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와 식민지 근대 - 한국 종교의 내면화, 정치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나 (알16코너)

종교와 식민지 근대 - 한국 종교의 내면화, 정치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나 (알16코너)
종교와 식민지 근대 - 한국 종교의 내면화, 정치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나 (알16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윤해동,이소마에 준이치 (엮은이)
출판사 / 판형 책과함께 / 2013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432쪽
정가 / 판매가 25,000원 / 18,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일제 강점기에 경성에 도착한 여행자들은 남대문을 거쳐 조선신궁이 있는 남산부터 올라 경성의 풍경을 조망했다. 식민지 조선은, 새로운 '종교' 개념을 만들어낸 서구인들과 그것을 식민지 조선으로 가지고 들어온 일본인들과 그 전파 대상인 한국인들이 어울려 만들어낸 종교와 유사종교와 민족주의가 서로 얽혀 있는 복합적인 시공간이었다.

어떤 사람은 자발적으로 동화되고, 어떤 사람은 강고하게 저항하고, 또 다른 사람은 동화가 바로 저항이라는 전략을 사용하는 가운데, 식민지민이 삶을 이어갈 수 있는 공간이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공간에서 기독교, 유교, 천도교, 증산교, 보천교 그리고 민족주의 등 모두가 정치적 태도를 버리지 않고 국가 이데올로기에 저항하기도 하고, 거꾸로 그 이데올로기를 지지하기도 하였다.

이 책은 이 시기에 종교 개념이 어떻게 법을 통해 제도화되었으며 식민지민들의 기억 속에 내면화되어 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라는 장에서 펼쳐진 근대 경험을 총체적으로 대상화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서구적 '종교' 개념에서 탈피하여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종교를 다시 생각해보자는 의도로 작년에 진행된 국제 심포지엄 <식민지 조선과 종교―트랜스내셔널 제국사 서술을 위하여>의 결과물이기도 한 이 책은, 앞서 <植民地朝鮮と宗敎>(磯前順一尹海東 編著, 三元社)라는 제목으로 일본어판이 출판되기도 했다.

목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 - 종교를 통해 인문학을 다시 본다/ 윤해동
서장 - 제국사로 종교를 논하다/ 이소마에 준이치

1부 종교 개념과 제국사
1장 1910년 전후 ‘종교’ 개념의 행방_제국사적 관점에서/ 김태훈
2장 일제시대 종교 개념의 편성_종교 개념의 제도화와 내면화/ 장석만

2부 일상생활에서의 종교 포교
3장 1910년대 최중진의 자유교회와 그 주변_축첩과 제사를 둘러싸고/ 배귀득
4장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 불교의 사회사업을 통해 본 ‘식민지 공공성’/ 제점숙

3부 국가신도와 유사종교론
5장 종교 개념과 국가신도론_‘제국=식민지’를 중심으로/ 가쓰라지마 노부히로
6장 조선총독부의 신사정책과 유사종교_국가신도 논리를 중심으로/ 아오노 마사아키

4부 국가신도와 고유종교론
7장 식민지 조선과 종교 개념에 관한 담론 편성_국가신도와 고유신앙의 틈새/ 이소마에 준이치
8장 ‘방법’으로서의 최남선_보편성을 정초하는 식민지/ 심희찬

5부 조선민속학과 고유신앙더보기

한국어판 서문 - 종교를 통해 인문학을 다시 본다/ 윤해동
서장 - 제국사로 종교를 논하다/ 이소마에 준이치

1부 종교 개념과 제국사
1장 1910년 전후 ‘종교’ 개념의 행방_제국사적 관점에서/ 김태훈
2장 일제시대 종교 개념의 편성_종교 개념의 제도화와 내면화/ 장석만

2부 일상생활에서의 종교 포교
3장 1910년대 최중진의 자유교회와 그 주변_축첩과 제사를 둘러싸고/ 배귀득
4장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 불교의 사회사업을 통해 본 ‘식민지 공공성’/ 제점숙

3부 국가신도와 유사종교론
5장 종교 개념과 국가신도론_‘제국=식민지’를 중심으로/ 가쓰라지마 노부히로
6장 조선총독부의 신사정책과 유사종교_국가신도 논리를 중심으로/ 아오노 마사아키

4부 국가신도와 고유종교론
7장 식민지 조선과 종교 개념에 관한 담론 편성_국가신도와 고유신앙의 틈새/ 이소마에 준이치
8장 ‘방법’으로서의 최남선_보편성을 정초하는 식민지/ 심희찬

5부 조선민속학과 고유신앙
9장 일본인의 조선민속학과 식민주의_민간신앙론을 중심으로/ 남근우
10장 일제시대 무속 담론의 형성과 근대적 재현_식민 담론의 양의성/ 김성례

종장 - 식민지 근대와 종교_종교 개념과 공공성/ 윤해동
보론 - 종교 연구의 돌파구_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콜로니얼 비평·포스트세속주의/ 이소마에 준이치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