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동아시아 개입의 역사적 원형과 20세기 초 한미 관계 연구 (알사97코너)

미국의 동아시아 개입의 역사적 원형과 20세기 초 한미 관계 연구 (알사97코너)
미국의 동아시아 개입의 역사적 원형과 20세기 초 한미 관계 연구 (알사97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김기정 (지은이)
출판사 / 판형 문학과지성사 / 2004년 1판2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294쪽
정가 / 판매가 13,000원 / 13,000원

도서 상품 상태

상급(하드커버+자켓) - 상태 아주 좋으나 본문 형광 밑줄 2페이지 있음

도서 설명

20세기 미국의 동아시아 개입 정책의 원형적 성격을 판독하고 있다. 저자는 동아시아 국제정치상은 이 지역 역사의 현장에 나타났던 미국의 등장 및 부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그 시대적 특징은 미국의 한국 정책에서부터 배태되어 왔다고 보고 있다.

동아시아 국제 질서 형성기에 나타났던 미국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미국의 한국 정책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른 한편, 국제 정치학 연구의 현실주의 담론, 강대국 환원주의 시각, 우리나라는 약소국이라는 인식을 극복하려는 연구자의 포부도 담겨 있다.

서남 동양학술총서 간행사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동아시아 국제 정치의 근대상: 대립과 갈등의 역사와 유산
2. 왜 20세기 초 미국의 한국 정책인가?
3. 문제의 제기: 20세기 초 한미 관계의 역사적 의미

제2장 방법론의 몇 가지 문제: 세계 체제론과 외교사 연구
1. 국제 정치학 방법론과 외교사 연구
2. 문제의 제기: 20세기 초 미국의 한국 정책에 대한 기존 연구의 평가
3. 분석 시각의 문제: 왜 세계 체제론인가?
4. 개념적 논의: 세계 체제의 구조
5. 세계 체제의 구조와 외교 정책

제3장 19세기 세계 체제의 역사상과 동아시아
1. 19세기 세계 질서와 동북아 3국의 양극 분해
2. 영국의 패권 구조와 중국의 편입: 자유 무역의 제국주의
3. 세계 체제의 구조 변동기와 일본의 편입: 외압의 이완
4. 신제국주의 시대와 억압 구조의 강화

서남 동양학술총서 간행사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동아시아 국제 정치의 근대상: 대립과 갈등의 역사와 유산
2. 왜 20세기 초 미국의 한국 정책인가?
3. 문제의 제기: 20세기 초 한미 관계의 역사적 의미

제2장 방법론의 몇 가지 문제: 세계 체제론과 외교사 연구
1. 국제 정치학 방법론과 외교사 연구
2. 문제의 제기: 20세기 초 미국의 한국 정책에 대한 기존 연구의 평가
3. 분석 시각의 문제: 왜 세계 체제론인가?
4. 개념적 논의: 세계 체제의 구조
5. 세계 체제의 구조와 외교 정책

제3장 19세기 세계 체제의 역사상과 동아시아
1. 19세기 세계 질서와 동북아 3국의 양극 분해
2. 영국의 패권 구조와 중국의 편입: 자유 무역의 제국주의
3. 세계 체제의 구조 변동기와 일본의 편입: 외압의 이완
4. 신제국주의 시대와 억압 구조의 강화
5. 동아시아 억압 구조의 성립: 조선에 대한 이중적 외압과 중국의 분할
6. 19세기 세계 체제의 구조적 역사상

제4장 19세기 후반 세계 체제 변동과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 문호 개방 정책의 등장과 역사적 의미
1. 미국 외교 정책의 지속성과 문호 개방 정책
2. 만주 위기에 대한 일본의 인식
3. 만주 위기에 대한 열강의 태도와 미국의 대응
4. 만주 위기와 일본 외교 정책의 전환: 만환 교환에서 영일 동맹으로

제5장 미국의 동아시아 개입의 국제 정치적 배경: 지역 질서 불안정과 미국의 대응
1. 러시아의 만주 점령과 동북아 국제 정치의 위기
2. 만주 위기에 대한 일본의 인식
3. 만주 위기에 대한 열강의 태도와 미국의 대응
4. 만주 위기와 일본 외교 정책의 전환: 만환 교환에서 영일 동맹으로

제6장 루스벨트 대통령의 인식 체계와 한국 문제
1. 서론
2. 루스벨트의 신념 체계와 세계관
3. 루스벨트의 인식 세계와 한국에 대한 태도
4. 루스벨틀 외교의 특징: 개인 외교와 한국 정책
5. 외교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루스벨트의 역할
6. 가쓰라-테프트 밀약과 루스벨트의 한국 외교

제7장 국무성과 군부의 한국 인식과 외교 정책
1. 서론
2. 국무성의 고위 관료들의 인식과 역할
3. 주한 미군 공사관의 두 외교관: 앨런과 스트레이트의 인식과 역할
4. 20세기 초 미국 군분의 안보 및 전략 개념과 동아시아
5. 한반도에서의 미국 해군 기지 획득 추구와 포기 과정
6. 루스벨트와 관료 조직, 그리고 한국 정책

제8장 20세기 초 한미 경제 관계와 한국 정책
1. 세계 체제론, 외교 정책론과 경제 관계
2. 한말, 미국의 이권 획득
3. 한미 간 교역 관계

후기
참고 문헌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