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 한재집 - 한재 이목의 문집 (아코너)

국역 한재집 - 한재 이목의 문집 (아코너)
국역 한재집 - 한재 이목의 문집 (아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이목 (지은이),최영성 (옮긴이)
출판사 / 판형 문사철 / 2012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542쪽
정가 / 판매가 35,000원 / 25,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책소개

책소개

<다부(茶賦)>의 저자이며 ‘차의 아버지’라 불리는 한재(寒齋) 이목의 문집 <한재집>을 전문 연구가 최영성 교수가 완역한 책이다. 이목은 우리나라 차문화사에도 굵직한 발자취를 남긴 인물이다. 이 책은 유학자와 차의 관계, 도학과 다도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것으로, 선가(禪家)의 ‘다선일미(多禪一味)’ 사상과 함께 조명해 보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목차

목차

서序

제1부 국역 한재집

『한재집』해제
『한재집』중간 서문 | 寒齋集重刊序
서(序)
부賦
1. 홍문관부-서(序)를 아우르다 | 弘文館賦 幷序
2. 여융부 | 女戎賦
3. 입춘부-서(序)를 아우르다 | 立春賦 幷序
4. 허실생백부-서(序)를 아우르다 | 虛室生白賦 幷序
5. 다부(茶賦)-서(序)를 아우르다 | 茶賦 幷序
6. 영주사부 | 永州蛇賦
7. 요가연부 | 姚家?賦
8. 떠나는 사람에게 주다. 차례로 이별하며 부를 짓다 | 贈行次別知賦
9. 삼도부(三都賦)-서(序)를 아우르다 | 三都賦 幷序

오언절구
1. 조여숙과 청일암에서 글을 읽고 판창(板窓)에 쓰다 | 與趙與叔讀書于淸日庵 題板?더보기

서序

제1부 국역 한재집

『한재집』해제
『한재집』중간 서문 | 寒齋集重刊序
서(序)
부賦
1. 홍문관부-서(序)를 아우르다 | 弘文館賦 幷序
2. 여융부 | 女戎賦
3. 입춘부-서(序)를 아우르다 | 立春賦 幷序
4. 허실생백부-서(序)를 아우르다 | 虛室生白賦 幷序
5. 다부(茶賦)-서(序)를 아우르다 | 茶賦 幷序
6. 영주사부 | 永州蛇賦
7. 요가연부 | 姚家?賦
8. 떠나는 사람에게 주다. 차례로 이별하며 부를 짓다 | 贈行次別知賦
9. 삼도부(三都賦)-서(序)를 아우르다 | 三都賦 幷序

오언절구
1. 조여숙과 청일암에서 글을 읽고 판창(板窓)에 쓰다 | 與趙與叔讀書于淸日庵 題板?
2. 을묘년(1495) 과거에 급제한 뒤 옥당(玉堂)의 여러 선생들이 ‘청운기초려(靑雲起草廬)’라는 글귀에 차운(次韻)하도록 명하기에 빠르게 짓다 | 乙卯登科後 玉堂諸先生 命次靑雲起草廬韻 走筆

칠언절구
1. 봄날 회포를 써서 불린자(不?子) 완익(完翼)의 책상머리에 오언절구 연두체(連頭體)를 바치다 | 春日書懷 呈不?子完翼之案頭 五絶連頭體
2. 압구정에서 『주역??을 읽다 | 讀易狎鷗亭
3. 눈이 갠 뒤 함흥 낙민정에 오르다 | 雪霽登咸興樂民亭
4. 권안대(權安代) 석지(石池) 가에서 계운(季雲)과 밤에 술 마시며 회포를 풀다 | 權安代石池上 與季雲夜飮書懷
5. 딱따구리 | 啄木
6. 영덕현령으로 부임하는 권향지(權嚮之)를 전송하다 | 送權嚮之赴任盈德縣令
7. 봄날 술을 권하며 | 春日勸人酒
8. 향렴 두 수 | 香? 二首
9. 김인로가 과거에 장원급제함을 축하하다 | 賀金仁老魁科

오언율시
1. 왜 봄인가 | 春所以 二首
2. 가을밤의 느낌 | 秋夜有感
3. 가을날 새벽 달빛 아래 중정(中庭)에서 혼자 술 마시며 회포를 적다 | 秋曙有月 中庭獨酌有懷
4. 산에 들어가다 | 入山
5. 새벽에 청강(淸江)의 여울을 건너다 | 曉涉淸江灘
6. 사제(舍弟) 미지(微之)가 개성으로 독서하러 떠나는데 전송을 하다 | 送舍弟微之之松京讀書
7. 문도(文度) 형의 ‘희우(喜雨)’ 시에 차운하다. 네 수를 주필(走筆)하다 | 次文度兄喜雨韻 四首走筆
8. 을묘년에 공주교수(公州敎授) 이운비(李云飛)를 향교로 방문하다 | 乙卯歲 訪公州敎授李公云飛于鄕校

칠언율시
1. 대마도로 사신을 떠나는 김시정 률(?)을 전송하다 | 送金寺正?奉使對馬島 二首
2. 차운오수 | 次韻五首
3. 안상공 침이 조천(朝天)하러 가는 것을 전송하다 | 送安琛相公朝天
4. 자진에게 주다 | 贈子眞
5. 성균관 사성 이문흥과 작별하며 주다 | 贈別李司成文興
6. 양재역 | 良才驛

칠언고풍七言古風
1. 용문산 부담암을 유람하다 | 遊龍門釜潭巖歌
2. 오십운에 창수(唱酬)하여 인로(仁老)에게 바치다 | 酬五十韻 呈仁老
3. 최 대사헌이 강릉으로 돌아가는데 전송하다-서(序)를 아우르다 | 送崔大司憲歸江陵 幷序
4. 지난날을 생각하며 자진에게 다시 주다 | 憶昨再贈子眞
5. 홍언국(洪?國)이 정승을 따라 선릉(先陵)을 배알하러 함창(咸昌)에 가는 것을 전송하다 | 贈別洪?國隨相公, 謁先陵咸昌 一首

사辭
칠보정(七寶亭)에서 연꽃을 감상하며 지은 글 | 七寶亭賞蓮辭

서書
김계운에게 주다 | 與金季雲

계啓
여러 생도들이 죄가 없음을 진정한 계 | 陳諸生無罪啓

책策
1. 천도책 | 天道策
2. 치란흥망책 | 治亂興亡策
3. 인재득실책 | 人才得失策

기記
당명황이 월궁에 노닐었던 일을 적은 글 속편 | 續唐明皇遊月宮記

해解
코끼리가 밭갈고 새가 김맸다는 것을 해설함 | 象耕鳥耘解

송頌
봉황이 조양에서 우는 것을 기림 | 鳳鳴朝陽頌

제문祭文
윤정승 호(尹政丞壕)를 제사하는 글 | 祭尹政丞壕文

발문跋文
1. 원집발 | 原集跋
2. 중간발 | 重刊跋
3. 역해발 | 譯解跋

습유拾遺
『심학장구집주대전』초 | 心學章句集註大全抄

대고待攷
1.왕자의 제택이 사치스럽고 큼을 진정함 | 陳王子第宅侈大啓
2.절명가 | 絶命歌

사우투증士友投贈
1. 청량사에서 차운(次韻)하여 이목에게 답하다 | 五月十一日在淸凉寺次韻答李穆
2. 이진사 목에게 주다 | 贈李進士穆
3. 이중옹과 헤어지며 주다 | 贈別李仲敬
[부(附)] 화음(華陰)에 떨어져 살며 아이들에게 적어주다 | 華陰索居 書懷示兒輩(其二十一)

제여손헌시弟與孫獻詩
1.사형께서 기화를 거듭 만나 개장(改葬)하게 된 것을 애도하다 | 挽舍兄重遭奇禍改?
2. 증조의 제사를 모시고 느낀 바 있어 짓다 | 祭曾祖忌辰有感而作
3. 삼가 백촌공의 시에 차운하다 | 謹次柏村公韻
4. 삼가 한재 선조의 ‘탁목(啄木)’ 시에 차운하다 | 謹次寒齋先祖啄木詩

묘문墓文
1. 묘표 | 墓表
2. 보유 | 補遺
3. 묘지 | 墓誌

시장諡狀 및 종향소從享疏
1. 시장 | 諡狀
2. 문묘에 종사할 것을 청하는 소 | 請從享文廟疏
3.비망기 | 備忘記

부록附錄
1. 감구유부: 이중옹을 전송하다 | 感舊遊賦 送李仲雍
2. 감구유부 후서 | 感舊遊賦後序
3. 무오사화는 윤필상이 주장한 것이다 | 戊午之禍尹弼商之主張
4. 이목·김천령의 문학적 명성이 서로 같다 | 李穆金千齡文聲相?
5. 『해동명신록』이목전 | 李穆傳

연보年譜
한재연구논저총람寒齋硏究論著總覽

제2부 한재 이목론

고고呱呱의 성聲을 울리다
류분과 김종직의 문하에 나아가다
영·호남 사림이 만나다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한 뒤 혼인을 하다
태학생의 리더가 되다
김수손의 수행원으로 중국에 다녀오다
수륙재를 비판하다가 공주에 귀양가다
장원급제하고 사가독서賜暇讀書의 은전을 받다
무오사화의 희생양이 되다
신원伸寃 되고 직언直言의 화신으로 추앙받다
심학心學의 원류를 찾다
『다부』를 지어 다부茶父로 받들어지다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