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2 - 한국 및 동양의 미술, 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아코너)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2 - 한국 및 동양의 미술, 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아코너)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2 - 한국 및 동양의 미술, 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아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사회평론 편집부 (엮은이)
출판사 / 판형 사회평론 / 2006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90*260(노트 정도의 크기) / 627쪽
정가 / 판매가 30,000원 / 35,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도서 설명

한국미술사와 관련한 28권의 저서와 118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서울대와 홍익대에서 32년간 봉직하며 수많은 미술사학도를 양성한 안휘준 교수의 정년퇴임 기념논문집이다. 안휘준 교수의 제자들이 그의 업적을 기리고자 발간하였다.

1권 '한국 및 동양의 회화'에는 안휘준 교수의 전공인 한국 및 동양회화 분야의 논문 29편이 실렸다. 2권 '한국 및 동양의 미술'에는 기타 동양 및 한국미술사 분야의 논문 31편을 수록하였다. 안휘준 교수에게 가르침을 받은 60인의 필자들이 참여했다.

1권의 서두에는 안휘준 교수가 자신의 교육 및 연구 역정을 술회한 '미술사학과 나'라는 글이 실려 있다. 미국에서 유학하며 미술사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첫 세대인 안휘준 교수가, 미술사학이 제대로 정착되지 못했던 한국 학계에서 학문적 기반을 확립하고 연구자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한 학문적 역정을 담담히 서술했다.

목차

[ 1권 한국 및 동양의 회화 ]

간행사 - 홍선표
미술사학과 나 - 안휘준
안휘준 교수 약력
안휘준 교수 저작 목록

한국 회화
전호태 : 4~5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와 중국 한~위진대의 사신도
박은순 : 명분인가 실제인가 - 조선초기 궁중회화의 양상과 기능(1)
조인수 : 세종대의 어진과 진전
이원복 : 전 신말주 필 '십로도상계축'에 관한 고찰 - 조선시대 계회도의 한 양식
조규희 : 16세기 후반~17세기 초반 경교사족들의 문화와 사가행사도
윤진영 : 평양화사 조세걸의 도사 활동과 화풍
장진성 : 정선과 수응화
민길홍 : 정선의 고사인물화
이중희 : 겸재 정선 회화에 있어서의 2,3의 문제
융만 : 구미 박물관 소장의 '서원아집도' 2점에 대한 소고
이수미 : 조선 후기 중국 '청명상하도' 도상의 수용 - '태평성시도'를 중심으로
이수경 : 유교이념의 생활 속 실천 - 조선시대 효자도병풍더보기

[ 1권 한국 및 동양의 회화 ]

간행사 - 홍선표
미술사학과 나 - 안휘준
안휘준 교수 약력
안휘준 교수 저작 목록

한국 회화
전호태 : 4~5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와 중국 한~위진대의 사신도
박은순 : 명분인가 실제인가 - 조선초기 궁중회화의 양상과 기능(1)
조인수 : 세종대의 어진과 진전
이원복 : 전 신말주 필 '십로도상계축'에 관한 고찰 - 조선시대 계회도의 한 양식
조규희 : 16세기 후반~17세기 초반 경교사족들의 문화와 사가행사도
윤진영 : 평양화사 조세걸의 도사 활동과 화풍
장진성 : 정선과 수응화
민길홍 : 정선의 고사인물화
이중희 : 겸재 정선 회화에 있어서의 2,3의 문제
융만 : 구미 박물관 소장의 '서원아집도' 2점에 대한 소고
이수미 : 조선 후기 중국 '청명상하도' 도상의 수용 - '태평성시도'를 중심으로
이수경 : 유교이념의 생활 속 실천 - 조선시대 효자도병풍
문동수 : 조선시대 '평양성도'의 제작과 의미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진준현 : 석정 이정직의 서화론과 작품
김상엽 : 박인석의 '취옹정도장권'
정병모 : 조선 민화의 상징세계
홍선표 : 치장과 액막이 그림 - 조선 민화의 새로운 이해
조선미 : 명.청대 초상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초상화의 성격
이선옥 : 조선시대 도자기의 매화도
박정혜 : 광무 연간 국조 묘역의 확립과 회화식 지도의 제작
변영섭 : 한국문인화의 보편성 이해(1)

동양 회화
한정희 : 한.중.일 3국의 방고회화 비교론
조향진 : 동진 명제와 '낙신부도' - '낙신부도'의 출현 배경에 관한 일고찰
지순임 : 팔대산인 화조.어화의 미적 특성
김현정 : 주학년의 '황산운해도' 제작 과정에 대하여
이경희 : 조맹부 서예가 일본 서단에 미친 영향에 대한 소고 - 오산문학을 중심으로
유홍준 : 셋슈 '산수도'에 보이는 이손과 박형문의 제시에 대하여
김용철 : 오카쿠라 텐신의 중국 여행과 중국 미술 인식

[ 2권 한국 및 동양의 미술 ]

불교미술 - 한국 조각
강희정 : 고구려 화생상의 기원과 의미 - 금동불 광배를 중심으로
배진달 : 군위삼존석굴 - 촉지인 불좌상의 성격을 중심으로
이숙희 : 통일신라시대의 변화관음보살상 - 11면 관음상과 천수관음상을 중심으로
이주형 : 탄생불상과 관불의식
최성은 : 고려 초기 석조반가좌보살상에 대한 소고
문현순 : 송광사 소장 고봉국사주자의 관음지장병립상과 삼신불에 대하여
정은우 : 17세기 조각가 혜희와 불상의 특징
송은석 : 고흥 능가사 대웅전의 목조삼방불좌상

불교미술 - 한국 불화
박은경 : 일본 다이토쿠지 소장 '수월관음도'에 표현된 공양인물군상의 신해석
정우택 : 신출 고려시대 '비로자나설법도'
권지연 : 세이카도문고 미술관 소장 '제1진광왕'의 이곽파 산수화 신출자료
박도화 : 중종-선조 시대(중종~광해군 연간:1506~1632) 불교판화의 특징과 양식
김정희 : 마곡사 괘불 - 도상 및 조성배경을 중심으로

불교미술 - 동양
김진아 : 경(經)에서 상(像)으로 - 경전 숭배의 발달과 인도 후기 대승불교에서의 여신의 등장
김보경 : 인도네시아 중부자바기의 두 왕조 이론에 관한 재고 - 보로부두르와 로로 종그룽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임영애 : 서역 쿠차 지역 금강역사의 특징과 그 의미
김혜원 : 돈황 막고굴 당대 '유마경변'에 보이는 세속인 청중의 도상과 의미
김선경 : 북제 소남해중굴과 승조선사
하정민 : 현장의 당 고종대 활동상과 그 의미

공예
이송란 : 고구려 고분벽화 묘주도의 좌구
최공호 : 고구려 벽화의 탑 - 기원과 쓰임
김연수 : 한국 고대의 사찰공방 시설에 대하여
김인규 : 일본 네즈미술관 소장의 상림호 월주요지 청자 파편에 대한 고찰
장남원 : 번조받침과 청자의 상관관계 - 고려 중기 강진과 그 외 지역을 중심으로
마비 :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 소장 청자삼감동자씨름문접시
이희경 : 조선 초 왕실의 백자기 사용에 대한 고찰 - 조상의례와 대명의 외교관계를 중심으로
김영원 : 조선시대 문헌에 보이는 도자 명칭
방병선 : 법전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자기 생산과 관리
장경희 : 고종시대 철인왕후와 명성황후의 국장의물 비교연구

건축
주경미 : 원대 라마탑 양식이 한국 불교미술에 미친 영향
이강근 : 창덕궁 의효전에 대한 연구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