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민중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 (알집7코너)

19세기 민중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 (알집7코너)
19세기 민중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 (알집7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배항섭 (지은이)
출판사 / 판형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15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400쪽
정가 / 판매가 20,000원 / 17,5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도서 설명

동아시아 문명총서 11권. 저자가 1998년도부터 민중(운동)사에 대해 새롭게 고민해간 글들을 한 권으로 엮었다. 1990년대 후반 들어 민중운동에 대한 사회적.학문적 관심은 점점 퇴조하였고, 저자는 이러한 변화에 민중(운동)사를 새롭게 이해하려는 연구자들의 노력이 미흡했다고 자성한다.

이에 새로운 연구 방향 설정을 위한 연구시각과 문제의식의 검토가 요청되었고, 그 가운데 민중운동사 역시 다른 분야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서구중심적.근대중심적 인식에 규정되면서 진행되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이 책은 그중에서도 특히 1990년대까지의 민중운동사가 그려내고 있는 '민족으로서의 민중', '근대를 지향하는 민중'이라는 이미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제1부 '연구 동향과 시각', 제2부 '새로운 방법의 모색'으로 나누어 각기 6편씩의 글을 싣고 있다. 제1부에는 주로 민중운동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한 글을 모아놓았고, 제2부에는 기왕의 연구들에서 보이는 민중상이나 연구방향을 검토하면서 새로운 민중사 연구방법을 모색한다.

목차

책 머리에

제1부 연구 동향과 시각

조선후기 민중운동 연구의 몇 가지 문제
1. 머리말
2. 지주제와 민란
3. 향촌사회 지배질서와 민란
4. 민중의식과 민란
5. 맺음말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기반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1. 머리말
2. 동학사상=지도이념론
3. 종교적 외피론
4. 유기적 관련론
5. 단절론
6. 맺음말

1920~1930년대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형성 더보기

책 머리에

제1부 연구 동향과 시각

조선후기 민중운동 연구의 몇 가지 문제
1. 머리말
2. 지주제와 민란
3. 향촌사회 지배질서와 민란
4. 민중의식과 민란
5. 맺음말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기반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1. 머리말
2. 동학사상=지도이념론
3. 종교적 외피론
4. 유기적 관련론
5. 단절론
6. 맺음말

1920~1930년대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형성
1. 머리말
2. 1920년 이전: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발아
1) 동학농민전쟁 당시-의거와 비적의 난
2) 애국계몽운동기-’혁명론’의 맹아
3) 박은식의 『한국통사』(1915)-미흡한 ‘혁명’으로서의 ‘평민혁명’
3. 1920~1930년대: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형성
1) 민족주의 계열
2) 사회주의 계열
4. 맺음말

한우근의 동학농민전쟁 연구-내용과 의의
1. 머리말
2. 동학농민전쟁 연구과정과 주요 논저
3.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4. 동학과 동학농민전쟁의 관계
5. 동학농민전쟁의 전개과정
6. 맺음말

‘등신대(等身大)’의 민중상으로 본 동학농민전쟁
1. 머리말
2. 문제의식
3. 동학사상과 농민전쟁의 관계
4. 도소체제(都所體制)와 ‘등신대’의 민중상
5. 민중의 지향과 내셔널리즘
6. 맺음말

1990년대 이후 북한 학계의 동학농민전쟁 연구동향과 특징
1. 머리말
2. 동학사상에 대한 상향평가
3. 동학농민전쟁에서 동학의 역할 강조
4. 동학과 농민전쟁의 애국애족적 성격 강조
5. 맺음말

제2부 새로운 방법의 모색

근대를 상대화하는 방법: 민중사에서 바라보는 근대
1. 들어가는 말
2. 민중운동의 자율성과 ‘반근대’ 지향성
1) 민중운동의 자율성
2) 민중운동의 ‘반근대’ 지향성
3. 근대의 상대화
1) 민중운동과 근대
2) 근대를 상대화하는 방법
4. 나오는 말

임술민란의 민중상에 대한 재검토
1.머리말
2. 근대지향이라는 시각
3. 토대반영론적 시각
4. 동아시아 비교사적 시각
5. 맺음말

동학농민군의 지향: 근대인가? 반근대인가?
1. 들어가는 말
2. 근대지향론
3. 반근대지향론
4. 민중운동의 지향: ‘근대’와 ‘반근대’의 너머

현행 고등학교 근현대사 교과서 서술에서 보이는 민중상
1. 머리말
2. 근현대사 교과서의 목차와 서술 내용
3. 근대화운동과 민중상
4. 민족운동과 민중상
5. 맺음말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역사교과서 서술 내용의 새로운 모색
1. 머리말
2.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또 하나의 이해
3. 동학농민군이 체현한 ‘나눔과 배려’의 정신
1) 2009년 개정 교과과정의 변화: ‘나눔과 배려’의 강조
2) 동학농민전쟁에서 보이는 ‘나눔과 배려’의 정신
3) 농민군의 행동준칙에서 보이는 ‘나눔과 배려’ 정신
4. 동아시아 시각의 강조
5. 결론

동학농민전쟁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1. 서론
2. 연구사 검토
3. 동학농민전쟁과 향촌사회의 지배질서
4. 동학농민전쟁과 여성
5. 결론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