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만드는 사람들 - 진득한 차살이 이야기 (알집53코너)

도서 상품 상태
상급 - 새책인데 앞표지에만 커피 세 방울 떨어진 얼룩 살짝 남음
도서 설명
묵묵히 전통 수제차를 만들어 온 차인들의 제다법
한국차의 원형을 구현하기 위해 전국의 야생차밭, 제다인, 다기 장인을 찾아 전국을 누빈 차 순례기. 나름의 비법을 개발해 차의 효능과 향을 살리기 위해 애쓰는 제다인들과 차문화를 풍성하게 하는 다기와 다구를 만드는 장인들을 소개한다.
또한 차의 효능을 살리는 제다법, 비료와 농약으로 자라는 일본산 차나무의 문제점, 기계차와 수제차의 구별법, 차살이에 쓰이는 각종 다기와 다구, 구증구포·끽다거의 정의 등 차에 관한 상식을 담고 있다.
목차
목차
차 만드는 사람들
김수희, 농가 주부의 아름다운 차살이 / 무생심, 도심의 아파트에서 차를 덖는다 / 물거사, 큰 물, 깊은 물, 넓은 물처럼 만물을 살려내는 물로 살고파서 / 지허스님, 외롭고도 행복한 조계산골 차지기 / 차정금, 자연으로 돌아간 징광다원, 징광잎차 / 선암사 칠전선원차, 한국 전통 절집차의 원형 / 장흥 홍희순, 함평 김순례, 허계매 할머니 , 생활차 불씨를 지켜온 사람들 / 혜우 스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제다에 관한 학위 논문] 수제차의 올바른 제다에 관하여
[올바른 제다 추구의 현장 한 곳] '산에서 절로 난 100% 순수 야생 수제차' 산절로
차살이의 품격을 높여주는 도우미들
찻그릇(다기)
문경요의 도천 천한봉, 찻사발과 다기의 명장 / 칠산 임재영, 화가 재능을 겸비한 도예가의 '피카소 따라잡기' / 주흘요의 월파 이정환, 주흘산 자락의 흙으로 빚은 자연 / 우송 움막의 김대희, 더도 덜도 아닌, 얄미울 만큼만 딱! / 김치준의 파격주의 도예, 진정한 자연인, 자연주의
찻상
농암 박봉규, 찻상과 한국적 차실의 창시자
다포
천연의 미학, 다포 / 한 편의 시와 같은 천연 염색 찻상 덮개, 박영희 / 하늘이 우리 민족에게 준 색깔 이름 쪽빛, 허정희
다식판과 다과
다식판 문양에 관하여, 김규석 / '키다리 아줌마' 정태희의 다식, 찻자리 품격 높이는 영양식
차시, 다기함, 찻상
차시, 다기함, 찻상 차살이의 필수 도우미들 / 내가 만든 찻수저, 향산 김승수더보기
차 만드는 사람들
김수희, 농가 주부의 아름다운 차살이 / 무생심, 도심의 아파트에서 차를 덖는다 / 물거사, 큰 물, 깊은 물, 넓은 물처럼 만물을 살려내는 물로 살고파서 / 지허스님, 외롭고도 행복한 조계산골 차지기 / 차정금, 자연으로 돌아간 징광다원, 징광잎차 / 선암사 칠전선원차, 한국 전통 절집차의 원형 / 장흥 홍희순, 함평 김순례, 허계매 할머니 , 생활차 불씨를 지켜온 사람들 / 혜우 스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제다에 관한 학위 논문] 수제차의 올바른 제다에 관하여
[올바른 제다 추구의 현장 한 곳] '산에서 절로 난 100% 순수 야생 수제차' 산절로
차살이의 품격을 높여주는 도우미들
찻그릇(다기)
문경요의 도천 천한봉, 찻사발과 다기의 명장 / 칠산 임재영, 화가 재능을 겸비한 도예가의 '피카소 따라잡기' / 주흘요의 월파 이정환, 주흘산 자락의 흙으로 빚은 자연 / 우송 움막의 김대희, 더도 덜도 아닌, 얄미울 만큼만 딱! / 김치준의 파격주의 도예, 진정한 자연인, 자연주의
찻상
농암 박봉규, 찻상과 한국적 차실의 창시자
다포
천연의 미학, 다포 / 한 편의 시와 같은 천연 염색 찻상 덮개, 박영희 / 하늘이 우리 민족에게 준 색깔 이름 쪽빛, 허정희
다식판과 다과
다식판 문양에 관하여, 김규석 / '키다리 아줌마' 정태희의 다식, 찻자리 품격 높이는 영양식
차시, 다기함, 찻상
차시, 다기함, 찻상 차살이의 필수 도우미들 / 내가 만든 찻수저, 향산 김승수
차실
격조 높은 음다의 완성 공간, 차실 / 신라의 사원 차실, 다연원 / 고려의 차실, 누각과 다헌 / 조선 시대의 다옥과 차실 / 오늘날의 차실 / 일본의 차실
차살이 이야기
구증구포란 무엇인가? / '수제 녹차'와 '야생 작설차' / 차의 어원 / 보이차 신드롬과 '차 사대주의' / 차 우리기와 팽주 / 한국차와 중국차의 차이 / 인간 문화재와 명인 / 차의 본질과 차 관련 칭호의 영원성 문제 / 화전춘과 우전차 / 매화차 - 별미의 차인가, 혼돈의 차인가? / 선암사 칠전선원차와 지허 스님의 '천강월잎차'의 구별 / 차씨앗 뿌리기, 차나무 기르기 / 쌍계사 옆 대밭이냐, 화엄사 장죽전이냐? - '한국차 시배지' 논란 / 수제차와 기계차 / 신토불이와 차에 농약 치기 / 작설차란 무엇인가? / 남도 야생차밭 탐사기 / 한국 차 문화사 / 막사발·덤벙사발·툭사발·삐뚤이사발·상사발·눈박이사발·귀얄사발... 고려, 조선의 찻그릇 / 도자기란 무엇인가? / 조선 막사발과 일본의 다도, 차실, 다회 / 끽다거란 무엇인가? '끽다거 -> 다선일미 -> 다도'의 정체
구입 및 문의처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
-
한국문화재보존고 1위
-
70, 80년대 공연금지 희곡선집 2위
-
천년의 세월을 엮는 사람들 (답7코너) 3위
-
매화록(梅花錄) (답1코너) 4위
-
차(茶)의 고향을 찾아서 5위
-
이제사 말햄수다 (사45코너) 6위
-
작별의 예식 - 시몬느 드 보봐르 (인2코너) 7위
-
한국다시(茶詩)작가론 8위
-
원색한국수목도감 9위
-
컬렉션의 세계 10위
-
운문댐 수몰지역지표조사보고서 11위
-
한국민족주의 발전과 독립운동사연구 12위
-
세계미술용어사전 13위
-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14위
-
동악미술사학 제3호 (가15코너) 15위
-
박두진 산문전집 수필 1 : 햇살, 햇볕, 햇빛 (인22코너) 16위
-
일제강점, 해방기 인정식의 경제사상 연구 17위
-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초판) 18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