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주자학의 철학적 사유와 쟁점 (속편) - 유교문화연구총서 5 (알코너)

저자 | 이동희 |
---|---|
출판사 / 판형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2006년 1판1쇄 |
규격 / 쪽수 | 150*225 (보통책 크기) / 351쪽 |
정가 / 판매가 |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새책
도서 설명
제1부 조선조 전기 주자학의 이론적 심화
제1장 退·高 四七論爭에 대한 윤리학적 일고찰
Ⅰ. 서 언
Ⅱ. 高峯의 비판적 질의 : 七情외에 四端이 없다
Ⅲ. 退溪의 답변 : 그곳에서 말하는 바가 다르다
Ⅳ. 退·高의 두 번째 논쟁
Ⅴ. 退·高의 세 번째 논쟁
Ⅵ. 논쟁의 종결과 高峯의 ?後說? 및 ?總論?
Ⅶ. 결 어
제2장 퇴계 尊理說의 과정철학적 의미
Ⅰ. 서 언
Ⅱ. 心의 작용으로서의 理發과 心學
1. 四端七情은 心의 所從來에서부터 다르다
2. 심의 실체화 : 주자학적 심학
Ⅲ. 퇴계 尊理說과 과정철학의 형이상학적 神觀
1. ‘太極生兩儀說’과 리의 體用論
2. 理의 절대화와 太極의 理 : 尊理說
3. 理到說에 나타난 理
Ⅳ. 결 어
제3장 牛溪 性理說의 특징과 사상사적 의의
Ⅰ. 서 언
Ⅱ. 우계와 율곡의 논쟁
1. 첫 번째 논쟁
2. 두 번째 논쟁
3. 세 번째 논쟁
4. 네 번째 논쟁
5. 다섯 번째 논쟁
6. 여섯 번째 논쟁
Ⅲ. 결 어
제4장 율곡은 主氣的이 아니면서 主氣的이다
Ⅰ. 서 언
Ⅱ. 퇴계-고봉 논쟁 속에 나타난 主理-主氣 표현
Ⅲ. 율곡-우계 논쟁 속에 나타난 主理-主氣 표현
Ⅳ. 자연철학에서의 理氣之妙의 함의
Ⅴ. 결 어
제 2 부 조선조 후기 주자학의 철학적 발전
제5장 퇴계학파는 퇴계의 성리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계승했는가?
―갈암 이현일의 율곡 비판을 중심으로―
Ⅰ. 서 언
Ⅱ. 갈암 이현일의 율곡 존재론 비판
Ⅲ. 갈암 이현일의 율곡 도덕론 비판
Ⅳ. 결 어
제6장 조선 후기 절충파의 성리학설에 대한 연구
Ⅰ. 서 언
Ⅱ. 南溪 朴世采
Ⅲ. 拙修齋 趙聖期
Ⅳ. 滄溪 林泳
Ⅴ. 農巖 金昌協
Ⅵ. 결 어
제7장 鹿門 任聖周 唯氣論에 대한 過程哲學的 의미 고찰
Ⅰ. 서 언
Ⅱ. 氣의 自然과 生意
Ⅲ. 氣一分殊에서 理通氣局 비판
Ⅳ. 유기론에 있어서의 존재의 원리 및 존재의 궁극성 문제
Ⅴ. 결 어
제8장 蘆沙 奇正鎭의 唯理論에 대한 過程哲學的 의미 고찰
Ⅰ. 서 언
Ⅱ. 李滉의 主理論과 尊理論
Ⅲ. 奇正鎭의 唯理論
Ⅳ. 理一分殊의 새로운 해석 : 理分圓融
Ⅴ. 결 어
제9장 寒洲學派의 退溪 성리학 계승
Ⅰ. 서 언
Ⅱ. 퇴계 心說의 특징
Ⅲ. 寒洲의 心卽理
Ⅳ. ?宇의 한주 심설 계승
Ⅴ. 결 어
부록
제10장 조선조 朱子學史에 있어서의 主理·主氣 용어사용의 문제점에 대하여
Ⅰ. 서 언
Ⅱ. 山井 湧의 ‘理의 철학-氣의 철학’의 분류
Ⅲ. 阿部吉雄의 ‘主理論-主氣論’의 분류
Ⅳ. 조선조의 主理論과 主氣論
Ⅴ. 朱子 형이상학의 본질과 退溪?栗谷의 수용 양상
Ⅵ. 결 어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