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동아시아의 패러다임 변환과 한반도 - 논형학술총서 40

19세기 동아시아의 패러다임 변환과 한반도 - 논형학술총서 40
19세기 동아시아의 패러다임 변환과 한반도 - 논형학술총서 40 도서상품에 대한 정보입니다.
저자 강상규 (지은이)
출판사 / 판형 논형 / 2008년 초판1쇄
규격 / 쪽수 150*225(보통책 크기) / 264쪽
정가 / 판매가 16,000원 / 13,000원

도서 상품 상태

최상급(하드커버+자켓) - 새책

도서 설명

19세기 한반도는‘변환’의 소용돌이 속에서 시대적 변화를 읽어내지 못했고, 현실정치에서 비전과 동의를 끌어내지 못해 ‘국제’질서의 무대에서 퇴출당했다. 고종과 명성황후, 대원군, 개혁세력과 전통주의자 간의 정치적 역학관계와 정치적 인식은 무엇이고, 어떻게 연속과 단절이 이루어졌으며, 현재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담았다.

19세기의 전환기 속에서의 동아시아, 즉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지 못한 중국과, 근대주권국가의 틀을 넘어 제국으로 질주하였던 일본에 관해 고찰한 '19세기 동아시아의 패러다임 변환과 제국 일본'의 다음 저작으로 위기상황에 놓여있던 19세기의 한반도를 다룬다.

Ⅰ장에서는 19세기 동아시아에서 나타난 거대한 변환의 내용과 그로인해 한반도에서 나타난 사상적 혼돈을 공시적 관점과 통시적 측면에서 고찰하여, 19세기의 전체적인 시대적 변화상이라는 큰 그림을 그렸다. Ⅱ장에서는 개혁가이자 쇄국론으로 유명한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 곧 병인박해를 현실정치의 구체적 맥락 위에서 검토했다.

Ⅲ장에서는 흥선대원군과 명성왕후의 정치적 긴장관계가 형성되는 구체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구조와 과정의 측면에서 다뤘다. Ⅳ장에서는 고종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갖게 된 정치의식과 대외인식을 고찰했다. Ⅴ장에서는 19세기 상이한 패러다임 간의 만남이라는 거대한 변환의 상황에서 일본이 유구왕국을 병합하는 것을 계기로 ‘조선문제’가 동아시아의 핵심적인 이슈로 부상하게 되는 국제정치의 권력정치적 과정을 서술했다.

목차

목차

서문

I. 19세기 동아시아 국가 ‘간’ 관계의 패러다임 변환과 한반도
1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상과 전환기의 역사적 경험
2 중화질서와 국가 ‘간’ 관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
3 예의지방(禮義之邦)과 부강국가(富强國家)의 아득한 심상(心象)거리
4 패러다임의 충돌과 문명 표준의 역전
5 과거로의 추체험과 미래의 길 찾기

II. 대원군의 천주교 탄압과 전환기 한반도의 정치적 리더십
1 대원군은 쇄국주의자인가
2 수렴청정기 대왕대비의 비호와 대원군의 권력 실세로의 부상
3 대원군의 선교사 접촉 시도와 ‘예기치 않은’ 사태의 전개
4 배외(排外)의 배타적 정치공간의 구축과 권력의 집중
5 전환기 대원군의 정치적 리더십과 위기관리책의 패러독스

III. 명성왕후와 흥선대원군: 왕실 내 정치적 긴장관계의 구조와 과정
1 들어가는 말
2 ‘기억’ 속의 명성왕후와 대원군 그리고 ‘무능한 전제군주’: 왕실에 관한 기억의 계보(系譜)
3 ‘구조’ 속의 명성왕후와 대원군: 조선의 정치지형에서 두 인물이 갖는 정치적 위상의 특수성과 고종더보기

서문

I. 19세기 동아시아 국가 ‘간’ 관계의 패러다임 변환과 한반도
1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상과 전환기의 역사적 경험
2 중화질서와 국가 ‘간’ 관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
3 예의지방(禮義之邦)과 부강국가(富强國家)의 아득한 심상(心象)거리
4 패러다임의 충돌과 문명 표준의 역전
5 과거로의 추체험과 미래의 길 찾기

II. 대원군의 천주교 탄압과 전환기 한반도의 정치적 리더십
1 대원군은 쇄국주의자인가
2 수렴청정기 대왕대비의 비호와 대원군의 권력 실세로의 부상
3 대원군의 선교사 접촉 시도와 ‘예기치 않은’ 사태의 전개
4 배외(排外)의 배타적 정치공간의 구축과 권력의 집중
5 전환기 대원군의 정치적 리더십과 위기관리책의 패러독스

III. 명성왕후와 흥선대원군: 왕실 내 정치적 긴장관계의 구조와 과정
1 들어가는 말
2 ‘기억’ 속의 명성왕후와 대원군 그리고 ‘무능한 전제군주’: 왕실에 관한 기억의 계보(系譜)
3 ‘구조’ 속의 명성왕후와 대원군: 조선의 정치지형에서 두 인물이 갖는 정치적 위상의 특수성과 고종
4 ‘과정’ 속의 '고종과 명성왕후 대 대원군':
상호 간 정치적 긴장관계가 확대 심화되어가는 현실정치적 맥락
5 나가는 말

IV. 고종의 대내외 정세인식과 대한제국 외교의 배경
1 19세기 조선정치사에 대한 문제 제기
2 청년 고종의 정치의식과 대외관의 전회(轉回)
3 만국공법 질서에의 진입모색과 새로운 위기
4 대한제국 외교의 정치적 사상적 배경: 만국공법과 구본신참
5 이분법적 사고를 경계하며

V. 일본의 유구병합과 ‘조선문제’의 부상
1 잊혀진 왕국 유구
2 전통적인 중화질서와 유구왕국의 위상
3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동과 일본의 유구왕국 해체의 정치과정
4 중국 측의 태도변화와 ‘조선문제’의 부상
5 유구왕국의 해체와 조선 정치의 상관관계
6 유구왕국 해체의 국제정치

저자 후기: 19세기 조선정치사에 대한 21세기적 이해를 위하여
찾아보기

도서 부연설명

이 분류의 인기도서