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의 사회학 - 음주 공동체의 일상 문화 - 저자서명본 (알음4코너)

술의 사회학 - 음주 공동체의 일상 문화 - 저자서명본 (알음4코너)
술의 사회학 - 음주 공동체의 일상 문화 - 저자서명본 (알음4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박재환, 일상성 일상생활연구회
출판사 / 판형 한울아카데미 / 1999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331쪽
정가 / 판매가 12,000원 / 15,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한국인의 음주문화를 조성해온 `음주공동체`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한 책. 98년 중순 한 언론이 실시한 음주문화에 대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인들의 72%가 술을 마실 때 2차를 당연하게 여기며 14%는 3차까지 간다고 응답했다. 가히 술 권하는 사회의 구성원으로 충분한 자격을 갖춘 시민들인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한국사회의 `이데올로기`를 `주본주의`사회라고 규정한다. 뿐만 아니라 `알콜 연줄의 사회`라는 점을 간파한다. 통음을 한 사람과 술 한잔 같이 하지 않은 사람 사이에는 엄청난 장벽이 생기게 되고, 지연이나 학연 못지 않게 `알콜 연줄`이 형성된다는 지적이다.
 

목차

목차

1. 술, 노동, 커뮤니케이션-박재환
펼치는 말/ 노동과 술과 여가의 변증법/ 커뮤니케이션과 의례로서의 음주/ 접는 말

2. 넘치는 술, 주본주의 사회- 고영삼
마치 산모의 자궁과도 같은.../ 어제의 용사들이 다시/ 마침내 주본주의를 이루다/ 테크놀러지 숲 속의 음주/ 새로운 `술의 문화학`

3. 알코올 연줄의 한국사회-윤명희
술잔 안에서 너와 나, 우리가 보인다/ 음주토템의 사회성/ 유유상종의 음주공동체/ 현대의 알코올 부족체/ `지금 이 곳`: 한국사회의 알코올 연줄/ 글을 맺으며: 술, 우리, 감성

4. 신과 인간 융합의 접점- 오재환
서론/ 신·인 융합의 접점으로서의 술/ 통과의례와 인간결합체로서의 술/ 세시의례와 자연과의 일체로서의 술/ 해방: 일상과 일탈의 경계에 선 술

5. 그 영원한 욕망의 이중주- 김상우
술과 섹스: 그 미묘한 연관성/ 일상, 일탈 그리고 술과 섹스/ 주색의 사회: 술과 섹스의 기능적 결합/ 욕망의 해방과 일상으로의 복귀/ 맺음말

6. 취한 이성의 어두운 자화상- 김형균
들어가면서/ 폭력에 대한 단상/ 술로 인한 폭력/ 술을 둘러싼 폭력/ 술취한 사회와 폭력: 구조적 폭력

7. 1318의 탈주-김정오
들어가는 말/ 청소년의 생활세계/ 청소년의 음주문화/ 조상들의 주도/ 갈무리를 위한 여백더보기

1. 술, 노동, 커뮤니케이션-박재환
펼치는 말/ 노동과 술과 여가의 변증법/ 커뮤니케이션과 의례로서의 음주/ 접는 말

2. 넘치는 술, 주본주의 사회- 고영삼
마치 산모의 자궁과도 같은.../ 어제의 용사들이 다시/ 마침내 주본주의를 이루다/ 테크놀러지 숲 속의 음주/ 새로운 `술의 문화학`

3. 알코올 연줄의 한국사회-윤명희
술잔 안에서 너와 나, 우리가 보인다/ 음주토템의 사회성/ 유유상종의 음주공동체/ 현대의 알코올 부족체/ `지금 이 곳`: 한국사회의 알코올 연줄/ 글을 맺으며: 술, 우리, 감성

4. 신과 인간 융합의 접점- 오재환
서론/ 신·인 융합의 접점으로서의 술/ 통과의례와 인간결합체로서의 술/ 세시의례와 자연과의 일체로서의 술/ 해방: 일상과 일탈의 경계에 선 술

5. 그 영원한 욕망의 이중주- 김상우
술과 섹스: 그 미묘한 연관성/ 일상, 일탈 그리고 술과 섹스/ 주색의 사회: 술과 섹스의 기능적 결합/ 욕망의 해방과 일상으로의 복귀/ 맺음말

6. 취한 이성의 어두운 자화상- 김형균
들어가면서/ 폭력에 대한 단상/ 술로 인한 폭력/ 술을 둘러싼 폭력/ 술취한 사회와 폭력: 구조적 폭력

7. 1318의 탈주-김정오
들어가는 말/ 청소년의 생활세계/ 청소년의 음주문화/ 조상들의 주도/ 갈무리를 위한 여백

8. 또 다른 탐닉: 약물과 도박-김희재
들어가면서/ 술의 탐닉: 일상인가 일탈인가/ 술의 일상화: 일상으로부터의 해방/ 술의 탐닉을 넘어: 약물 및 도박에의 탐닉/ 맺으면서

9. 매일 끊는 술- 인태정
들어가면서/ 술의 빛과 그림자/ 음주행위의 사회문화적 요인/ 알코올리즘/ 글을 마치며

10. 게이바를 가다- 이동일
문을 열며/ 게이바란?/ 또 다른 경험/ 그들의 이야기/ 문을 나서며

11. 쉰세대의 술집, 신세대의 술집- 김문겸
머리말/ 쉰세대의 술집/ 신세대의 술집/ 80년대 이후 생성된 주요 특징과 의미

12. 에필로그를 위한 좌담
술, 그 빛과 그림자-일상성, 일상생활연구회

도서 부연설명

0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