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에 나오지 않은 우리 문화 이야기 (알민1코너)

교과서에 나오지 않은 우리 문화 이야기 (알민1코너)
교과서에 나오지 않은 우리 문화 이야기 (알민1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김진섭 엮음
출판사 / 판형 초당 / 2002년 초판2쇄
규격 / 쪽수 150*225(국판, 보통책 크기) / 249쪽
정가 / 판매가 9,000원 / 5,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우리 문화에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를 엮은 책.

아들 아홉과 딸 하나를 낳고 부인이 죽자 남편이 재혼하여 계모에게 설움을 받은 여동생이 죽어 접동새가 된 동물이야기를 비롯해 음식이야기, 기원이야기, 풍속역사 이야기 등 총 36편의 이야기를 담았다.

 

동물, 음식, 기원, 풍속 등에 담긴 우리 문화를 쉬운 문체로 풀어낸 책. 지은이는 이 책에서 '문화란~이다'라며 거창하게 정의 내리기 보다는 설화, 민담, 역사 등 여러 형식을 통해 우리 문화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들을 들려주고 있다.

전체 4장으로 구성된 이 책 1장에서는 '동물 이야기 속에 담긴 우리 문화'를 다룬다. 지은이는 한때 신성한 새로 추앙 받던 까마귀가 흉조로 추락한 사연, 소나기를 유독 무서워하는 호랑이, 자신의 목소리와 털을 바꾼 빨간 눈의 토끼 이야기 등 우리에게 친숙했던 동물들에 관한 여러 민담들과 구전들을 소개함으로써, 우리 선조의 의식 세계, 상상력, 동물관 등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2장에서는 고추와 후추의 전래, 도루묵에 얽힌 사연, 서민들과 양반층간의 음식 교류 등 '음식 이야기 속에 담긴 우리 문화'에 대해, 3장은 도깨비와 12지신, 고수레의 기원, 와전되어 사용되는 불교용어의 기원 등 '기원, 어원 이야기 속에 담긴 우리 문화'에 대해 짚고 있다.

마지막 4장 '풍속, 역사 이야기 속에 담긴 우리 문화'에서는 하늘의 뜻을 거스르지 않는다는 뜻에서 비오는 날 우산을 쓰지 않던 우리 민족의 정서, 신혼 첫날밤의 신방 엿보기 풍습의 속뜻 등 우리의 전통 풍속과 조선시대의 과부 재가, 계모, 기생, 창녀 등의 주제를 다뤘다.

'우리 문화'를 다뤘다고는 하지만, 하나의 일관된 주제로 구성된 책은 아니어서, 산만한 감이 없진 않다. 그러나 우리 문화의 여러 주제들을 비교적 쉽게 풀어냄으로써 한국 문화에 좀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한 점은 눈에 띤다.

제1장 동물이야기 속에 담긴 우리 문화
한때 신성한 새였던 까마귀
기쁜 소식을 전하는 까치
하늘을 두려워했던 호랑이
토끼가 소리내어 울지 못하는 까닭
사람들의 놀림감이 된 원숭이
욕심 때문에 울퉁불퉁해진 두꺼비의 등
보잘 것없는 겉모습과 달리 영험함을 지닌 지렁이
비련의 주인공 뻐꾸기

제2장 음식이야기 속에 담긴 우리 문화
김치의 혁명을 몰고 온 고추의 유입
임진왜란의 발단이 된 후추
임금과 관련된 사연을 가진 음식들
재야거사들이 전해준 음식들
일반 서민들과 양반층과의 음식의 교류
복고주의에 의해 명맥이 이어진 개요리
사람의 성을 따서 이름을 갖게 된 명태와 인절미

제3장 기원·어원이야기 속에 담긴 우리 문화

제1장 동물이야기 속에 담긴 우리 문화
한때 신성한 새였던 까마귀
기쁜 소식을 전하는 까치
하늘을 두려워했던 호랑이
토끼가 소리내어 울지 못하는 까닭
사람들의 놀림감이 된 원숭이
욕심 때문에 울퉁불퉁해진 두꺼비의 등
보잘 것없는 겉모습과 달리 영험함을 지닌 지렁이
비련의 주인공 뻐꾸기

제2장 음식이야기 속에 담긴 우리 문화
김치의 혁명을 몰고 온 고추의 유입
임진왜란의 발단이 된 후추
임금과 관련된 사연을 가진 음식들
재야거사들이 전해준 음식들
일반 서민들과 양반층과의 음식의 교류
복고주의에 의해 명맥이 이어진 개요리
사람의 성을 따서 이름을 갖게 된 명태와 인절미

제3장 기원·어원이야기 속에 담긴 우리 문화
한국 여성의 이상적 남성형 도깨비
우리나라에서 가장 안전한 지역 10군데
12지신 배열의 비밀
고수레의 기원
구두쇠 영감과 자린고비
임금의 시호 구분
장자못 전설과 개나리의 유래
지명에 얽힌 이야기
정승의 사위가 된 개
와전되어 사용되는 불교용어 '사바사바'와 건달

제4장 풍속·역사이야기 속에 담긴 우리 문화
담배와 예절
비오는 날 우산 썼다간 집단 폭행 당한다
신랑 다루기와 신방 엿보기
조선시대에도 과부의 재가는 허용되었다
계모의 비애
기생과 창녀
선덕여왕이 모란꽃을 보고 화가 난 이유
감악산의 빗돌 대왕비와 설인귀
봉선화의 유래
현덕 왕후의 한
운명의 꽃은 스스로 가꾸어야 한다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