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역사 만들기 - 북한 역사학 50년 (알역90코너)

북한의 역사 만들기 - 북한 역사학 50년 (알역90코너)
북한의 역사 만들기 - 북한 역사학 50년 (알역90코너)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한국역사연구회 (엮은이)
출판사 / 판형 푸른역사 / 2003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334쪽
정가 / 판매가 13,000원 / 25,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 - 새책

도서 설명

그간 남한의 한국사 연구에 음양으로 영향을 미쳐온 북한 역사학의 연구성과는 분단이라는 정치적 상황 아래 폄하되어 왔다. 이 책은 2000년 가을 남북 역사학 교류를 위한 기획팀으로 출범한 한국역사연구회 북한사학사연구반의 연구성과를 모은 것으로, 2001년 6월 22일 '북한 역사학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주제의 심포지엄을 통해 발표한 것과 그 토론과정에서 제기된 비판적 제언을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정리했다.

북한 역사학의 여러 성과를 다루고 있는 이 책은 북한 역사학계의 구성과 활동 및 시대구분론, 단군릉 발견 이후의 상고사 연구와 대동강 문화론, 그리고 전근대와 근현대 반침략 투쟁사에 이어 북한의 정치사.사상사.생활풍속사 연구 성과 등을 정리하고 있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북한 연가학을 뒤돌아보며
북한 역사학 관련 연표

북한 역사학계의 구성과 활동 - 김광운
북한 현대 사학사의 징검다리로
1. 역사 연구자들이 걸어온 길
2. 역사 연구의 목적과 방향
3. 역사교육과 논문 작성
북한 학계의 활동 경험을 반추하는 계기로

북한의 한국사 시대 구분론 - 도면회
서로 다른 시대 구분 방식
1. 주체사관 성립 이전의 시대 구분론
1-1 1950년대 후반 북한 역사학계의 흐름
1-2 고중세 시대 구분론
1-3 근현대 시대 구분론
2. 주체사관에 의한 시대 구분
2-1 주체사관의 적용 과정
2-2 고대 중세사회론의 심화
2-3 주체 역량에 의한 근현대사 구분론더보기

책머리에|북한 연가학을 뒤돌아보며
북한 역사학 관련 연표

북한 역사학계의 구성과 활동 - 김광운
북한 현대 사학사의 징검다리로
1. 역사 연구자들이 걸어온 길
2. 역사 연구의 목적과 방향
3. 역사교육과 논문 작성
북한 학계의 활동 경험을 반추하는 계기로

북한의 한국사 시대 구분론 - 도면회
서로 다른 시대 구분 방식
1. 주체사관 성립 이전의 시대 구분론
1-1 1950년대 후반 북한 역사학계의 흐름
1-2 고중세 시대 구분론
1-3 근현대 시대 구분론
2. 주체사관에 의한 시대 구분
2-1 주체사관의 적용 과정
2-2 고대 중세사회론의 심화
2-3 주체 역량에 의한 근현대사 구분론
3. '북한형 민족주의 역사학'의 등장
3-1 민족 개념의 변화와 '우리 민족 제일주의'
3-2 평양 중심의 역사 인식
남북한 시대 구분론의 합일을 위하여

단군릉 사건과 대동강문화론의 전개 - 권오영
북한 역사학계의 대전환-단군릉의 발견
1. 단군릉 사건 이전의 고조선 연구
1-1 해방 ~ 1950년대
1-2 1960년대
1-3 1970년대 ~ 1980년대
2. 단군릉의 발견과 그 파급
2-1 단군릉 발견과 진위 문제
2-2 단군릉 사건 이후 고조선 연구의 변화
3. 대동강문화론의 전개
3-1 대동강문화론 대두의 배경
3-2 대동강문화론과 평양성지론
3-3 대동강문화론과 우리 민족 제일주의
포기할 수 없는 남·북한 학술교류

북한의 전근대 반침략 투쟁사 연구 - 김순자
북한 역사학의 가장 중심적인 주제, 반침략 투쟁사
1. 반침략 투쟁의 주체에 관한 이해와 민족 개념의 변화
2. 중요 전투 지역과 반침략 투쟁 역량에 관한 연구
3. 현실 정치의 입장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영역

북한의 사상사 연구 동향 - 박광용
북한의 사상사 연구에 대한 문제의식
1. 유물사관에 의한 조선 사상사 수립(1945 ~ 1956)
2.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및 역사적 유물론 관점의 보완(1957 ~ 1965)
3. 주체사상에 의한 서술의 조정 및 체계화(1966 ~ 1992)
4. 통일에 대비한 정체성 강화 및 다양성 보완(1993 ~ 현재)
선진적 업적과 학문적 유산을 남긴 사상사 분야

북한의 고중세 정치사 연구 - 연갑수
전근대 정치사 연구의 새로운 경향
1. 1990년대 이전 정치사 서술 경향
1-1 인민 중심의 역사서술 체제의 수립 과정과 정치사 서술의 특징(해방 ~ 1960년대)
1-2 정치사 서술의 박제화와 인식의 답습(1970 ~ 80년대
2. 1990년대 이후 정치제도사 연구의 특화
2-1 역사 연구 주제의 다양화 경향과 정치제도사 연구의 특화
2-2 북한의 정치제도사 이론화 시도와 남북 역사학계의 교류 전망
좁아지는 남북 학계 인식의 차이

북한의 생활풍속사 연구 - 박현순
북한의 민속학과 생활풍속사 연구
1. 민속학 연구 방법론의 모색(~ 1950년대)
2. 역사민속학의 표방과 생활풍속사 연구의 활성화(1960년대)
3. 계급성과 합법칙적 이해의 강조(1970년대)
4. 의식주 중심의 연구와 개설서의 간행(1980년대 이후)
북한 사회의 변화와 생활풍속사 연구

북한의 근현대 반침략 투쟁사 연구 - 신주백
1. 반침략 투쟁사 연구 개관
1-1 온갖 전통의 망라(1945 ~ 1952)
1-2 혁명전통의 확립(1952 ~ 1967)
1-3 주체사관의 정립과 반침략 투쟁사의 박제화(1967 ~ 현재)
2. 반침략 투쟁사 연구의 구체적인 사례
2-1 갑신정변
2-2 항일무장투쟁사
3. 맺음말

북한의 대표적 역사학자 논저목록
주석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