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제사승계의 법제와 현실 (알마92코너)

조선시대 제사승계의 법제와 현실 (알마92코너)
조선시대 제사승계의 법제와 현실 (알마92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정긍식 (지은이)
출판사 / 판형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2021년 1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212쪽
정가 / 판매가 14,000원 / 12,2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새책)

도서 설명

제사와 그 승계는 조선시대 삶을 관통하는 핵심이다. 이 책은 부계가족 중심의 제사승계 법제가 수립, 적용, 확산되는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가족 및 사회 질서 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먼저 제사에는 사후봉양과 가계계승의 의미가 있으며, 고대 종법에 기반을 둔 중국의 제사 관념이 두 가지 의미의 조화를 중시한 반면, 모계적 전통이 강한, 양측적 친족 구조를 지녔던 고려시대 이전 한국 사회의 제사에는 가계계승의 관념이 아직 싹트지 않았었다.

여말 선초 유교적 사회를 건설하고자 도입한 『주자가례』와 가묘제의 핵심은 가부장제 이념이다. 15세기에 『주자가례』를 모범으로 적장자 중심의 제사승계 법제가 정비되고 『경국대전』에 수렴되는 과정을 제향자와 봉사자 관련 규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장자승계의 원칙이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예외적인 상황에서 생겨난 입후봉사, 형망제급, 총부법 등 제사승계의 구체적인 실태를 소개한다.

목차

책머리에
1장 서론
2장 제사의 의의
3장 제사승계 법제의 수용
4장 제사승계 법제의 확립
5장 종법적 제사승계의 확산
6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