북통로 마역로(馬易路)
2부. 드넓은 초원을 가로지르다: 몽골 초원로
13 초원로가 한반도까지
14 전통과 현대를 아우른 울란바토르
15 몽골제국의 첫 수도 카라코룸
16 몽골의 라마교
17 칭기즈칸의 서정(西征)길을 따라
18 ‘황화’에 떨게 한 몽골의 3차 서정
19 불간에서의 점심
20 불모의 땅 고비사막
21 늠름한 기마 청년들
22 지천에 깔린 오보(敖包)
23 초원에서 피고 진 돌궐
24 몽골은 어떻게 갈라졌는가
25 흐미의 고향 호브드에서
26 바위그림의 보고, 알타이
27 동토의 파지리크 고분군
28 고려풍, 몽골풍
29 흥겨운 ‘보켄바이 보라’
30 말잔등에 세워진 흉노제국
31 ‘호한(胡漢)문화’의 흔적, 노인울라 고분군
3부. 드디어 유럽과 만나다: 시베리아 초원로
32 극동의 관문 블라지보스또끄
33 50만 고려인의 애환
34 초원으로 뻗은 발해의 초피로(貂皮路)
35 아무르강이 굽이쳐 흐르는 하바롭스끄
36 낯설지 않은 부랴뜨를 찾아서
37 ‘시베리아의 빠리’ 이르꾸쯔끄
38 한민족의 본향 바이깔
39 이채로운 딸찌 민속촌
40 초원로의 대동맥 시베리아횡단철도
41 과학도시 노보시비르스끄
42 망중한, 「씰바」 관람과 생일파티
43 시베리아 개척과 러시아의 동진
44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 예까쩨린부르끄
45 러시아의 정체, 그 두 얼굴
46 러시아인들의 성소, 정교회
47 ‘성스러운 돌의 도시’ 쌍뜨뻬쩨르부르끄
48 미술의 보고, 에르미따주박물관
49 스카타이 미술공예의 신비
50 이범진 열사의 넋을 기리며
51 러시아의 심장 모스끄바, 그 변모
인명 찾아보기
지명 찾아보기
사항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