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의 멸치, 제국의 멸치 - 멸치를 통해 본 조선의 어업 문화와 어장 약탈사 (나15코너)

근대의 멸치, 제국의 멸치 - 멸치를 통해 본 조선의 어업 문화와 어장 약탈사 (나15코너)
근대의 멸치, 제국의 멸치 - 멸치를 통해 본 조선의 어업 문화와 어장 약탈사 (나15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김수희
출판사 / 판형 아카넷 / 2015년 1판1쇄
규격 / 쪽수 135*195 / 236쪽
정가 / 판매가 12,400원 / 11,5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대우휴먼사이언스 3권. 멸치를 통해 본 조선의 어업 문화와 어장 약탈사. 멸치는 우리 밥상머리에 없어서는 안 될 식재료이며 한국의 식문화를 대표하는 음식이기도 하다. 그러나 조선시대 멸치는 지역에서 소비되고 유통되는 '작은 물고기'에 지나지 않았으며 학질을 일으키는 물고기로 터부시되기까지 한 '천한 물기고기'였다.

그러던 것이 멸치를 비료(魚肥)로 삼는 일본인들이 조선 어장에 등장하고 일본 정부의 제국주의 정책에 따라 조선의 멸치어장에 어업근거지를 건설하면서 멸치는 가장 잘 팔리는 물고기의 하나로 부상하기에 이른다. <근대의 멸치, 제국의 멸치>는 한국 어업사의 전개 과정에서 멸치가 주요 어종으로 자리매김하는 숨은 그리고 아픈 역사를 살피고 있다.

들어가는 말

1장 조선에서 멸치는 뭐라고 불렀을까?
물고기에 얽힌 금기와 속설
병을 일으키는 물고기, 멸치
작은 물고기, 멸치
| 부록 01 | 제주 멸치 ‘행어’의 어원을 찾아서
『우해이어보』와 『자산어보』의 멸치 기록
반당어와 밴댕이
중국 황제가 찾은 반당어젓
| 부록 02 | 반당어젓을 넣은 김치

2장 조선에서 멸치는 어떻게 잡았을까?
조선의 물고기
빛을 좋아하는 멸치
불을 이용한 챗배어업
바다에서 펼치는 챗배의 난타 공연
| 부록 03 | 한강의 잉어잡이
모래사장을 이용한 후릿그물
강원도 어민의 행복한 비명

들어가는 말

1장 조선에서 멸치는 뭐라고 불렀을까?
물고기에 얽힌 금기와 속설
병을 일으키는 물고기, 멸치
작은 물고기, 멸치
| 부록 01 | 제주 멸치 ‘행어’의 어원을 찾아서
『우해이어보』와 『자산어보』의 멸치 기록
반당어와 밴댕이
중국 황제가 찾은 반당어젓
| 부록 02 | 반당어젓을 넣은 김치

2장 조선에서 멸치는 어떻게 잡았을까?
조선의 물고기
빛을 좋아하는 멸치
불을 이용한 챗배어업
바다에서 펼치는 챗배의 난타 공연
| 부록 03 | 한강의 잉어잡이
모래사장을 이용한 후릿그물
강원도 어민의 행복한 비명
제주 지형을 이용한 돌살어업
| 부록 04 | 사천만 죽방렴 멸치어업

3장 일본 어민은 왜 조선 바다로 건너왔을까?
일본 농가를 살리는 멸치
현해탄을 건너온 일본 어민
| 부록 05 |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나카이 요자부로
도미에서 멸치로 눈을 돌린 일본 어민들
진해만, 일본인 멸치어업의 최초 근거지
차별받는 부락민에서 조선 어장의 지배자로
어촌형 마을 구조라
우오시마 어민들의 구조라 어장 침입
‘형제의 의’와 일본인 지배 확립
일제강점기 구조라 멸치어업의 실태
일본인 어촌 건설에 숨은 식민지성

4장 일본 정부는 왜 조선 어업을 장려했을까?
‘통어(通漁)’의 숨은 뜻
「조일통상장정」 제41관의 해석
어업근거지 건설의 입안자들
러시아와 일본의 진해만 쟁탈전
거제도, 조선의 전초기지에서 일본의 근거지로
군용식량 공급지로 이용된 어업근거지
러일전쟁기 거문도 어장에 이식된 멸치어민
동도에서 고도로, 거문도 어장의 영고성쇠
| 부록 06 | 거문도의 전신기사 오야마 히데마사
‘군용 어부’로 조선에 온 지바현 어민들
어업근거지에서 죽어나간 멸치어민들
| 부록 07 | 고래어장을 둘러싼 러·일 간의 어업 경쟁

5장 강원과 제주에서는 왜 멸치 어업이 성행했을까?
일본 어장에서 개발된 머구리어업
제주 어장에 뿌리 내린 전통식 해녀어업
일본 머구리어업의 제주 어장 진출
| 부록 08 | 무법자를 낳은 「범죄조규」
제주의 멸치 어구와 어업 조직
민란에서 드러나는 제주 사회의 종속성
강원도 멸치어업의 상업화
후릿그물 어업과 자본의 성격
| 부록 09 | 어비 제조와 일본 어촌 형성
멸치어구를 불태운 의병들
공동어업, 어장 지배의 타협책

6장 일제는 어떻게 조선 어장을 독점했을까?
소청어가 돌아왔다
정어리어구 유자망의 변천
청진항과 멸치제조업
폭약의 원료가 된 어유
세계 대공황과 정어리 통제책
조선의 경화유공장 설립 붐
개발 성장론의 논리 비약
| 부록 10 | 전래동화 「멸치의 꿈」

〈권말부록〉 한일 멸치 음식문화

주석
그림 및 사진 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