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 신학 2 (알63코너)

도의 신학 2 (알63코너)
도의 신학 2 (알63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김흡영 (지은이)
출판사 / 판형 동연(와이미디어) / 2012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424쪽
정가 / 판매가 18,000원 / 15,1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한국 신학’, ‘아시아 신학’, ‘우리 신학’ 등에 천착해온 김흡영 교수가 쓴 <도의 신학> 두 번째 책. 저자는 서구 신학은 그들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노력했던 그들의 신학, 곧 남의 신학이지 결코 우리의 자리에서 우리가 하는 우리의 신학이 아니라고 강변한다. 한국 신학도 많은 시행착오를 각오하고 바로 서서 걸어가기를 연습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 남들에 의해 결론이 내려진, 남들의 것에 주석을 붙여 내 것인 양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 앞에서 솔직하게 우리의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저자는 그렇기 때문에 그것들은 결코 최종적인 결론이라 할 수 없고, 모두 하느님의 도를 묵상하며 추구하는 도상에 있는 것들이라고 한다. 곧 도상에 있는 도의 신학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3부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도의 신학의 배경’을 다루고, 제2부에서는 ‘도의 신학 서설’을 말한다. 제3부에서는 ‘도의 신학과 자연과학’이라는 제목하에 자연과학과 동양 종교, 그리스도교 신학과의 삼중적 대화에 대해 다뤘다.

목차

목차

제1부 도의 신학의 배경 -유교 문화와 그리스도교 신학의 만남

제1장|우리 신학을 찾아서
1. 우리 신학의 정체성을 찾아서
2. 한국 개신교 신학에 대한 비판적 대안
3. 우리 신학을 향하여

제2장|그리스도교의 효(孝)사상
1. 들어가는 글
2. 구약성경의 효사상
3. 신약성경의 효사상
4. 부모의 자녀에 대한 사랑
5. 삼위일체 하느님과 부자유친

제3장|양명학을 통해 본 신학: 왕양명과 칼 바르트의 유교와 그리스도교 간의 대화
1. 근본적 상이성 안에서의 두터운 유사성(異中同)
2. 공동적 인간성의 도(道)에 대한 추구
3. 인간성의 도(道)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유교적 그리스도론을 향하여
4. 새로운 우주적 인간성의 도(道)
5. 맺는 말더보기

제1부 도의 신학의 배경 -유교 문화와 그리스도교 신학의 만남

제1장|우리 신학을 찾아서
1. 우리 신학의 정체성을 찾아서
2. 한국 개신교 신학에 대한 비판적 대안
3. 우리 신학을 향하여

제2장|그리스도교의 효(孝)사상
1. 들어가는 글
2. 구약성경의 효사상
3. 신약성경의 효사상
4. 부모의 자녀에 대한 사랑
5. 삼위일체 하느님과 부자유친

제3장|양명학을 통해 본 신학: 왕양명과 칼 바르트의 유교와 그리스도교 간의 대화
1. 근본적 상이성 안에서의 두터운 유사성(異中同)
2. 공동적 인간성의 도(道)에 대한 추구
3. 인간성의 도(道)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유교적 그리스도론을 향하여
4. 새로운 우주적 인간성의 도(道)
5. 맺는 말

제4장|한국 신학 50년과 도의 신학: 한국 조직신학 사상사
1. 들어가는 말
2. 한국 신학의 광맥: 박형룡, 김재준, 정경옥, 류영모
3. 교회교의학 모형: 교회의 분열
4. 정치신학 모형: 민중신학의 출현
5. 문화신학 모형: 토착화 논쟁
6. 구성신학 모형: 도의 신학
7. 맺는 말


제2부 도의 신학 서설 -한국적 신학 패러다임의 모색

제5장|도(道)의 신학 서설
1. 현대 신학의 3대 모형
2. 우리 신학의 구성: 도(道)의 신학

제6장|도(道) 그리스도론(Christotao) 서설
1. 현대 그리스도론의 화두
2. 도(道):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새로운 근본 은유
3. 도-그리스도론에 대한 한국적 전거들
4. 신-인간-우주적 도(道)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제7장|도(道) 삼위일체론 서설
1. 서론: 삼위일체론의 동양화(Easternization)
2. 유교와 도교의 통찰들
3. 동아시아적 삼위일체론: 유교-도교적 관점에서 재조명
4. 검토와 결론

제8장|생명 ·생태계의 위기와 도의 신학
1. 들어가는 말
2. 하늘땅사람: 신-우주-인간적 비전
3. 하늘땅사람의 참길(신-우주-인간적 묘합): 도의 신학
4. 아! 숨님의 솟구침: 억눌린 생명의 기사회우주전기
5. 맺는 말
6. 후기


제3부 도의 신학과 자연과학 -신학 ·동양 종교 ·자연과학의 삼중적 대화

제9장|종교와 자연과학 간의 대화를 통해 본 인간: 사회생물학의 도전과 종교적 대응
1. 들어가는 말
2. 자연과학과 종교 간의 관계
3. 사회생물학의 도전
4. 사회생물학에 대한 종교적 대응
5. 맺는 말

제10장|사이버 공간의 본질과 영성, 그 종교적 대안
1. 사이버 공간(cyberspace)의 출현
2. 사이버 공간과 장자의 꿈: 이 시대의 화두
3. 사이버 공간의 본질: “탐구의 성배”
4. 사이버 공간: 또 하나의 바벨탑?
5. 사이버 공간에서의 종교의 역할: 틈의 성화론

제11장|생명의 존엄성: 인간 배아줄기세포 논쟁과 경(敬)의 신학
1. 생명의 정치해석학: 오늘날의 화두
2. 배아는 생명인가?
3. 인간의 존엄성이란?
4. 인간이란?
5. 존경이란?
6. 나가는 말: 경(敬)의 신학을 향하여

제12장|도의 신학과 자연과학: 자연과학, 동양 종교, 그리스도교 신학 간의 삼중적 대화
1. 상황(Context): 아시아 그리스도교(Asian Christianity)
2. 방법론: 겸허의 삼중적 대화(Trilogue of Humility)
3. 내용(Contents): 몇 가지 예비적인 제안들

부록
1. 나는 왜 신학자가 되었는가? - 신학자가 된 우주항공학도의 고백
2. 통섭론을 반대한다 - 한국 윌스니언의 오류들
3. 도올 김용옥의 그리스도교 비판에 대한 소고
4. 김용준, 『과학과 종교 사이에서』 서평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