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실학의 경전이해 (나15코너)

조선실학의 경전이해 (나15코너)
조선실학의 경전이해 (나15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금장태 (지은이)
출판사 / 판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15년 초판2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265쪽
정가 / 판매가 22,000원 / 17,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1장 '윤휴의 대학.중용 해석', 2장 '박세당의 사변록과 대학 편차의 수정', 3장 '박세당의 대학 해석과 쟁점', 4장 '박세당의 중용 편차수정과 해석', 5장 '다산의 심경밀험과 실학적 심성-수양론', 6장 '[附] 신라사회의 경전이해와 실천정신'으로 구성되었다.

머리말

제1장 윤휴(尹鑴)의 <대학>.<중용> 해석

1. 윤휴의 경학적 관심
2. <독서기>와 윤휴의 경학적 시야
1) 윤휴 경학의 형성과 규모
2) 윤휴의 경학적 사유구조

3. <중용> 해석의 경학체계
1) <중용>의 편장구조
2) <중용> 해석과 사천학(事天學)의 경학

4. <대학> 해석의 경학체계
1) <고본대학>(古本大學)의 체제
2) <대학> 해석의 경학적 사유
5. 윤휴 <중용>․<대학> 해석의 특성

제2장 박세당(朴世堂)의 <사변록>(思辨錄)과 <대학> 편차(編次)의 수정

머리말

제1장 윤휴(尹鑴)의 <대학>.<중용> 해석

1. 윤휴의 경학적 관심
2. <독서기>와 윤휴의 경학적 시야
1) 윤휴 경학의 형성과 규모
2) 윤휴의 경학적 사유구조

3. <중용> 해석의 경학체계
1) <중용>의 편장구조
2) <중용> 해석과 사천학(事天學)의 경학

4. <대학> 해석의 경학체계
1) <고본대학>(古本大學)의 체제
2) <대학> 해석의 경학적 사유
5. 윤휴 <중용>․<대학> 해석의 특성

제2장 박세당(朴世堂)의 <사변록>(思辨錄)과 <대학> 편차(編次)의 수정

1. 박세당의 경학과 <대학> 해석의 과제
2. 경학전통에 대한 입장과 경학 방법
1) 송(宋) 이전과 송대 경학에 대한 입장
2) 경전 인식과 경학적 방법

3. <사변록>(思辨錄)의 저술과 논변의 전개
1) <사변록>의 저술
2) <사변록>에 대한 논변의 전개

4. <대학> 편차(編次)의 재구성과 수정의 관점
1) <대학> 편차의 재구성
2) <대학> 편차 개정의 관점

5. 박세당의 <대학> 해석이 지닌 경학적 의미

제3장 박세당(朴世堂)의 <대학> 해석과 쟁점

1. 박세당의 <대학> 해석이 지닌 문제
2. ‘삼강령’(三綱領)의 해석과 쟁점
1) ‘삼강령’(三綱領)의 거부
2) 박세당의 ‘2강령’설에 대한 김창협(金昌協)의 비판

3. ‘팔조목’의 해석(1) -‘격물치지’(格物致知)의 해석과 쟁점
1) 사물(物)과 일(事)의 분별
2) ‘격’(格) -‘치’(致) 개념의 인식과 경지

4. ‘팔조목’의 해석(2) -‘성의’(誠意)에서 ‘치국’(治國)까지의 해석과 쟁점
1) ‘성의’(誠意) -‘정심’(正心).‘수신’(修身)의 해석
2) ‘제가’(齊家) -‘치국’(治國)의 해석과 쟁점

5. 박세당의 <대학> 해석이 지닌 경학적 의미

제4장 박세당(朴世堂)의 <중용> 편차수정과 해석

1. 박세당의 <중용> 해석이 지닌 과제
2. <중용> 편차의 재구성과 관점
1) <중용> 편차의 재구성
2) <중용> 편차수정의 관점

3. ‘도’(道)의 실행근거로서 ‘성’(性)
1) ‘성’(性) 개념의 인식과 쟁점
2) ‘도’의 실행근거로서 ‘성’의 본체

4. ‘도’(道) 개념과 ‘도’의 실상
1) ‘도’(道) 개념의 인식
2) ‘도’의 실상

5. ‘중용’(中庸)의 원리와 ‘행도’(行道)의 실현
1) ‘중용’(中庸) 개념의 인식과 쟁점
2) ‘행도’(行道)의 과제

6. 박세당의 <중용> 해석이 지닌 의미

제5장 다산(茶山)의 <심경밀험>(心經密驗)과 실학적 심성(心性)-수양론

1. 다산(茶山)사상에서 심성론과 수양론의 위치
2. 다산의 심.성(心性) 개념 인식
1) ‘신’(神) -‘형’(形)의 오묘한 결합인 인간존재의 ‘심’(心) 개념
2) ‘기호’(嗜好)로서의 ‘성’(性) 개념

3. ‘심성’(心性) 개념의 새로운 인식에 근거한 수양론의 전개
1) 실천주체인 ‘심’(心)과 선천적 조건인 ‘성’(性)
2) 욕망(欲)의 동력과 ‘뉘우침’(悔)의 역동적 수양론

4. 다산 수양론의 실학적 과제
1) ‘사천’(事天)의 수양론과 ‘경’(敬)
2) ‘서’(恕)와 수양론의 실행과제

5. 다산의 심성-수양론이 지닌 특성

제6장 [附] 신라사회의 경전이해와 실천정신

1. 신라문화 속에서 국학의 위치
2. 신라 국학의 경전교육과 제도
3. 경전의 이해와 국가통치의 원리
1) ‘덕치’(德治)의 이념과 국가의 통치
2) ‘민본’(民本)의 이념과 국가의 통치

4. 유교적 도덕규범의 사회적 구현
1) 충성(忠)과 효도(孝)의 실천
2) 의리(義)와 용맹(勇)의 실천

5. 예법(禮)과 음악(樂)의 교화(敎化)체계
1) 예법의 교화체계
2) 음악의 교화체계

6. 신라문화에서 국학교육의 성격과 의미

참고문헌
찾아보기(인명)
Abstract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